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 756

Cited 0 times in

산업장 생산직근로자의 예방적 건강행위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preventive health behavior of workers in manufacturing industries 
Authors
 김영란 
Issue Date
1989
Description
간호학과/석사
Abstract
[한글]

간호의 대상자인 개개인의 효과적인 건강관리 의 실천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효율적인 보건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며, 그 이전에 대상자의 건강에 대한 인식 및 태도, 건강행위의 실천정도와 이와 관련된 장애요인과 이점 등이 파악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특히 산업장에서 직접 생산에 참여하고 있는 근로자들의 건강을 유지, 증진하기 위한 예방적 건강행위의 실천을 높이는 것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직업병과 산업재해 그리고 작업기인성질환의 발생을 줄이고 건강율 증진시키기 위한 기본 과제라 하겠다.

본 연구는 생산직 근로자들의 예방적 건강행위에 대한 필요성 인식정도와 실천정도, 그리고 실천하지 않는 구체적 요인과 이점과의 관계를 밝히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로서 산업장에있어 건강교육과 사고, 질병 예방 프로그램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대상자는 기계제조업체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질문지법을 이용하여 1989넌 5월 5일부터 5월 10일까지 6일동안 자료를 수집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294부중 탈락과 불충분한 설문지를 제외한 284부가 분석에 이용되었다.

자료분석을 위해 일반적 특성과 예방적 건강행위의 필요성 인식정도, 실천정도의 점수는 기술통계방법을 이용하였으며,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필요성 인식정도와 실천정도의 차이를 알아보기위해 군비교(group t-test)와 분산분석(AN0VA, F-test)을 이용하였다.

예방적 건강행위간의 관계를 보기 위해 피어슨 적률상관계수를 알아보았으며, 예방적 건강행위의 실천정도와 자가건강상태간의 관계를 보기 위하여 ,κ**2 -tset 1(Chi-square test)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걸과는 다음과 같다.

1. 예방적 건강행위의 필요성 인식정도의 평균은 122.1점, 표준편차 16.3으로 매우 높은 점수분포를 나타내고 있으며, 실천정도의 평균은 87.6점, 표준편자 15.1로써 필요성인식정도보다는 낮은 실천정도를 나타내고 있다. 각 항목별로는 '잠을 충분히 잔다', '화장실을 다녀온 후 손을 씻는다', '작업장의 안전수칙을 지킨다', '휴식을 충분히 취한다', '매번 식사후 이를 닦는다', '작업시 보호구를 착용한다'의 항목에서4.5점 이상의 높은 필요성 인식정도를 보였으며, 실천정도에서는 '식사를 규칙적으로 한다', '매번 식사후 이를 닦는다','화장실을 다녀온 후 손을 씻는다' 등의 항목에서 3.5점 이상의 점수를 나타내고 있다.

2. 예방적 건강행위에 대한 필요성 인식정도와 실천정도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29개 항목 중 20개의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것은 필요성의 인식정도가 높을수록 실천정도가 높은 것으로서 인식정도가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라 하겠다.

3. 예방적 건강행위를 실천하지 않는 이유는 각 항목마다 다르게 나타났다. 수면, 휴식, 과로, 운동 등의 항목에서는 주로 '시간이 없어서' 라고 응답하였고, 안전수칙의 이행, 보호구 착용, 예방접종 등의 항목에서는 '귀찮아서'의 응답이 가장 많았다. 또한 식사, 양치질, 안전밸트 착용 등의 항목에서는 주로 '습관이 안되어서'라고 응답하였다. 건강서적, 정기건강검진, 정기적치과방문, 기생충 검사 등에 관한 항복에서는 '당장 하지 않아도 될만큼 급하지 않아서'라고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다.

4. 예방적 건강행위의 필요성 인식정도 또는 실천정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있는 일반적 특성으로는 근무년수와 월수입이었으며, 예방적 건강행위의 실천정도는 학력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

5. 예방적 건강행위의 이점에 대한 동의정도는 제공된 5가지항목 모두에서 3.5점 이상의 높은 평균접수를 보였으며, '건강해질 수 있다'의 동의정도가 가장 높은 평균 점수를 보였으며, 다음은 '자신의 의지력이 강해진다', 그리고 '정신적으로 안정감을 얻는다' , '질병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다' , 끝으로 '경제적으로 절약이 된다'의 순으로 나타났다.

6. 예방적 건강행위의 실천정도와 자가건강상태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실천정도가 낮고 높음에 따라 건강상태의 분포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7. 조사대상자에 대한 추가분석으로 간강지식 습득원으로서 60%이상의 응답 비율을 보인 항목이 대중매체였으며, 의무실 간호사(산업보건 간호사)로부터 건강지식을 얻는다고 응답한 사랑은3.5% 에 불과하였다.

위의 결과로 보아 생산직 근로자들은 예방적 건강행위에 대해필요성을 깊이 인식하고 있으나, 실천정도는 그에 미지지 못하고있었다. 또한 간강지식의 습득원이 대부분 대중매체에 국한되어있어 산업보건간호사가 건강지식의 습득원으로서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그러나 건강행위의 이점에 대한 동의정도는 높은 접수를 보이고 있으므로 지리적 접근도가가장 높은 보건의료 전문인인 산업보건간호사의 효율적이고 지속적인 보건관리를 통해 예방적 건강행위의 실천을 높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This descriptive-correlational study was undertaken in order to examine the recognition of the need for and practice of preventive health behavior of industrial workers, the reason for not practicing preventive health behavior, and relationship between the recognition of the need for and the practice of preventive health behavior.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284 workers obtained by a conveniance sample of two manufacturing companies located in Kyunggi-do. The tool used for this study was a questionnaire which was developed by the researcher. Data were collected during

six days from May 5 to 10, 1989.

Analysis of the data wart done by use of descriptive statics, group t-teat, analysis of variance(ANOVA, F-teat) , Pearson-correlation coefficient and chi-square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In regard to the recognition of the need for preventive health behavior, the average score was very high(122.1) and the average score for practice of preventive Health behavior wart low(87.6).

2. Of the 29 items related to preventive health behavioral 20 of the items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the recognition of the need for and practice of preventive health behavior.

3. The reasons given for not practicing preventive health behavior were different for each item.

4. The general characteristics which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the recognition of the need for preventive health behavior were the number of years worked and monthly income. In regard to practice of preventive health behavior with the general characteristic that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wart the educational level.

5. In regard to the advantages of preventive health behaviors there wars a high score in each of the five items(over 3.5).

6. As for the source of knowledge about health, over 60% of the respondents obtained their knowledge from "masts media". Only 3.5% of the workers acquired their knowledge about health from the occupational health nurse.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5576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8443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