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 5257

Cited 0 times in

성인의 건강신념 측정도구 개발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문정순-
dc.date.accessioned2015-11-20T06:06:57Z-
dc.date.available2015-11-20T06:06:57Z-
dc.date.issued1990-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8479-
dc.description간호학과/박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건강신념은 인간이 건강에 대해 지각하는 신념으로, 건강을 유지, 증진시킬 수 있는 건강관련행위를 설명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이 인정되고 있다. 또한 점차 사람은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국민경제의 발달에 따라 생활환경이 개선되고 풍부한 생활을 영위하게 되어 삶의 질을 높이는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건강행위와 건강신념에 변화가 있음을 인식하게 되었다. 그리고 개인이 경험한 문화는 사람의 행동과 건강관리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는 것이다. 이와같이 문화와 사회환경에 따라 인간이 가지는 신념도 변화하게 된다. 그런데 우리 문화와 사회환경에 맞는 건강신념을 측정할 수 있는 표준화된 도구가 없는 실정이며, 건강신념에 대한 조작화의 일치를 보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건강신념을 측정할 수 있는 신뢰성이 높고 타당한 측정도구를 개발해야 할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필요성에 의해 한국 성인의 건강신념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신뢰도와 타당도가 높은 도구를 개발하고자 시도하였다. 측정도구 개발과정을 요약하면, 먼저 건강신념모델에 근거하여 기존연구들을 분석하였다. 그 다음에 일반인의 건강신념에 대한 의식구조를 조사하고 그 결과 기존 연구 분석을 기반으로 각 차원에 관계된 문항들을 작성하였다. 예비문항으로 작성된 측정도구는 관계 전문가들을 통해 2차에 걸친 델파이 방법으로 내용 타당도와 건강신념의 각 차원을 검정케 하여, 문항을 축소하였으며 사전조사를 통해 나은 결과와 델파이 방법의 적용결과를 근거로 최종문항을 선정하였다. 그 결과 민감성, 심각성, 유익성, 장애성 및 건강동기의 5개 차원 55개 문항으로 "매우그렇다"에서 "전혀 그렇지 않다"까지 4점 평점척도로 측정할 수 있게 작성하였다. 연구대상자는 D시에 거주하고 있는 25세에서 55세 사이의 성인을 연령별 인구 수와 성비를 고려하여 연구목적에 따라 유의표집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1990년 2월 19일부터 3월 15일까지 였고 이 기간동안 구청 민원실과 시중은행 방문자(77명), 종합검진센타 방문자(185명)와 여중교 교사 (90명)등 3개 집단에서 1,019명을 선정하였다. 이를 구체적으로 제시해 보면 구성타당도 검정을 위해 구청민원실과 시중은행 방문객(744명) 및 종합검진센터 방문자 (185명)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신뢰도 검정을 위해 조사-재조사법은 여중교사(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내적일괄성은 구청민원실과 시중은행 방문객(744명), 종합검진센타 방문자(185명) 및 여중교사(90명)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신뢰도를 검정하기 위해 Cronbach α 계수와 Pearson 적율상관계수를 산출하였고, 타당도를 검정하기 위해 요인분석법과 집단비교법을 시도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신뢰도 검정에 있어서 조사-재조사를 검정한 결과 상관계수는 r =.5716(P<.001) 이었으며, 내적 일관성 검정에서는 건강신념 총문항에 대한 Cronbach α 계수는 .8918로 나타났다. 2. 타당도 검정에 있어서 구성타당도를 검정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시도한 결과 측정도구의 구성차원은 건강유익성 심각성 민감성 및 장애성등 4개 요인으로 분리되어 나타나 측정도구개발을 위해 제시한 Becker의 이론적 기틀인 건강동기, 민감성, 심각성, 유익성 및 장애성의 차원과 다소 차이가 있었다. 차이를 나타낸 요인은 건강동기와 유익성의 차원이었다. 본 연구자는 이 결합된 요인을 건강유익성이라고 명명하었다. 또한 분리된 4개 요인간의 독립성을 보기 위하여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r = .03 - .12로 나타나 각 요 인간에 독립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구성 타당도를 검정하기 위해 집단비교법을 시도한 결과 종합검진센타 방문자와 건강검진 무경험자 간에 건강신념 변수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에서 개발된 측정도구는 개인차이를 분별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다른 건강신념의 차이를 분석한결과 교육정도, 결혼상태, 나이,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정도에서 국민학교 졸업자가 결혼상태에선 기혼자가, 나이에선 50세에서 55세까지의 사람이, 성별에선 남자가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볼때 본 연구에서 개발한 건강신념 측정도구는 건강신념의 이론적 기틀과 차이가 있음을 제시란 연구로 평가된다. 이에 따라 우리 문화와 환경에 맞는 성인의 건강신념을 확인할 수 있는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This research was designed to develop an instrument for health belief and to test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Prior to item generation based on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a health belief model, the first step was to gather health belief information from literature and past research, and then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30 subjects to determine the contents of health belief. All of the items related to past research and verbal self-reports elicited during the in-depth interviews were rewritten. The preliminary items developed. which were susceptibility, severity, benefits, barriers and health motivation focused on preventive health behavior against chronic illness. To determine content validity and health belief dimensions, the list of items was distributed to 34 judges - faculty and researchers who had studied health beliefs - by Delphi methods at 2 times. Along with the items, each judge was given the conceptual definition to aid in identification of health belief dimensions and was asked to identify the correct health belief dimensions. As a result of this process, a health belief instrument was produced. All items were measured by a 4 point Liker scale. Responses were measured on a scale from "strongly agrees" to "strongly disagre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comprised of 1019 people, both male and female between 25 and 55 years of age, residing in Tae-Gu. The purposive sample method was utilized. Age distribution and sex ratio of the sample were matched with the distribution found in the total population of the city of Tae-Gu Data were collected from February 19 to March 15, 1990.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using the SPSS program. For testing reliability, Cronbach's alpha and Pearson's correlation were used, for validity, the factor analysiz method, and known-group technique 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ellows: 1. In testing reliability, it was found that coefficient of test-retest was .5716 (p<.001) when the test-retest method was used as a test of stability, and that the alpha coefficient of internal consistency was .8918 over all items within the instrument of health belief. This instrument demonstrated that when items were replicated across independent samples, highly reliable items covering a wide spectrum of health belief could he constructed. 2. When the factor analysis method was applied for validity, the instrument for health belief was separated into 4 factors, which differred from the original health belief constructs. The factors of health motivation and benefit were combined to form one factor, that is, health-benefit. Also, health belief dimensions appeared to be unrelated to each other, so relationships among health beliefs demonstrated that clear and different belief dimensions existed. And also to examine construct vality, the known-group technique was appli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regular check-up group and never-regular check-up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of health belief variables between regular check-up group and never-regular check-up group(P<.05 - P<.0000). 3. The results from the test for the degree of health belief, according to the subject's demographic variable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educational level, marital status, age and sex.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instrument for health belief may be a useful tool with a high degree of validity and reliablity.-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restrictio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성인의 건강신념 측정도구 개발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f instrument development for health belief of Korean adults-
dc.typeThesis-
dc.identifier.url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5798-
dc.contributor.alternativeNameMoon, Jeong Soon-
dc.type.local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3. Dissertation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