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35 789

Cited 0 times in

천식 환자의 흡입제 사용 순응도와 관련 요인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Factors related to the compliance on the prescribed inhaler use byasthma patients 
Authors
 김은아 
Issue Date
2004
Description
역학 및 건강증진학과/석사
Abstract
[한글]

본 연구는 흡입제를 사용하는 천식 환자들의 흡입제 사용횟수 및 사용방법 순응도와 관련된 요인을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2004년 4월 12일부터 29일까지 경기지역 3개 대학병원과 강원지역 3개 대학병원의 호흡기, 알레르기 내과 외래를 방문한 흡입제를 사용하고 있는 190명의 천식환자이다.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천식 및 흡입제 교육, 천식에 대한 지식, 질병력 그리고 천식 치료 및 흡입제 사용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흡입제 순응도는 사용횟수 순응률과 사용방법 순응도 측면에서 평가하였다.

본 연구 결과, 연구 대상자 중 흡입제를 매일 빠지지 않고 사용하는 대상은 52.6%였으며 사용방법 순응점수는 총점 30점을 기준으로 25점이 가장 많았으며 평균 20.0±3.1점이었다. 치료 중단의 경험 여부와 흡입제와 경구제의 차별적인 인식 정도가 흡입제 사용 순응도에 영향을 주었는데 치료 중단의 경험이 있거나 경구제가 상대적으로 중요하다고 답한 경우에 흡입제 사용 순응도가 낮았다. 치료 중단의 경험이 없는 경우에 비해 치료 중단의 경험이 있는 경우가 사용횟수 순응률이 0.364배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95% CI=0.173, 0.756). 경구제와 흡입제의 중요도 인식정도를 비교한 결과 흡입제와 경구제가 비슷하거나 흡입제가 더 중요하다고 답변한 경우에 비해 경구제가 더 중요하다고 답변한 경우의 사용횟수 순응률이 0.371배 높았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고(95% CI=0.144, 0.960) 사용방법 순응점수도 1.295 낮았으며 통계학적으로 경계선상에서 의미가 있었다(p=0.053).

위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흡입제를 사용하는 환자들에게 천식 질환의 꾸준한 치료를 권고하고 흡입제가 경구제에 비해 우선순위 약물임을 알릴 수 있는 체계적인 교육을 반복적으로 제공한다면 흡입제 순응도가 증가되어 천식 증상을 관리하고 치료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This study was intended to examine the factors related to the compliance on the prescribed inhaler use by asthma patients.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recruited from the outpatients with asthma using inhaler who have visited the department of pulmonology and allergy in three university medical centers in Gyeonggi province and another three in the Gangwon province. A total number of 190 patients were investigated. A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used for the measurement of general characteristics, asthma and inhaler education, knowledge about asthma, medical history and satisfaction in asthma treatment and inhaler use. Compliance were evaluated by the prescribed medication regimen and correct-use of inhaler.

Of the 190 asthma patients, 100(52.6%) patients have shown a compliance with the prescribed medication regimen. The median and mean compliance of correct-use inhaler were 25 and 20.0±3.1, respectively. Those who with the history of discontinuing treatment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compliance with the prescribed medication regimen (OR=0.364, 95% CI=0.173, 0.756) compared to those with the history of discontinuing treatment. Also those who responded that oral medication was more important than inhaler showed 0.371 (95% CI 0.144, 0.960) times in compliance with the prescribed medication regimen compared to those who responded that oral medication and inhaler were equally important or inhaler was more important than oral medication. Those who responded that oral medication was more important than inhaler showed 1.295 lower score in correct-use inhaler than those who responded that oral medication and inhaler were equally important or inhaler was more important than oral medication.



In conclusion, the history of discontinuing treatment and the perception of relative importance on oral medication over inhaler were related to lower compliance with inhaler use. A systematic asthma management program will be needed to increase the compliance with the prescribed medication regimen and correct-use inhaler.
Files in This Item:
T008153.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1963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