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814

Cited 0 times in

한국 폐경 후 여성의 성호르몬이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 of sex hormone on bone density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Authors
 권석호 
Issue Date
1997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골 대사의 항상성 유지에 있어서 성호르몬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특히, 여성은 폐경 후 난소의 기능 저하에 따른 성호르몬의 변화를 보인다. 즉, 에스트로젠을 생성하는 난소과립층의 소실이 일어나는 대신에 부신에서는 계속 안드로스테네디온이 분비되어 지방조직에서 에스트론으로 전환되고, 에스트론은 다시 표적세포에서 에스트라디올로 전환된다. 한편, 난소의 기질세포에서는 테스토스데론을 계속 분비하나 그 양은 점차 감소한다.

또한, 테스토스테론과 강하게 결합하는 성호르몬결합글로뷸린도 폐경 후 에스트로젠의 저하에 따라 약간 감소한다. 에스트로젠은 두 주된 대사과정을 거쳐서 배설되는데 생물학적으로 불활성화 과정인 2-hydroxylation과정과 약하지만 생물학적으로 활성도를 띈 대사산물로 전환시키는 160-hydroxylation과정으로 나눠지며 개개인마다 두 과정의 다양한 정도차이를 보인다고 한다.

골 소실의 가속화는 폐정 초기부터 일어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골소실을 이 점점 줄어든다. 그러나 이와 같은 과정은 모든 여성에서 일정하지 않고 개개인마다 골소실율의 차이를 보여서, 폐경 후 골소실율의 가속화가 안정화된 시기인 폐경 후 5에서 10년된 여성에서도 골소실율이 큰 사람(faster loser)들이 일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각 개인의 다양한 골소실율의 차이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이 성호르몬 농도의 차이 또는 여성호르몬 대사정도의 차이일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다. 본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저자등은 세브란스 검진센타에 내원한 특별한 증상이 없는 폐경 후 5에서 10년(55에서 60세 사이)된 여성 62예를 대상으로 하여 골밀도, 혈청 헤스트라디올, 에스트론, 유리 데스토스테론, 성호르몬결합글로뷸린 및 뇨중 에스트로젠 대사산물을 측정하였다. 세계보건기구 기준에 준하여 골결핍군과 대조군으로 나누었고, 비교 분석법으로 상기 호르몬 및 대사산물들이 골밀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조사하였다. 또한, 다변량 회귀분석을 통해 이들이 체형과 관계없이 골밀도에 독립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지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폐경 후 여성의 혈청 에스트라디올과 에스트론은 골밀도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2. 폐경 후 여성의 혈청 성호르몬결합글로율린은 체중, 체질량지수, 대퇴경부 골밀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역상관관계를 보였으나(각각 r=-0.3169, -0.4510, -0.2956, p<0.05, 0.001, 0.05), 다변량 회귀분석 결과, 혈청 성호르몬결합글로뷸린은 체형의 영향을 받았고, 독립적으로 골밀도에 영향을 미치지는 못했다.

3. 폐경 후 여성의 혈청 유리 테스토스테론은 요추부에서 대조군이 골결핍군에 비해 통계적 로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었고(각각 0.86±0.24, 0.42±0.06 pg/ml, p<O.05), 요추부 골밀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0.2993, p<0.05)를 보였다. 또한, 다변량 회귀분석 결과, 체중과 혈청 유리 테스토스테론이 독립적으로 골밀도에 영향을 미쳤다(각각 R**2 =21.4, 29.8%, β=0.46, 0.29, p<O.05).

4. 폐경 후 여성에서 뇨중 에스트로젠 대사산물 중, 약하지만 생물학적으로 기능을 갖는 대사산물인 16α-hydroxyeatrone은 요추부에서 대조군이 골결핍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었다(각각 122.90±27.26, 47.10±14.55nmol/g, p<0.05). 반면, 생

물적으로 활성이 없는 대사산물인 2-hydroxyestradiol은 대퇴정부에서 골결합군이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었다(각각 33.81±7.49, 16.42±3.04 nmol/g, o<0.05).

5. 폐경 후 여성의 뇨중 16α-hydroxyestrone치와 16α-hydroxyestrone/2-hydroxyestrone 비가 요추부 골밀도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각각 r=0.3279, 0.3377, p<0.05, <0.01), 반면에 뇨중 2-hydroxyestradiol치와 대퇴경부 골밀도와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역상관관계를 보였다(r=0.3341, p<0.01).

