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 628

Cited 0 times in

가정간호사업 대상자의 선정기준개발과 써비스 내용에 관한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추수경-
dc.date.accessioned2015-11-20T06:06:33Z-
dc.date.available2015-11-20T06:06:33Z-
dc.date.issued1991-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8463-
dc.description간호학과/박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가정간호사업이란, 질병과 장애로 인한 영향을 최소한으로 줄이거나 건강을 유지 ·증진시키기 위해 가정에서 개인과 가족에게 건강관리 써비스를 제공해주는, 포괄적인 건강사업의 일환이다. 이 사업은, 만성 퇴행성 질환의 증가, 인구의 노령화로 인한 인구구조의 변화, 사회경제의 발전 및 가족구조의 변화 등으로 건강에 대한 써비스 요구의 증대, 의료보험의 실시로 의료비의 앙등과 병상의 부족 현상 등이 나타나게 되어, 이러한 문제해결을 위한 하나의 대안으로서 그 필요성이 증가되어 왔다. 우리나라는 이 사업을 정착시키기 위한 준비단계에 있으며, 병원 가정간호사업을 실시하려고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사업을 시행하기 위해서 대상자 선정방법과 사업을 실시할 때 제공되는 써비스 내용에 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이 분야에 대한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정간호사업 대상자 중에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뇌졸중과 뇌·척수손상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가정간호사업 대상자를 선정하는 기준을 개발하고, 이들의 건강문제를 중심으로 가정간호사업에서 제공되어야 하는 간호 써비스 내용을 밝히려고 시도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가정간호사업 대상자 선정기준을 개발하기 위한 방법론적 연구와 사업을 실시할 때 제공되어야 하는 써비스 내용을 밝히기 위한 분석적 연구방법의 두가지가 사용되었다. 가정간호사업 대상자 선정기준은 기틀 작성단계, 항목 및 서술내용 작성단계, 항목 및 서술내용 타당도 조사단계, 사전조사 및 기준 완성단계, 기준 검증단계, 기준 적용단계의 과정을 거쳐서 개발하였다. 즉 먼저 문헌을 통해 대상자선정기준의 영역 및 항목과 분류범주를 선택하였다. 서울, 대구지역의 500개이상의 침상수를 가진 병원을 20% 할당 표집한 8개소의 전문의와 수간호사 25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와, 수간호사와 간호사의 토의를 바탕으로 각 항목별 서술내용을 작성하였다. 항목과 서술내용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일 종합병원의 의료인 80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분류지침을 작성한 다음전문가가 그 내용을 검토하였다. 선택된 항목과 서술내용과 분류지침을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사전에 조사하여 항목 타당도와 항목별 일치도, 분류범주 일치도 등을 분석한 후 수정작업을 거쳐 최종 항목과 서술내용을 정하였다. 완성된 도구에 대해서는 신뢰도, 타당도를 검증하였으며, 1300 침상수를 가진 일 종합병원의 재활병동에서 뇌졸중과 뇌·척수손상 입원환자 62명을 선택하여 분류하고 가정간호사업 대상자를 선정하였다. 써비스 내용을 확인하기 위하여 문헌에 제시된 가정간호사업 내용을 조사하였으며, 또한 선정된 가정간호사업 대상자의 건강문제를 사정하여 이에 필요한 써비스 내용을 확인하고 의무기록지를 분석하여 병원에서 제공받은 간호내용을 조사하였다. 여기에서 나온 결과들을 바탕으로 가정간호사업에서 제공되어야하는 써비스 내용을 밝혔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가정간호사업 대상자 선정기준은, 서술형태의 도구로서 신체상태, 심리상태, 기능상태, 환경상태의 네 영역에서 12개 문제 항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항목을 세 수준으로 사정한 후 분류지침에 따라 범주를 분류하는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완성된 도구항목들의 내적일관성은 .8358, .8390이었으며, 각 항목에 대한 조사자 2명간의 신뢰도(interrater reliability)는 84%∼98%이었으며, 분류범주의 일치도는 92%이었다. 준거관련 타당도는 외적 준거로서, 건강상태 측정도구와 기능사정도구인 Barthel지수와 환자가 가지고 있는 건강문제를 사정한 건강 문제수를 사용하였다. 선정기준과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 입원 대상자, 가정간호사업 대상자, 퇴원 대상자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이 차이는 세 가지 준거에서 모두 나타나므로 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해 주고 있다. 2. 개발된 가정간호사업 대상자 선정기준에 의하여 일 종합병원 재활병동의 입원환자를 분류한 결과, 84.2%가 가정간호사업 대상자로 분류되었으며, 퇴원대상자는 8.8%, 입원대상자는 7.0%이었다. 가정간호사업 대상자의 특징으로는, 입원횟수가 2-3회인 경우가 65% 로 가장 많았고, 평균 입원기간은 2.2개월로나타났다. 3. 가정간호사업 대상자가 가지고 있는 건강문제의 종류는 모두 72종이었는데, 이 문제들은 신체상태 문제 54종, 심리상태 문제 8종, 기능상태 문제 6종, 환경상태 문제 4종으로 나눌 수 있었다. 대상자들이 2.1%-66% 범위에서 각 문제를 보유하고 있었으며, 대상자 의 과반수 이상이 가지고 있는 건강문제는 배뇨, 마비, 경축, 이동 등이었다. 신체문제는 각 계통별로 볼 때 근골격계의 문제가 많았으며, 피부 계통이나 호흡기 계통의 평균 문제수는 비교적 낮았다. 그리고 가정간호사업 대상자가 가지고 있는 건강문제는 평균 11.1개이었다. 4. 가정간호사업 내용을 문헌에서 고찰한 결과 위생, 영양, 호흡, 피부, 체온유지, 투약, 사정 및 관찰, 교육 및 상담 등의 10개 영역에서 이 사업의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또한, 이들 문헌에서 제시된 영역과 활동은 가정간호사업 대상자의 신체상태에 대한 건강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필요한 활동내용과 유사하였을 뿐만 아니라, 이 대상자들이 입원기간동안에 제공받은 간호내용의 분석결과와도 유사하였다. 문헌에 제시된 가정간호사업 내용과 실제 제공된 간호내용 및 신체상태 문제를 바탕으로 볼 때, 가정간호사업에서 제공되어야 할 써비스 내용은 10개 영역에서 50여종 이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토대로 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1. 본 연구에서와 같이, 가정간호사업 대상자 선정기준을 동일한 질환자에게 반복해서 적용해 보는 연구가 필요하다. 2. 