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 765

Cited 0 times in

코골음소리의 음향학적 분석

Other Titles
 Acoustic analysis of the snoring noise 
Authors
 정우경 
Issue Date
1997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단순 코골이와 수면 무호흡증은 상기도의 호흡장애로 인해 저산소증을 일으키며, 주간 졸음증, 두통, 인성변화(personality change)등의 증상을 나타낸다. 진단을 위해 병력청취, 이학적검사, Cephalometrics, Mueller법, 컴퓨터 단층촬영 그리고 가장 객관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는 표준 수면다원검사를 시행할 수 있다. 그러나 표준 수면다원검사는 시행절차가 복잡하고 입원이 필요하는 등 불편한점이 있어 이들 환자에 대한 보다 간편한 선별법에 대한 연구가 다양한 방법으로 연구되어지고 있으며 코골음녹음, 비디오 화상저장 그리고 이동성 수면다원검사 등이 대표적이다.

코골음 녹음은 코골음 소리를 녹음 음향학적으로 분석하여 코골음의 분류가 가능한지 그리고 어떤 특징이 있으며 그 의미는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코골음은 비성 코골음(nasal snorers), 구비성 코골음(oronasal snorers), 수면무호흡 코골음의 3가지 형태로 분류할 수 있으며 수면무호흡 코골음은 수면다원검사로 확인 가능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제외하였다. 비성 코골음은 조화음(harmonic sound)의 양상을 보이고, 주파수는 대부분 500Hz 미만이었으며, 저주파수에서 한 번의 피크(sharp peak)를 나타냈다. 이것은 공명강이 비강이라는것을 의미하며 코골음의 주 원인이 비강이므로 비강에 대한 주의 및 치료가 필요하다. 구비성 코골음은 비조화음의 양상을 보이고 주파수는 대부분 500Hz와1000Hz 사이였으며, 저주파수와 고주파수에서 두 번의 넓은 띠의 소음과 피크를 나타내는 특성을 보였다. 이것은 공명강이 비강보다는 복잡한 연구개와 구개수(uvula)에 의한 것으로 종합적인 주의 및 치료가 필요하다. 코골음 녹음 분석은 코골이 환자의 선별검사로 간단히 환자를 분류 적절한 검사 및 치료 진행에 도움을 받을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We analyzed snoring noise from 20 nonapneic heavy snorers. Sound was recorded through the room microphone in the air 20cm from the patient's lip. Signals were stored on normal tape. Snoring may be assumed to arise in the pharyngeal airway from vibrations of the walls or turbulence in the air caused by respiratory flow. Systemic description and analysis of the sound could lead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mechanical events in the upper airway during simple snoring and it could be helpful for enhancing the diagnostic information obtained from microphone devices proposed for screening for snoring.

When snorers are generated during nose-only breathing(nasal snorers), the sound spec tecum is made up of a series of discrete, sharp peaks, with a fundamental note and harmonics similar to the spectrum of voiced sounds. Most of the power of

snoring noise is below 2,000Hz. and the peak power is usually below 500Hz. When snorers are generated during breathing through nose and mouth(oronasal snorers), the spectra showed a mixture of sharp peaks and broad-band white noise. Patients with apnea showed a sequence of snorers with spectral characteristics that varied markedly through an apnea-respiration cycle(apnea snorers). Characteristics of the snoring noise give information about the possible mechanism of sound generation and thus about the behavior of the pharynx during snoring. Quality of snoring sound may help to separate patients of snoring.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7753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8521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