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6 1189

Cited 0 times in

여드름 환자의 삶의 질 조사

Other Titles
 (The) quality of life of acne patients 
Authors
 안봉균 
Issue Date
2004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대부분의 피부질환은 증상이나 병변 자체가 생명에 지장이 없고, 전신적인 질환에 비해 환자에게 큰 장애를 일으키지 않는 질환으로 인식되어지는 것에 반해, 환자의 정서적 측면과 대인 관계, 사회생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특히 노출된 부위에 있는 피부 질환의 경우 미용적인 측면과 결부되어 정신적인 문제와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여드름은 매우 흔한 피부 질환이나 아직 여드름 환자의 전반적인 삶의 질에 대한 연구는 국내외 적으로 매우 드물다. 피부과 환자의 삶의 질을 보다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도구들이 많이 개발되어 왔고 꾸준한 발전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여드름 환자의 삶의 질에 대해서는 아직 객관적인 평가가 미흡한 실정이다. 지난 십수 년간의 여드름의 정신, 심리적 측면과의 관련에 대한 논란은 최근에 환자의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단편적인 정신적, 감정적 측면에 대한 것에서 환자의 삶의 질 전반에 대한 것으로 변화되었고 이러한 변화는 여드름 뿐 아닌 다른 피부과 영역에서도 점차 진지하게 받아들여지고 있다. 저자들은 보다 객관적이고 공인된 삶의 질 평가 도구인 한국어판 Skindex-29를 사용하여 국내의 피부과 외래 여드름 환자의 삶의 질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여드름 환자의 삶의 질을 건선과 단일 고립 종양군 등 다른 피부 질환 환자, 정상군과의 삶의 질과 비교해 보았을 때 정상군과 단일 고립 종양군에 비해서는 전반적 삶의 질(sum), 증상(symptom), 기능(function), 감정(emotion) 등, 모든 척도에서 월등한 삶의 질의 손상을 보였으며 이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또한 이미 삶의 질의 손상이 심각한 것으로 알려진 건선 환자와 비교하였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을 만큼 거의 대등할 정도의 삶의 질 손상을 보였다.

2. 성별, 연령, 전신 건강 상태, 여드름의 유병기간, 여드름의 중증도, 여드름 병변의 종류가 여드름 환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가. 남녀간의 비교에서는 여성에서 전반적인 삶의 질(sum)이 더 나쁘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3가지 척도 각각에서 살펴보면 성별은 증상(symptom) 척도를 제외한(p=0.864) 기능적(function) 척도와 감정적(emotion) 척도가 서로 연관되어 있었다.(p<0.05))

나. 연령은 전반적인 삶의 질(sum), 증상(symptom), 기능(function) 및 감정(emotion) 척도 모두에서 연관이 있었다.(모두 p<0.05) 즉 연령이 증가할수록 더 심한 삶의 질 손상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 임상적인 병변의 종류의 다양성과 전반적인 삶의 질(sum)은 서로 연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즉, 면포, 구진과 농포, 낭종과 결절, 염증 후 색소 침착, 여드름 반흔 등 여러 가지 임상 증상을 함께 가진 경우 여드름 환자에서 삶의 질은 나빠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3가지 척도에서는 임상적인 병변의 종류와 증상(symptom) 척도는 연관이 없었으나(p=0.198) 기능(function) 및 감정(emotion) 척도가 서로 연관 (p<0.05) 되어 있었다.

라. 관찰자가 측정한 여드름의 중증도는 전반적인 삶의 질 및 3가지 척도 모두에서 연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마. 전신적인 건강상태는 전반적인 삶의 질 및 3가지 척도 모두에서 관련이 없었다.(각각 p=0.209, p=0.100, p=0.327, p=0.358)

바. 여드름의 유병 기간은 전반적인 삶의 질 및 3가지 척도 모두에서 관련이 있었다. (p<0.05) 즉, 여드름 유병 기간이 길수록 삶의 질이 나빠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써 여드름 환자의 삶의 질은 정상인이나 단일 고립 병변을 가진 환자에 비해 월등히 나쁜 것으로 나타났으며 건선 환자와 거의 유사한 정도의 심각한 손상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여드름 환자의 삶의 질은 여성이 남성보다, 연령이 많을수록, 여드름 유병기간이 길수록, 많은 종류의 병변이 있을수록 삶의 질이 나쁜 것으로 나타났으며 증상적인 척도보다는 기능적인 척도와 감정적인 척도의 삶의 질 손상이 더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드름 환자의 삶의 질에 대한 연구는 임상적으로 간과되기 쉬운 여드름이 심각한 삶의 질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며 성별, 연령, 전신 건강 상태, 여드름의 유병기간, 여드름의 중증도, 여드름 병변의 종류가 여드름 환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해는 여드름 환자에 대한 치료의 질을 높여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Although acne is extremely prevalent, few studies have focused on what the patient with acne vulgaris experiences. Furthermore, despite recent advances in the accurate measurement of health outcomes, few studies have discussed the effects of acne on discrete aspects of patients'' experiences such as their quality of life. To determine the effects of acne vulgaris on the quality of life of adult dermatology outpatients, we used Korean version of Skindex-29 and evaluated howdoes the quality of life of adult patients with acne relate to their sex, age, and the clinical severity of their acne. This study examined the responses of 159 patients with acne vulgaris who completed Korean version of Skindex-29. Results are reported as 3 scale scores (functioning, emotions, and symptoms) and a composite score (average scale score). In addition, dermatologists rated the clinical severity of patients'' skin disease. Higher Skindex-29 scores indicate greater effects on quality of life. Patients with acne experienced symptomatic, functioning and emotional effects from their skin disease comparable with those of patients with psoriasis. The effects of acne on quality of life were greater for women than men, and were greater in older patients. Patients with more severe acne (as judged by the dermatologist) also reported more effects on their quality of life. Duration of acne and types of acne lesions were also affect quality of life of acnepatients. Acne vulgaris significantly affects patients'' quality of life. Sex, age, severity of acne and duration of acne can effect on quality of life of acne patients.
Files in This Item:
T008237.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2047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