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822

Cited 0 times in

정신분열증에서 99m-Tc-ECD SPECT로 측정한 국소뇌혈류량과 증상과의 관계

Other Titles
 Relationship between regional cerebral blood flow in 99m-Tc-ECD SPECT and symptom profiles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Authors
 안석균 
Department
 Dept. of Psychiatry (정신과학교실) 
Issue Date
1997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정신분열증에서 양성 및 음성증상은 각기 독립적인 차원으로 기저의 병태생리 또는 신경 회로 기질 역시 각각 다를 것이라고 제안되어왔다. 양성증상은 전두엽(frontal lobe)과 해마복합체(hippocampal complex)의 연결 경로의 이상으로, 음성증상은 전두엽과 기저신경절(basal ganglia) 회로의 이상으로 야기된다고 제시된 바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양성 및 음성증상차원과 전두엽과 해마 복합체 등의 내측 측두엽(medial temporal lobe)의 연결 회로 구조물 및 전두엽-기저신경절 경로(frontal-basal ganglia circuit) 구조물의 국소뇌혈류량(regional cerebral blood flow)과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항정신병 약물 비노출(antipsychotic drug-naive) 혹은 비투여(drug-free) 정신분열증 환자 27명을 대상으로 하여 안정 상태(resting state)에서 뇌 단일광자방출전 산화단층촬영(이하 SPECT)을 촬영하였다. 촬영 직전에 양성 및 음성증상척도(PANSS)로 양성 및 음성증상을 평가하였다. SPECT상 관심영역(regions of interest)은 고전두엽(upper frontal lobe), 저전두엽(lower frontal lobe), 기저신경절, 시상(thalamus) 및 내·외측 측두엽이었다. 각 관심영역에서의 상대적 혈류 지표(relative blood flow index)는 전체 관심영역에서의 평균 계수를 기준으로 구하였다. 연구설계로는 각 관심영역에서의 상대적 혈류 지표와 양성 및 음성증상차원의 점수 사이의 관련성을 Spearman 상관분석 및 나이와 이환기간에 대해 부분상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1) 양성증상차원의 점수가 증가할수록 고전두엽의 상대적 혈류 지표가 증가하는 소견을 보였으며, 내측 측두엽의 상대적 혈류 지표는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2) 음성증상차원의 점수가 증가할수록 저전두엽의 상대적 혈류지표는 증가하는 소견을, 기저

신경절 및 시상의 상대적 혈류 지표는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정신분열증에서 양성증상차원은 전두엽과 해마 복합체 등의 내측 측두엽의 연결 회로 구조물과 관련되어 있으며, 또한 음성증상차원은 전두엽-기저신경절 경로의 구조물과 관련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Symptom profiles in schizophrenia are consisted of positive and negative symptom dimensions which are considered to be related to different underlying pathophysiologies and neural substrate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the possible relationship between relative regional cerebral perfusion and positive and negative symptom dimension in unmedicated patients with schizophrenia.

Twenty seven unmedicated patients with schizophrenia(13 patients who were antipsychotic drug-naive and 14 patients who had been drug-free for at least 1 week) were included in the study. Regional cerebral perfusion was studied with the single-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SPBCT). Symptom dimensions were assessed with 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PANSS).

The scores of each symptom dimension were correlated with regional cerebral perfusion. The results were 1) positive symptom dimension score was significantly relaxed to decreased perfusion in the medial temporal lobe and increased perfusion in frontal lobe, 2) negative symptom dimension score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decreased perfusion in the basal ganglia, thalamus and increased perfusion in the frontal lobe.

These results suggest that positive symptom dimension is associated with the dysfunction of the link between the frontal lobe and the medial temporal lobe and that negative symptom dimension is related with the impairment of frontal-basal ganglia circuit.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7281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Psychiatry (정신과학교실) > 2. Thesis
Yonsei Authors
An, Suk Kyoon(안석균) ORCID logo https://orcid.org/0000-0003-4576-6184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8520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