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2 835

Cited 0 times in

성인여성에서 촉지되는 일차성 액와부 종괴의 영상 분석

Other Titles
 Image evaluation of palpable primary axillary masses in adult women 
Authors
 안진경 
Issue Date
2004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성인여성에서 액와부에 촉지되는 종괴로 나타나는 일차성 종괴의 종류와 발생빈도를 알아 보고자 한다. 또한 액와부에 발생한 일차성 종괴는 그 병리 특성에 따른 다양한 영상 특징을 보일 것으로 생각되며 이러한 영상 특징이 진단 근거를 제시할 수 있을 지에 관하여 연구해 보고자 한다.

1993년 3월 1일부터 2003년 2월 28일까지 액와부의 촉지되는 병변을 주소로 영동세브란스병원 유방센터에 내원한 여성환자중 양측성 병변이 있었던 2명을 포함한 31명의 병변 33례가 대상이 되었다. 환자들의 연령은 20세에서 73세(평균 45세)였고, 모든 환자들은 내외사위촬영 또는 액와부촬영(n=26), 초음파(n=28), 자기공명영상(n=4)의 검사를 받았으며 수술 및 조직검사를 통한 병리 진단이 이루어 졌다.

내외사위촬영 또는 액와부촬영에서 유방조직의 음영을 기준으로 하여 액와부 종괴의 음영에 따라 고음영, 동일음영, 저음영으로 구분하였으며, 초음파검사에서는 피하지방의 에코와 비교하여 고에코, 동일에코, 저에코 종괴로 구분하였다. 종괴의 수에 따라 단일병변과 다발성 병변으로 분류하였고, 종괴의 크기는 초음파상의 장축 (greatest dimension) 측정을 기준으로 3cm 이하, 3cm 이상 5cm 미만, 5cm 이상으로 분류하였다. 종괴와 동반된 석회와 종괴 내부의 괴사여부는 따로 기술하였다.

병리조직학적으로 확진된 총 33례의 촉지되는 액와부 종괴중 양성은 25례, 악성은 8례였다. 가장 흔한 병변은 결핵림프절염 (tuberculous lymphadenitis)으로 13례였고 부유방(accessory breast) 관련 병변이 8례, 일차성 악성종괴가 5례, 일차성 양성종괴가 4례, 악성림프절전이가 3례였다.

유방촬영과 초음파검사를 기준으로 각 병변의 수를 단일병변과 다발성 병변으로 구분하여 보았을 때, 림프절 관련 병변은 다발성 종괴들이었고 이외의 종괴들은 단일성이었다. 각 종괴의 크기를 3cm미만, 3cm 이상 5cm 미만, 5cm 이상으로 구분하였을 때 림프절 이외의 조직에서 기원한 일차종괴는 주로 5cm이상의 큰 종괴로 나타났다.

유방촬영과 초음파검사상 나타난 종괴의 음영과 에코는 다양하여서 음영과 에코의 차이만으로 병변의 특성을 구별하는데에는 어려움이 있으나 지방의 특징적 음영을 보이는 경우에는 유방촬영만으로도 지방종의 진단이 용이하였으며, 부유방 관련 병변의 경우에도 유방촬영이나 초음파검사상 나타나는 부유방 특유의 음영이나 에코가 관련성을 진단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비슷한 모양과 음영 또는 에코의 경우에는 종괴의 발생위치가 병변의 감별에 도움이 되어서 림프관종(lymphangioma)이나 신경초종(schwannoma)의 경우에는 흉근 안쪽의 심부 액와에서 종괴가 발생하였고 부유방 기원의 유낭종(galactocele)은 피부와 인접한 표재성 종괴로 나타났다. 결핵림프절염과 악성림프절전이의 감별은 종괴의 음영이나 에코의 차이만으로는 어려움이 있었으나 특징적 양성석회화가 동반된 경우에는 결핵림프절염 진단에 도움이 되었다.





[영문]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variable causes of symptomatic palpable axillary masses and their imaging findings. Pathologically confirmed thirty-three masses of 31 women(mean age 45 years) were evaluated in the incidence and imaging findings. All cases underwent either mammography(n=26), sonography(n=28), or magnetic resonance imaging(n=4). The prevalent symptomatic palpable axillary masses were tuberculous lymphadenitis(n=13), followed by accessory breast related lesions(n=8), malignant(n=5) and benign(n=4) primary masses, and metastastic lymphadenopathy(n=3).

Lymph node related masses were mainly multiple lesions and the other primary masses tended to be single lesion. The primary axillary tumors other than lymph node origin presented as larger in size(>=5cm) with variable density. Typical density of fat and accessory breast was important clue to the final diagnosis. The location of the masses were one of the differential point. It was difficult to differentiate the benign and malignant lymphadenopathy, however dense benign calcifications in the masses were the possible predictors for tuberculous lymphadenitis.

Knowledge of variable axillary masses and their incidence and imaging findings will help to differentiate and diagnose the symptomatic palpable axillary lesions.
Files in This Item:
T008241.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2051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