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33 1041

Cited 0 times in

한국 성인의 구강건강인식에 관련된 요인

Other Titles
 (The) related factors of perceived oral health in Korean adults 
Authors
 김영남 
Issue Date
2004
Description
치의학과/박사
Abstract
[한글]

본 연구에서는 인구사회학적 변수, 객관적 구강건강상태 변수, 구강보건의식행태 변수를 포함한 포괄적 모델 하에서 한국의 청년, 장년, 노인층의 구강건강인식에 관련된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조사대상을 만 18세~34세의 청년, 만 35~64세의 장년, 만 65세 이상의 노인층으로 나누어 긍정적 구강건강인식과 관련된 요인을 탐색하였다. 2003년 국민구강건강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였고 무치악인 경우는 제외하여 분석대상은 총 4,428명이었다. 기준범주 로짓모형을 이용한 통계분석을 수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한국 성인은 자신의 구강상태를 건강하지 않다고 인식한 비율이 43.7%로 가장 높았으며, 보통이 28.8%, 건강하다가 27.6%였다.



2. 만 18~34세 청년층이 구강건강을 건강하지 않다고 평가하기보다 건강하다고 평가하는데 관련된 요인은 대도시거주, 적은 DMFS, 출혈·치석형성 치주조직이 없음, 악관절장애가 없음, 구강건강에 대한 염려를 하지 않음, 구강위생용품을 사용함이었다.



3. 만 18~34세 청년층이 구강건강을 건강하지 않다고 평가하기보다 보통이라고 평가하는데 관련된 요인은 대도시거주, 낮은 수입, 적은 DMFS, 고정성가공의치를 하지 않음, 구강건강에 대한 염려를 하지 않음이었다.



4. 만 35~64세 장년층이 구강건강을 건강하지 않다고 평가하기보다 건강하다고 평가하는데 관련된 요인은 높은 연령, 전문직, 적은 DMFS, 많은 잔존치아수, 국소의치를 하지 않음, 구강건강에 대한 염려를 하지 않음, 잇솔질을 4회 이상 함이었다.



5. 만 35~64세 장년층이 구강건강을 건강하지 않다고 평가하기보다 보통이라고 평가하는데 관련된 요인은 높은 연령, 높은 수입, 전문직, 적은 DMFS, 많은 잔존치아수, 고정성가공의치를 하지 않음, 치주낭형성 치주조직이 없음, 구강건강에 대한 염려를 하지 않음이었다.



6. 만 65세 이상 노인층이 구강건강을 건강하지 않다고 평가하기보다 건강하다고 평가하는데 관련된 요인은 높은 연령, 무직, 많은 잔존치아수, 국소의치를 하지 않음, 구강건강에 대한 염려를 하지 않음이었다.



7. 만 65세 이상 노인층이 구강건강을 건강하지 않다고 평가하기보다 보통이라고 평가하는데 관련된 요인은 대도시 거주, 많은 잔존치아수, 치주낭형성 치주조직이 없음, 구강건강에 대한 염려를 하지 않음이었다.



한국 성인에서 객관적 구강건강상태 지표와 중요한 심리적 변수인 구강건강염려가 전체 연령군에 걸쳐 유의하게 나타났다. 사회경제학적 요인은 장년층에서 보다 관련성이 높았으며 인구학적 요인은 노인층에서 보다 관련성이 높았다. 본 연구에서는 의료보장형태와 치과 방문의 경우 우리나라 성인의 구강건강인식과 관련된 요인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우리나라에서는 환자의 치료 평가나 구강보건정책의 수립 및 평가를 위해 객관적 구강건강상태 지표만을 주로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구강건강인식도가 간편하게 측정가능하며 객관적 구강건강상태 뿐 아니라 사회경제학적 변수, 구강건강에 대한 심리적 변수의 효과까지 반영하는 만큼, 실질적인 국민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증진을 위해 구강건강인식도를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겠다.





[영문]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oral health perception of Korean adult population. And the relationship of self-rated oral health to a comprehensive battery of clinical, demographic, socioeconomic factors and oral health related behaviors was tried to clarify. The 4,428 subjects over 18 years were selected for oral examination and survey. Baseline-category logits model was used to assess perceived oral health of young middle and old age group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43.67% of Korean adults rated their oral health as poor, 28.77% as fair, and 27.55% as good.



2. In young age group of 18-34 years old, living in metropolitan area, low income, low DMFS, no bridge, no bleeding gum or calculus, no TMD, no worry about their oral health, and use of oral hygiene product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self-rated oral health.



3. In middle age group of 35-64 years old, older age, middle income than low, professional job, low DMFS, many remaining teeth, no bridge, no periodontal pocket, no worry about their oral health, and brushing more than 4 time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self-rated oral health.



4. In old age group of over 65 years old, older age, living in metropolitan area, no job, many remaining teeth, no denture, no periodontal pocket, and no worry about their oral health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self-rated oral health.



In all age groups, major predictors of perceived oral health were oral epidemiological indicators and worry about oral health. Socioeconomic factors were more strongly associated in middle age group than others. Oral health security system and the types of dental visit were not associated with perceived oral health in Korea.



Nowadays only objective clinical or epidemiological indicators are used for assessment of dental treatment and oral health policy. But self-rated oral health is a simple measure and reflects not only objective oral status but also socioeconomic status and psychological effect as worry about oral health. So, we should actively use the perceived oral health to promote nation''s actual oral well-being.
Files in This Item:
T008142.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Dept. of Advanced General Dentistry (통합치의학과) > 3. Dissertation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1952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