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561

Cited 0 times in

사회적 지지와 건강상태와의 상관관계에 관한 일 연구

Other Titles
 (A) study for cor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health status : centered on nursing college students : 간호대학생을 중심으로 
Authors
 이영란 
Issue Date
1982
Description
간호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최근에 들어 건강과 관련된 연구에서 사회적 지지 (Social support) 라는 개념이 하나의 중요한 정신사회학적 변수로 대두되고 있다.

사회적 지지는 질병의 과민성을 높게 하는 유해한 요인이나 자극적 요인을 사전에 예방하거나 차단케 함으로써 질병이 발생되지 못하도록 하며 어떤 자극이나 위기를 겪었을 경우 그 사실에 대한 개인의 인지적 해석을 멀 충격적이도록 하고 여러가지정보와 심리적 지지를 주어 그 위기에서 빨리 회복할 수 있도록 해 준다.

본 연구에서는 인간의 건강유지 및 질병예방, 회복을 위해 사회적 지지를 보다 많이 활용할 수 있도록 사회적 지지에 건강상태 측정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연구대상은 Y대학교 간호대학에 1982년도 1학기에 등록한 전학생 382명 중 264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도구로는 구조화된 노오베크외 사회적 지지 측정 질문지와 코오넬 의학 지수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1982년 5월3일부터 15일까지였다. 수집된 자료는 백분율, x**2 -Test, 상관계수, 변량분석 등의 통계 방법으로 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제 변수와의 관계에서는 학년과 지지의 관계 맺은 기간, 상실의 유무, 상실의 질 등 세가지 하위 변수가 유의한 관계를 나타냈다(x**2 =48.62, p<.01 , x**2 =13.64, P<.01, x**2 = 62.31, p<.05). 즉 높은 학년일수록 지지의 관계 맺은 기간은 많으며, 상실의 유무, 상실의 질 등이 적었다.

연령과 지지 상실의 질이 유의한 관계를 나타냈는데 (x**2 =30.91, p<.05) 이는 연령이 많아질수록 상실에 대해 극복하는 능력이 커짐을 말한다.

부모생존여부와 상실의 유무가 유의한 관계를 나타냈는데(x**2= 19.19, p=0.000) 이는 부모의 사망이 지지의 상실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경제상태와 지지의 상실면이 유의한 관계를 나타냈는데( F = 4.150, p<.05) 이는 경계상태가 상위일 수록 지지의 상실면이 적은 것을 말하며 경제 상태가 하위인 사람일 수록 사회적, 정서적으로 불안정하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2. 제 변수들간의 상관관계에 있어서는 신체적 건강이 순상관관계를 보였다( r= .5504, p<.01) .즉 신체적으로 건강한 사람은 정신적으로도 건강하였다.

사회적 지지의 기능면과 지지망 조직면도 순상관관계를 보였다( r= .6561 , p<.01). 즉 지지망 조직의 효율성, 안정성 등이 높을 수록 지지의 질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신적 건강과 지지의 상실면이 순상관관계를( r=.1450, p>.01 ) 이는 지지의 상실면이 적을수록 정신적 건강상태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선행 연구를 근거로 한 가설의 검증에서는 제1가설, "사회적 지지도가 높을 수록 신체적 건강 상태가 놓을 것이다. "는 기각되었다 (r=.0304, p>.05).

제2가설, "사회적 지지도가 높을수록 정신적 건강 상태가 좋을 것이다"는 기각되었다.( r=.0461, p>.05).

제3가설, "사회적 지지도가 높을 수록 건강상태가 좋을 것이다"는 기각되었다( r=.0417, p>.05).

즉, 사회적 지지도가 건강상태에 대해 아무런 영창을 주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사회적 지지와 건강과의 상관관계에서 특히 사회적 지지의 상실면과 건강사이에 상관관계가 깊음을 알 수 있었으며, 앞으로 우리나라의 문화와 가치수준에 맞는 사회적 지지 측정 도구의 개발과 그에 따른 사회적 지지와 건강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가 더 계속되어야 하겠다.





[영문]

In recent years, the concept of social support has emerged as a major psychosocial variable in health-related research.

The functions of social support are two dimentions (1) social support will prevent or reduce the stressor producing the sensitivity of illness, (2) after the individual has met the stressor, the social support will reduce the fact and effect more rapid recovery with many informations and psychological support.

This study was done for the purpose of much more use to the concept of social support for maintains of health, prevention of illness and recovery by investigating correlation of social support with health statu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made up of 264 students, who are from all students 382 who registered for the 1st semester of Nursing College of Y University in 1982.

The study method used, was a structured Questionnaire for the social support (Norbeck Social Support Questionnaire, NSSQ) and health status (Cornell Medical Index, CMI).

The period for data collection was from May 3th to May 15th, 1982.

Analysis of the data was done using percentage, chi-square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ANOVA.

The results of study were as follows:

1. In the relations subjects characteristics with variables, grade with duration of retationship, loss and quality of loss were significant (X**2= 48.62, P<.01, X**2 =13.64, P<.01, X**2 =62.31, P<.05). Age with quality of loss were significant (X**2 =19.19, P=.000). And economic status with loss were significant (F= 4.150, p<.05).

2. In the correlation among variables, it was found that physical health and emotional health were positively correlated (r=.5504, p<.01). That total functional of social support and total network were positively correlated (r=.6561, p<.01). And that emotional health and total loss were positively correlated (r=.1450, p<.01).

3. The hypotheses tested were based on the related studies:

1) The first hypothesis, "the higher social support, the higher physical health status", was rejected (r=.0304, p>.05)

2) The second hypothesis, "the higher social support, the higher emotional health status", was rejected (r=.0461, p>.05).

3) The third hypothesis, "the higher social support, the higher health status", was rejected (r=.0412, p>.05)

In summary of the correlations between social support and health status, loss aspect of social support and health status had been correlated strongly.

In the future, the development for the instrument that will be acceptable in our culture and value is necessary, to continue the study on the relation social support with health status.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5555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8446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