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 1052

Cited 0 times in

통합적 스트레스관리프로그램이 정신생리질환자의 스트레스 증상에 미치는 영향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한금선-
dc.date.accessioned2015-11-20T06:08:33Z-
dc.date.available2015-11-20T06:08:33Z-
dc.date.issued1997-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8538-
dc.description간호학과/박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인간의 생활과정에서 스트레스는 피할 수 없는 것으로 스트레스에 대한 인간의 정신, 신체적 반응은 개인이 그 스트레스를 어떻게 평가하고 대처하는 가에 따라 각각 다르게 나타난다. 많은 연구들에서 스트레스 관리를 통하여 스트레스 증상을 완화시키고자 하였으나 기존의 스트레스 관리 기법들은 주로 인간의 생리적 이완을 통한 스트레스 증상 완화에 초점을 두었고, 인간의 생리적, 정서적, 인지·행동적 측면을 모두 고려한 통합적인 프로그램은 적용되지 못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트레스에 대한 평가와 대처 및 반응이 질병 발생과 악화에 영향을 미치는 정신생리질환 중 위장관계의 가장 흔한 질환인 소화성 궤양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Lazarus 와 Folkman(1984)의 스트레스-대처 이론과 Selye(1956)의 일반적응중후군 이론을 기틀로 하여 인간의 생리적, 인지·행동적, 정서적 측면을 모두 고려한 통합적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주관적, 생리적 스트레스 중상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사후의 유사실험설계로 연구하였다. 연구대상 및 연구기간은 1996년 5월 20일부터 1996년 9월 25일까지였고 1개 종합병원 내시경실을 방문하여 소화성 궤양으로 진단 받은 대상자중 스트레스와 관련이 있다고 전문가에 의해 판단된 경우를 편의표출하여 통합적 스트레스 관리 훈련 집단인 실험군 1과 점진적 근육이완 집단인 실험군 2에 배정하였으며, 실험군 1은 23명, 실험군 2는 24명으로 총 47명을 본 연구의 최종 대상자로 하였다. 통합적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은 Kogan 등(1991)이 고혈압 환자를 대상으로 적용한 바 있는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을 본 연구자가 문헌고찰과 예비연구를 바탕으로 수정 보완한 생리적, 인지·행동적, 정서적 측면을 고려한 것으로 4주간 7회, 1회 1시간 소요되었다. 실험절차는 연구에 참여를 동의한 대상자와 연구자가 훈련 일시를 예약하여 1주 1-2회 본 연구 장소인 정신상담실을 방문하여 훈련하였으며, 첫회 방문 시 스트레스 스크린 테스트와 실험 전 측정을 하였으며 4주간의 훈련 프로그램이 끝난 후 실험 후 측정을 하였다. 연구 도구는 스트레스 사건은 이(1983)가 개발한 스트레스 사건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고, 스트레스 평가는 Folkman 등(1988)이 개발한 스트레스 인지평가에 대한 도구를 본 연구자가 번역하여 타당도, 신뢰도를 검증한 후 사용하였으며 대처휴형은 Lazarus 와 Folkm an(1984) 의 대처방법 척도를 김정회, 이장호(1985) 가 표준화한 척도를 이용하였다. 또한 스트레스 증상은 Kogan 등(1991)이 개발한 도구를 번역, 수정 보완하여 이(1892)가 작성한 도구를 이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AS를 이용하였다. 통합적 스트레스 관리 훈련 집단인 실험군 1과 점진적 근육이완 훈련 집단인 실험군 2와 안구학적 특성, 일반적 특성, 스트레스 사건, 스트레스 인지 평가, 대처방법, 스트레스 증상 정도에 대한 동질성 검증은 x**2 - test 와 t-test로 분석하였으며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 수행 전과 후의 소화성 궤양 환자의 스트레스 증상에 대한 차이 검증은 t-test 와 paired t-test 하였다. 통합적 스트레스 관리 훈련 집단에서 실험기간에 따른 생리적, 심리적 스트레스 반응과정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반복측정 분산 분석하였고, 인지 평가 및 대처 유형의 변화 과정은 descriptive analysis 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스트레스 증상 차이는 t-test와 분산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통합적 스트레스 관리 훈련 집단과 점진적 근육이완 훈련 집단간의 동질성검증에서 인구학적, 일반적 특성 및 스트레스 사건, 인지 평가, 대처 유형, 스트레스 증상 등의 변수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아 실험 전 두 실험군은 동질한 것으로 나타났다. 2. 가설검증에서 제 1가설인 '통합적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을 수행한 실험군은 점진적 근육이완술을 수행한 실험군 2보다 스트레스 증상정도가 낮을 것이다.' 를 검증하기 위해 주관적 스트레스 증상과 생리적 스트레스 증상의 2개의 부가설로 나누어 검증한 결과 주관적 스트레스 증상(t= 3.66,p<.001) 과 생리적 스트레스 증상인 궤양의 치유상태(t=1.95, p=.05)에서 두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여 가설 1은 지지되었다. 따라서 통합적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이 점진적 근육이완 훈련보다 소화성 궤양 환자의 주관적, 생리적 스트레스 증상 완화에 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스트레스 인지 평가와 대처 유형, 생리적, 심리적 스트레스 반응에 대한 두 집단간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인지 평가의 경우 상실(t=4.34, p<.001)과 위협( t=4.01, p<.001), 변화가능성(t=-3.04, p<.01)의 평가 유형이, 대처. 유형의 경우 문제중심(t=-2.81, p<.0 1), 정서중심 (t=1.90, p<.05) 대처 유형의 변화에서 두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생리적 스트레스 반응의 경우 전두근 근육긴장도(t=3.73, p<.01), 전완근 근육긴장도(t=3.85, p<.01), 호흡수(t=3.16, p<.01), 피부전도도(t=2.08, p<.05)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심리적 스트레스 반응(t=8.47, p<.001) 또한 두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 타내었다. 