호흡기계 질환 및 기타 성인병 질환의 문제를 포함하여 만성 질환자에게 공통으로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가정간호사업 대상자 선정기준 연구가 필요하다. 3. 본 연구의 결과로 밝혀진 가정간호 써비스 내용에 대한 처방 (standing order)과 업무규례서(protocol)의 작성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4. 가정간호사업에 필요한 인력연구와 수가연구를 위하여 가정간호사업을 제공받는 대상자를 분류할 수 있는 환자분류체계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영문] Home health care is one of an extensive array of health services. It offers health care to individuals and family members at home in order to minimize the effects of diseases and disorders, and to maintain and pro-mote health. Nowadays,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home health care due to the growing number of people with degenerative diseases, changes in the demographic structure as a result of an increasing number elderly people, socio-economic improvements and changes in the family structures. In addition medical costs have risen and there is a shortage of ward space in hospitals, particularly, since universal medical insurance was introduced. As one of the alternatives to meet these problems, the demand for home health care has increased. Home health care is in the politically preparatory stage in Korea and planning for it is being promoted. The prerequisites for conducting scientific and systematic home health care are studies about client selection and the content of the service. However, up to now, there have been few studies in this field. Hence, this study was done to clarify the types of health care that should be offered. It focused on developing client selection criteria based on the needs of inpatients with cerebral vascular diseases, head injuries and spinal cord injuries. Two research methods were adopted. One was a methodological approach for developing client selection criteria and the other was analytical approach to clarify the types of services to be offered. Client selection criteria were developed through the stages of framing, developing items with descriptions, validity confirmation of items and descriptions, pretest and criteria completion, criteria verification and applications. First, client selection criteria, items and classifications were select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Items and description details were clarified by survey findings and discussions with 25 doctors and head nurses in eight hospitals sampled from hospitals with more than 500 beds in Seoul and Daegu. The proportional sampling of the hospitals was 20 per-cent. In order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items and description details,80 medical persons in one general hospital were surveyed and professional health providers reviewed the contents of the classification criteria. A pretest for the selected items, description details and classification criteria was conducted with inpatients. The final items and descriptions were completed through examination of item validity, item description consistency, classification consistency and through their revisions.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completed tool were verified with 62 inpatients with either cerebral vascular diseases, or head or spinal cord injuries in a rehabilitation ward in one general hospital with 1300 beds. The patients were examined and classified, and the patients requiring home health care were selected. In order to clarify the types of service, the health problems of the selected patients were surveyed and the necessary types of services were confirmed. The types of nursing offered in the hospitals were analyzed through the medical records and based on these data, the types of service to be offered in home health care were finally established. From the research findings, the following summarized conclusions have been drawn. 