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1,25-(OH)2D3 on the experimental tooth movement in rats
Authors
이천혜
Issue Date
1997
Description
치의학과/박사
Abstract
[한글]
교정에 의한 치아 이동은 치주인대 및 치조골의 개조를 필요로 한다. 활성형 Vitamin D^^3 인 1,25-(OH)^^2 D^^3 는 파골세포에 의한 강력한 골흡수 인자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실험적 치아 이동과 함께 1,25-(OH)^^2 D^^3 를 국소 투여하였을 때 파골세포 수를 관찰하고 치아의 이동 속도에 주는 효과를 검토하기 위해 시행하였다. 이를 위해 체중 200㎎ 내외의 Sprague-Dawley 계 웅성백서 35마리에 실험적 치아 이동과 동시에 실험군에는 20μL 10**-12 , 10**-11 , 10**-10 , 10**-9 , 10**-8 , 10**-7 ㏖/L 1,25-(OH)^^2 D^^3 를 대조군에는 PBS(Phophate Buffered Saline)를 구개측에 매일 투여하고 3일후에 조직변화 소견을 관찰하였으며, 50마리에서 실험적 치아 이동과 동시에 실험군에는 20μL 10**-10 ㏖/L 1,25-(OH)^^2 D^^3 를 대조군에는 PBS를 구개측에 1회 투여하고 1, 2, 3, 5, 7일 후에 조직변화 소견을 관찰하였으며, 20마리에서 실험적 치아 이동과 동시에 실험군에는 20μL 10**-10 ㏖/L 1,25-(OH)^^2 D^^3 를 대조군에는 PBS를 3일마다 구개측에 투여하고 1, 3, 6, 9일째에 치아 이동량을 계측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1,25-(OH)^^2 D^^3 의 농도를 10**-10 ㏖/L 이상 투여한 실험군에서 대조군보다 압박측 치조골에서 파골세포 수가 증가하였다. (p<0.05)
2. 실험 개시 후 3일째에 파골세포의 출현이 최대에 달하였으며, 1, 2, 3, 5, 7일동안 10**-10 ㏖/L 1,25-(OH)^^2 D^^3 를 투여한 실험군에서 대조군보다 압박측 치조골에서 파골세포 수가 증가하였다. (p<0.001)
3. 10**-10 ㏖/L 1,25-(OH)^^2 D^^3 를 3일마다 투여한 실험군에서 대조군보다 6, 9일째에 치아 이동량이 증가하였다. (p<0.05, p<0.001)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백서에서 1,25-(OH)^^2 D^^3 국소 투여시 압박측 치조골에서 파골세포 수의 증가로 치아 이동에 영향을 주는 결과를 얻었으나 전신적인 영향과 치근 흡수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Orthodontic tooth movement requires remodeling of periodontal tissues, especially alveolar bone. 1,25-(OH)^^2 D^^3 , the active form of vitamin D, is known to be a potent stimulator of osteoclastic bone resorp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1,25-(OH)^^2 D^^3 on osteoclast numbers and the rate of tooth movement induced by the experimental tooth movement. Mechanical force and 1,25-(OH)^^2 D^^3 were applied 105 Sprague-Dawley rats, counted the number of osteoclasts histologically and measured the amount of tooth movemen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number of osteoclasts was greater in the 10**-10 , 10**-9 , 10**-8 , 10**-7 ㏖/L 1,25-(OH)^^2 D^^3 injection groups than the control group. (p<0.05)
2. The number of osteoclasts was maximum at the 3rd day and greater in the 10**-10 ㏖/L 1,25-(OH)^^2 D^^3 injection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at 1st, 2nd, 3rd, 5th, 7th day. (p<0.001)
3. The rate of tooth movement was greater in the 10**-10 ㏖/L 1,25(OH)^^2 D^^3 injection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at 6th, 9th day. (p<0.05, p<0.001)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local application of 1,25-(OH)^^2 D^^3 acted directly to increase osteoclast number at the pressure side of the alveolar bone and to increase the rate of tooth movement by mechanical stimuli, but further research about the systemic effect and root resorption by 1,25-(OH)^^2 D^^3 is nee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