즉 실험군 1에서 실험군 2 보다 통합적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 훈련 후에 상실과 위협 평가를 더 적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변화가능성외 평가를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처 유형의 경우 문제 중심의 대처는 더 많이 하는 것으로, 정서 중심의 대처는 더 적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리적 스트레스 반응의 경우 전두근, 전완근의 근육 긴장도가 실험군 1에서 실험군 2에 비해 더 감소되었으며, 호흡수와 피부전도도도 더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심박동수의 경우 통계적으로는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통 합적 스트레스 관리 훈련을 받은 실험군 1에서 점진적 근육이완 훈련을 받은 실험군 2에 비해 스트레스 관리프로그램 후에 심박동수가 더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통합적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을 훈련한 실험군 1에서 실험 기간에 따른 인지 평가 및 대처 유형, 스트레스 반응의 변화과정을 분석한 결과 인지평가 및 대처 유형의 경우 3회에서 4회 훈련 시기에 상실과 위협적인 평가가 도전과 변화가능성의 평가로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스트레스 반응은 전완근, 전두근의 근육긴장도의 경우 3회와 4회· 훈련시기가 변화 시점으로 나타났고, 피부표면 온도는 5회와 6회간에, 심박동수는 2회와 3회간에, 피부전도도는 1회와 2회간에, 호흡수와 심리적 스트레스 반응은 매회 지속적으로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통합적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은 점진적 근육이완 훈련에 비해 소화성 궤양환자의 스트레스 경험에 대한 인지 평가 및 대처 휴형, 스트레스 반응 및 스트레스 증상 변화에 더 맡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따라서 심리적 스트레스 요인이 증상 발생 및 악화에 영향을 미치는 정신생리질환자의 간호 및 건강 관리에 생리적, 인지·행동적, 정서적 측면을 고려한 통합적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을 적용할 것을 권장한다. [영문]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integrated stress management program on the stress symptoms of psychophysiological patients, especially patients with peptic ulcer. The study employed a quasi-experimental design using two different experimental groups. The samples in the integrated stress management program participated in autogenic training with biofeedback, discussions on effective coping method, cognitive, behavioral, and emotional management. They were also provided with an educational booklet on stress management and an tape on progressive muscle relaxation. Each session lasted one hour and the program consisted of seven sessions over four weeks. The other group was only given an tape on progressive muscle relaxatio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20 to september 25, 1996. A total 47 patients from one university hospital located in Seoul participated, experiment group 1 (integrated stress management training) had 23 subjects and experiment group 2 ( progressive muscle relaxation training)had 24 subjects. The effects of these programs were measured by the stress symptom scale developed by Kogan(1991) which was translated by Lee(1992) and the healing status of the ulcer evaluated by a physician.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Chi-square test, t-test, ANOVA, repeated measure ANOVA. The result are as follows: 1. The integrated stress management group reported a significantly lower stress symptom score than the group given the Progressive muscle relaxation only. 2. The integrated stress management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improved ulcer status as compared to the group given a progressive muscle relaxation only.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 integrated stress management program was more effective in decreasing self-reported stress and physiological symptoms among patients with peptic ulcer as compared to the progressive muscle relaxation group. Based on this finding, the following suggestions can be made. 1. It is necessary to broaden the scope of nursing practice for psychophysiological patients so nurses can include stress management as part of patient care. 2. It is necessary to develop stress management program for other patients whose symptoms are known to be related to stress. 3. It is necessary to replicated this study with a larger sample in different settings.-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restrictio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통합적 스트레스관리프로그램이 정신생리질환자의 스트레스 증상에 미치는 영향-
dc.title.alternativeEffect of an integrated stress management program on the stress symptoms of psychophysiological patients : 소화성 궤양 환자-
dc.typeThesis-
dc.identifier.url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7808-
dc.contributor.alternativeNameHan, Keum Sun-
dc.type.local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3. Dissertation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