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97 722

Cited 0 times in

자궁내 태아발육지연에서 도플러 제대동맥 혈류속도 파형에 따른 주산기 예후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원형재-
dc.date.accessioned2015-11-21T06:24:24Z-
dc.date.available2015-11-21T06:24:24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2066-
dc.description의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목적 : 자궁내 태아발육지연 및 산과적 위험요인이 있는 산모를 대상으로 도플러 초음파검사를 통해 제대동맥 혈류속도 파형에 따른 주산기 결과 및 신생아기 이환과의 관련을 조사 연구하였다. 연구방법 : 1996년 3월부터 2003년 2월까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영동세브란스병원 산부인과에서 태아발육지연아를 분만한 총 164명의 산모를 대상으로 제대동맥 도플러 초음파검사를 시행하여 수축기 속도와 이완기말 속도의 비(S/D비)에 따라 정상군(I군, n=104), 비정상군(II군, n=47), 이완기말 혈류속도가 없거나 역전된군(III군, n=13)으로 분류하여 주산기 결과 및 신생아기 이환을 비교 하였다. 결과 : 주산기 결과에서 I군과 비교하여 출생시 임신주수는 III군에서 의미있게 낮은 수치를 보였으며 출생시 체중은 II군과 III군에서 유의하게 낮았다. 37주미만의 조산, 1분 또는 5분에 5점 미만의 낮은 아프가점수를 갖는 경우, 신생아 집중치료를 요하는 경우도 II군과 III군에서 높은 빈도를 보였다. 신생아 이환도 거의 모든 항목에서 II군과 III군에서 의미있게 높았다. 다중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비정상군(II군)에서 출생시 임신주수를 보정한 후에도 불량한 주산기 결과(p<0.05, odds ratio 6.7)와 신생아 이환(p<0.05, odds ratio 2.3)을 의미있게 반영 하였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태아발육지연에서 비정상적인 제대동맥 혈류속도의 파형을 분석 함으로써 발육지연태아의 불량한 주산기 결과 및 신생아 이환을 예측할 수 있어 산과적인 태아감시 시행여부와 치료방침을 결정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Objectives : To evaluate the effect of umbilical artery doppler waveforms on the perinatal outcome and neonatal morbidity in pregnancies with intrauterine growth restriction. Method : From March, 1996 to February, 2003, a retrospective study was performed at the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of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Yongdong Severance Hospital. For a total of 164 deliveries with history of intrauterine growth restriction, their medical records of umbilical artery doppler waveforms were reviewed and they were grouped according to the ratio between systolic and diastolic velocity : normal (Group I, n=104), abnormal (Group II, n= 47), either absent or reversed end diastolic flow (Group III, n=13). The perinatal outcome and neonatal morbidity were compared between the groups. Result : The gestational age at delivery was significantly lower in Group III compared with Group I. Mean birth weight was significantly lower in Group II and III compared with group I. Group II and III also showed higher incidence of preterm birth (< 37 weeks), low Apgar score (<5 in 1 or 5 minutes) and requirement for NICU care compared with Group I. For Group II and III, neonatal morbidit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most of categories compared with Group I. In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Group II showed significant adverse perinatal outcome and increased neonatal morbidity compared with Group I even after adjustment of gestational age at birth. Conclusion : We suggest that analysis of umbilical artery doppler waveforms in patients with intrauterine growth restriction may be useful in fetal well-being monitoring-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자궁내 태아발육지연에서 도플러 제대동맥 혈류속도 파형에 따른 주산기 예후-
dc.title.alternative(The) perinatal outcome in intrauterine growth restriction by the umbilical artery doppler waveforms-
dc.typeThesis-
dc.contributor.departmentDep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산부인과학교실)-
dc.contributor.localIdA02447-
dc.contributor.alternativeNameWon, Hyung Jae-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원형재-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산부인과학교실)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