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74 619

Cited 0 times in

저농도 벤젠노출 평가를 위한 요중 trans, trans-muconic acid의 유용성

Other Titles
 Availability of trans, trans-muconic acid as a biomarker for exposure to low concentrations of benzene 
Authors
 오현철 
Issue Date
2004
Description
산업보건학과/석사
Abstract
[한글]

벤젠독성에 의한 조혈기계의 악성질환이 확인됨에 따라 벤젠의 사용과 노출은 엄격히 규제되고 있다. 그러나 저농도 벤젠노출의 위험성은 상존한다. 본 연구는 국내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저농도 벤젠노출을 평가하기 위한 생물학적 표지로 trans,trans-muconic acid(t,t-MA)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노출군은 국내 석유화학공장에서 근무하는 벤젠취급 근로자 2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작업 중 개인용 공기 포집기를 이용하여 공기 중 벤젠을 포집하였고 이를 가스크로마토그래피/불꽃 이온화 검출기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근로자들에게서 작업시작전과 작업종료 후 소변을 채취하여 t,t-MA의 농도를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자외선 검출기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요중 t,t-MA농도는 요중 크레아티닌을 이용하여 보정하였다. 또한 직업적으로 벤젠에 노출되지 않은 20명을 대조군으로 선정하여 요중 t,t-MA의 농도를 동일한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기중 벤젠의 농도는 불검출부터 0.99ppm까지 모두 1ppm 이하가 검출되었으며 산술평균과 기하 평균이 각각 0.16± 0.22, 0.046± 0.12ppm이었다. 요중 t,t-MA의 농도는 대조군에서 산술평균 19.67± 18.88㎍/g creatinine, 기하평균 12.44± 2.90㎍/g creatinine이었으며, 노출군에서는 작업종료 후 소변에서 산술평균 199.01± 64.76㎍/g creatinine, 기하평균 189.27± 1.39㎍/g creatinine으로 두 군 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노출군에서 증가되어 있었다. 기중 벤젠농도와 작업종료 후 요중 t,t-MA농도 간에 상관계수 r=0.63(p<0.01)으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성을 보여 요중 t,t-MA는 1ppm 이하의 저농도 벤젠노출에서도 유용한 생물학적 표지라고 사료된다.





[영문]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ssess the availability of urinary trans,trans-muconic acid(t,t-MA) as a biomarker for low levels exposure to benzene. The exposure to benzene was measured by personal air sampler and was determined by GC/FID. Urinary t,t-MA was determined in 40 urine samples collected from 20 workers in the petrochemical industry and from 20 control with no occupational exposure to benzene. In exposed group, the urine samples were collected at the beginning and end of the work shift. The concentrations of t,t-MA in urine were determined by HPLC/UVD. The individual whole-shift concentrations of benzene in the exposed group ranged from undetectable to 0.99ppm with an average of 0.16± 0.22ppm (geometric mean, 0.046± 0.12ppm). The average urinary t,t-MA levels for the control and exposed group were 19.67± 18.88㎍/g creatinine (geometric mean, 12.44± 2.90) and 199.01± 64.76㎍/g creatinine (geometric mean, 189.27± 1.39), respectively. Significantly higher urinary t,t-MA levels were observed among the exposed worker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t-MA concentrations in end-of-shift samples and air born benzene concentrations(r=0.63, p<0.01). According to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no significant correlation existed between urinary t,t-MA level and any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These data support the availability of urinary t,t-MA as a biomarker of low levels of benzene exposure(< 1ppm)
Files in This Item:
T008251.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2061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