6. 다변량 회귀분석 결과, 체중과 뇨중 16α-hydroxyestrone치 및 2-hydroxyestradiol치가 요추부 골밀도에 독립적으로 영향을 미쳤고(각각 R**2=18.9, 25.2, 38.1%, β=0.43, 0.26, -0.39, p<0.005), 체중과 뇨중 2-hydroxyestradiol치도 대퇴경부 골밀도에 독립적으로 영향을 미쳤다(각각 R**2=14.1%, 24.3%, β=0.37, -0.32, p<0.005)

이상의 결과로 폐경 후 5에서 10년된 여성의 혈청 성호르몬 중 유리 테스토스테론 농도는 요추부 골밀도에 독립적으로 직접적인 영향을 끼쳤으나, 혈청 성호르몬결합글로뷸린, 에스트론과 에스트라디올은 골밀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았고, 에스트로젠의 대사과정 중 생물학적으로 약하지만 활성을 갖는 대사산물로 전환시키는 16α-hydroxylation과정의 증가가 골밀도에 독립적으로 양의 영향(positive effect)ㅇ을 미쳤고, 생물학적으로 불활성화 과정인 2-hydroxylation과정의 증가가 독립적으로 골밀도에 음의 여향(negativ

e effect)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향후 폐경 후 여성에서 안드로젠의 역할과 에스트로젠 대사 과정의 변화에 영향을 주는 요인드르에 대해 구체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Sex hormone plays an important role in skeletal homeostasis. The primary change in endocrine function that occurs across the menopause is a loss of secretion of estrogens from the ovary. However, androgens which are produced by the premenopausal ovary appeares to be secreted by the postmenopausal ovary, although circulating testosterone levels fall by about 25 to 50% after menopause. Androstenedione secreted by adrenal gland is aromatized to estrone mainly in adipose tissue, which is the principal source of estrogen in postmenopausal women. This estrone is converted to estradiol which has the biologically active.

Testosterone binds to set hormone binding globulin(SHBG) but biologically active one is free testosterone.

Estrogen is metabolized by both 2-hydroxylation pathway and 16α-hydroxylation pathway which produce biologically inactive metabolites and biologically active metabolites, respectively. There seems to be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ratio between the 2-hydroxylation and 16α-hydroxylation pathway.

A cross sectional study revealed the rate of bone loss up to 10 to 20 years after menopause is influenced not only by aging but also by deficiency of endogeneous estrogen activity which varies among individuals. Ascertainly, there are some faster bone losers in late postmenopausal wom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effect of postmenopausal residual sex hormones and difference in estrogen metabolites on bone density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Anthropometry, serum estradiol, estrone, free testosterone, SHBG and urinary metabolites of estrogen were measured and were correlated with bone densify.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Botk serum estradiol and estrone had not shown an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spinal and femoral neck bone density.

2. Serum SHBG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weight, body mass index and femoral neck bone density(r=-0.3169, -0.4510, -0.2956, p<0.05, 0.001 0.005, respectively), but i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erum SHBG was not an independent determinant of the bone density.

3. Serum free testosterone was increased in the control group compared to the spinal osteopenia group(0.86±0.24 vs 0.42±0.06 pg/ml, p<0.05) and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spinal bone density(r=0.2993, p<0.05), I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spinal bone density was fit by both weight and serum free testosterone(R**2=21.4, 29.5%, β=0.46, 0.29, p<0.05).

4. Among urinary metabolites, 16α-hydroxyestrone was increased in the control group compared to the spinal osteopenia group(122.90±27.26 vs 47.10±14.55 nmol/g, p<0.05), wbereas 2-hydroxyestradiol was increased in the femoral neck osteopenia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33.81±7.49 vs 16.42±3.04 nmol/g, p<0.05).

5. Among urinary metabolites, 16α-hydroxyestrone,

16α-hydroxyestrone/2-hydroxyestrone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spinal bone density, respectively(r=0.3279, 0.3377, p<O.05, <O.01). But 2-hydroxyestradiol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femoral neck bone density(r=0.3341, p<O.01).

6. I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spinal bone density was fit by weight, 16α-hydroxyestrone and 2-hydroxyestradiol(R**2=18.9, 25.2, 38.1%, β=0.43, 0.26, -0.39, p<0.005). The femoral neck bone density was fit by both weight and 2-hydroxyestradio1(R**2 =14.1, 24.3%, β=0.37, -0.32, p<0.005).

In summary, residual serum free testosterone had a direct effect on the spinal bone density in late postmenopausal women. While serum SHBG, estradiol and estrone had no effect on both spine and femoral neck bone density. Increase in biologically

active 16α-hydroxylation metabolites and decrease in biologically inactive 2-hydroxylation metabolites resulted in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both the spinal and femoral neck bone density. However, further study is required to clarify

the role of androgen as well as the factors that affect estrogen metabolism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8018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8524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