1. The problem and item criteria used to select patients requiring home health care, namely, a prototype evaluation tool, consisted of 12 items in four areas; physiological status, functional status, psychological status and environmental status. After assessing each item at three levels, the categorization was done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criteria. The item internal consistency of the completed tool was .8358, 8390,the inter-rater reliability was in the range of 84 percent-98 percent and the classification consistency was 92 percent. As external criteria, the relationship of the prototype tool to the Health Status Scale, the Barthel Index of Functional Status Assessing Devices and the number of health problems of the patient were examined and all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ant, verifying the validity of the tool. 2. Using the tool to classify the inpatients according to the established client selection criteria, 84.2 percent were classified as patients requiring home health care, 8.8 percent were assessed as suitable for outpatient care and 7.0 percent were assessed as patients needing to be hospitalized. Among the patients requiring home care, 65 percent had been hospitalized two or three times and the mean period of the hospitalization was 2.2 months. 3. Clients assessed as requiring home health care had 72 different kinds of health problems, which could b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 54 types of physiological status problems, 8, psychological, 6, functional and 4, environmental status problems. For each problem, the percentage of patients who suffered from the disorders ranged from 2.1 percent 66 percent. More than half of the subjects had problems related to urination, paralysis, contracture or locomotion. For the physiological category, many of the health problems were due to disorders of muscles and bone, whereas skin and breathing disorders were relatively ow. The mean number of health problems in this category was 11.1. 4. Reviewing the literature, it was found that home health care consisted of 10 activity areas, namely, sanitation, nutrition, breathing, skin, body temperature maintenance, medication, assessment and observation, education and counselling. The service areas and activities presented in the literature were similar, not only to the activities necessary to treat the physical status problems of patients in home health care but also, to the nursing care activities the patients received during hospitalization. Considering the types of service presented in the literature and the nursing care actually offered in the hospital and physiological problems of the patients, it was found that the types of home health care that need to be offered covered 50 different kinds of activities in 10 areas. On the basis of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are made. 1. Replicated research that applies the client selection criteria for home health care to the same kind of patients as were used in this study is needed. 2. Study is required to systemize classifying clients for home healthcare, so that the classification tool can be applied to the classification of other chronic patients including patients with breathing disorders or other adult diseases. 3. Study is required to develop standing orders and protocols for all of the types of home health care which were identified in this study. 4. In order to identify the necessary personnel resources and the costs for home care, research to develop tools for classifying home healthcare clients is required.-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restrictio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가정간호사업 대상자의 선정기준개발과 써비스 내용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client selection criteria and services for home health care : c.v.a, head & spinal cord injury inpatients : 뇌졸중, 뇌.척수-
dc.typeThesis-
dc.identifier.url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3886-
dc.contributor.alternativeNameChu, Su Kyung-
dc.type.local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3. Dissertation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