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44 1029

Cited 0 times in

폐 전이 유두상 갑상선암의 예후인자 분석

Other Titles
 Prognostic factors in patients with pulmonary metastases from papillary thyroid carcinoma 
Authors
 남기현 
Issue Date
2004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유두상 갑상선암은 경부 국소 림프절 전이가 빈번하나 생존율에는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 그러나 원격전이가 발생하면 불량한 예후를 보이며 원격전이 장기 중에는 폐가 가장 호발하는 부위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폐 전이 유두상 갑상선암의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인자를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1986년 1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세브란스 병원 외과에서 유두상 갑상선암으로 수술을 받은 2,832예 중 폐 전이가 판명된 51명 환자들의 의무기록을 토대로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군은 남자가 26명, 여자가 25명 이었으며 평균나이는 45세(범위, 8~79세)였다. 평균 추적 관찰기간은 36개월(범위, 2~182개월)였으며 51예 중에서 생존한 환자 40명의 평균 추적 관찰 기간은 39개월(범위, 3~182개월)였고 사망한 11명의 평균 추적 관찰기간은 28개월(범위, 2~93개월)이었다. 폐 전이 유두상 갑상선암의 5년 및 10년 질병 특이 생존율은 각각 81%와 48%이었다. 단변량 분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질병 특이 생존율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은 원발암 진단시의 45세를 기준으로 한 연령군, 최초 수술후 보조치료, 폐 전이 진단 시기, 폐 전이외 타장기 전이, 폐 전이 병소의 요오드 흡착, 폐 전이 치료로서 고용량 방사성 요오드 치료 유무였으나 Cox모델을 이용한 다변량 분석에서는 원발암 진단시의 연령과 폐 전이 치료로서 고용량 방사성 요오드 치료 유무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의미가 있었다.

폐 전이 유두상 갑상선암의 생존율에 미치는 예후인자는 원발 유두상 갑상선암의 진단시 연령과 폐 전이 치료로서 고용량 방사성 요오드 치료로 사료되었다.





[영문]Papillary thyroid carcinoma frequently metastasizes to the regional lymph node such as neck and upper mediastinum, however it does not effect on the survival. Patients who develop pulmonary metastases from papillary thyroid carcinoma are known to have a worse prognosis and the lung is known as the most common site for distant spread.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outcomes and to define independent variables that was associated with tumor-related mortality in patients with pulmonary metastasis from papillary thyroid carcinoma.

From the 2,832 patients with papillary thyroid carcinoma who underwent operation at Yonsei University Medical Center from 1986~2003, 51 patients were identified to be metastasized to the lung. A retrospective review of 51 patients was done through medical records.

The study group comprised 25 females and 26 males. The mean age at primary diagnosis was 45 years (range, 8~79 years). Mean follow-up of this study group was 36 months from diagnosis of pulmonary metastasis to last follow-up. Mean follow-up for the 40 survivors was 39 months (range, 3~182 months) and for the 11 deaths was 28 months (range 2~93 months). Disease-specific survival rates at 5, 10 years were 81%, 48% respectively. By univariate log-rank survival analyses, age at primary diagnosis, postoperative radioactive iodine treatment, metastasis at time of diagnosis, multiple organ involvement, radioactive iodine uptake status of the pulmonary metastasis and use of radioactive iodine treatment for pulmonary metastasis were significant. However, by multivariate Cox-regression analyses age at primary diagnosis and radioactive iodine treatment for pulmonary metastasis were proven to be significant predictors of survival.

In conclusion, age at primary diagnosis and high dose of radioactive iodine treatment for pulmonary metastasis are the most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for survival in patients with pulmonary metastasis from papillary thyroid carcinoma
Files in This Item:
T008184.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1994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