387 680

Cited 0 times in

소아 두부 외상 후 경련 발생 빈도와 위험요인

Other Titles
 (The) incidence and risk factors for posttraumatic seizure in children 
Authors
 윤수 
Issue Date
2004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소아에서 두부 외상 후 발생하는 경련을 조기와 후기로 분류하여 각각의 발생 빈도와 경련 발생과 관련된 위험 요인을 임상적, 신경학적, 방사선학적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3년 1월 1일부터 2002년 1월까지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원주기독병원에 두부 외상으로 입원 치료한 15세 이하의 환자 625명 중 153명을 제외한 472명을 대상으로 입원과 외래 기록 및 전화를 이용하여 내원 당시 나이, 성별, Glasgow Coma Scale(GCS), 신경학적 이상 소견, 의식 소실 기간, 뇌 전산화 단층 촬영을 기초로 한 뇌좌상의 정도, 항경련제 투여 유무와 경련의 발생 등을 추적 관찰하였다.



결과

472명의 두부 외상 환아 중 경련의 발생은 58명(12.3%)이었으며, 조기 경련이 41명(8.7%), 후기 경련이 17명(3.6%)이었다. 경련의 잠복기와 빈도, 기간사이에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또한 경련의 기간과 빈도 간에도 유의한 연관성은 없었다. 두부 외상의 정도에 따른 경련의 빈도는 경증이 5.8%이며, 중증이 29.3%로 큰 차이를 보였다. 두부 외상 후 경련군과 비경련군 간에는 입원시 신경학적 이상 소견, 의식 소실 기간, GCS, 뇌좌상, 뇌 전산화 단층 촬영 소견에서 통계학적인 차이를 보였다.

경련의 위험 요인을 조기와 후기로 나누어 위험도를 구한 결과 조기경련의 위험 요인은 편마비와 혼수 등의 신경학적 소견, GCS 12점 이하, 광범위 뇌좌상, 뇌 컴퓨터 촬영 소견 상 편측 뇌 전체의 출혈 등이었다. 후기 경련의 위험요인은 GCS상 12점 이하, 2세 이하의 나이, 뇌 전산화 단층 촬영 소견 상 뇌 편측 전체의 출혈, 편마비와 혼수 등의 신경학적 소견이었다.



결 론

두부 외상 후 소아에서 경련의 발생 빈도는 조기 경련 8.7%, 후기경련 3.6%이었다. 경련의 위험요인을 조기와 후기로 나누어 보면 조기 경련의 위험요인은 편마비와 혼수 등의 신경학적 소견, GCS 12점 이하, 광범위 뇌좌상, 뇌 전산화 단층 촬영 소견 상 편측 뇌 전체의 출혈 이었다. 후기 경련의 경우는 GCS상 12점 이하, 2세 이하의 나이, 뇌 전산화 단층 촬영 소견 상 뇌 편측 전체의 출혈, 편마비와 혼수 등의 신경학적 소견이 경련 발생의 위험요인이었다.





[영문]The goal of our study was to identify the incidence and clinical, neurophysiological and neuroradiological variables with predictive value for posttraumatic seizure(PTS).

The medical records of 625 children with head trauma under 15 year old, who were admitted to the Wonju Christian Hospital, from January, 1993 to January, 2002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Among them, 472 patien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patients of PTS were divided to early PTS, that seizure occurs within 1 week after head trauma and late PTS, that seizure occurs beyond the first week after head trauma. The injuries were classified to mild(Glasgow Coma Scale, GCS 13 to 15 or no brain CT abnormality and a brief hospital stay), moderate(GCS, 9 to 12, or a GCS above 12 and longer than 48-hour hospital stay, or brain CT abnormalites) and severe(GCS, below9). The variables such as age, sex, duration of unconsciousness, GCS, brain CT scan finding, initial neurologic finding and anticonvulsant therapy were analyzed for risk factors of PTS.

The early PTS was developed in 41(8.7%)patients, 35(77.8%) patients among them had seizure within 24 hours after head trauma. Late PTS was developed in 17(3.6%)patients. The frequency and duration of PTS were not correlated with latency of PTS. And there was not correlated between the frequency and duration of PTS. The 82.9% of early PTS and the 76.5% of late PTS were generalized tonic-clonic seizure. There was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cidence of PTS by severity of trauma. The incidence of PTS after mild head trauma(5.8%) was lower than after severe head trauma(29.9%). The risk factors of early PTS were unilateral hemorrhage, neurologic finding(hemiparesis and coma), GCS(under 12 score), diffuse contusion. And the late PTS were the same as early PTS, except diffuse contusion and also included age factor(under 2 year).

We concluded the incidence and risk factors of PTS were correlated with severity of head trauma.
Files in This Item:
T008266.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2076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