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 2587

Cited 0 times in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분석

Other Titles
 Determinants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 centerd on well adults living in Seoul : 서울지역 일반 성인남녀를 중심으로 
Authors
 이태화 
Issue Date
1990
Description
간호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사회가 발전하고 산업화, 구조화 됨에 따라 질병의 양상이 변화하고, 이로 인한 사망률의 감소와 평균 수명의 연장은 계속적인 건강요구의 증가를 가져왔다. 또한 건강에 대한 의식의 변화와 건강관리비용의 상승은 사람들로 하여금 일상생활속에서 자신의 안녕수준을 증진시키고자 하는 건강증진행위에 관심을 갖게 하였다. 특히 지역사회 간호사업의 대상자인 일반 주민개개인에게 효과적인 건강증진행위 강화를 돕기위해서는, 효율적인 보건교육이 이루어져야하며, 그 이전에 대상자의 건강에 대한 인식 및 태도, 건강증진행위의 실천정도와 이와 관련된 요인 등이 파악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본 연구는 한국 성인의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현재 수행하고 있는 건강증진행위의 정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시도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대상자는 서울소재 3개의 직장에서 근무하는 18세에서 60세사이의 직장인을 대상으로, 질문지법을 이용하여 1989년 10월 24일부터 1989년 10월 30일까지 일요일을 제외한 6일동안 자료를 수집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370부중 탈락과 불충분한 설문지를 제외한 349부가 분석에 이용되었다. 자료분석을 위해 일반적 특성과 현재 수행하고 있는 건강증진행위 정도의 점수는 기술통계방법을 이용하였으며, 일반적 특성과 제변수들간의 유의성 검증을 위해 분산분석(ANOVA)과 군비교(t-test)를 이용하였다. 건강증진행위와 제변수들과의 관계를 보기위해서는 피어슨 적률 상관계수 (Peason Correlation Coefficient)를 산출하여 분석하였으며, 건강증진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에는 단계적 중회귀 분석(Stepwise Multiple Reqression)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들이 현재 수행하고 있는 건강증진행위의 정도는 최대 평점 4점에 대해 평균점수 2.69, 표준편차 0.34로 보통정도의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2. 일반적 특성과 건강증진행위와의 관계검증에서 연령만이 낮은 역상관 관계를 보이며(r=-.089, p<.05), 그 이외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건강증진행위 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건강증진행위와 제변수들과의 상관관계에 있어서, 내적 건강통제위와 타인의존적 건강통제위는 건강증진행위와 유의한 순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으며(r=.361, p<.001; r=.225, p<.001), 우연성 건강통제위는 유의한 역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다(r=-.124, p<.01). 또한 자아존중감은 건강증진행위와 유의한 순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으며 (r=.401, p<.001), 지각된 건강상태도 건강증진행위와 유의한 순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다(r=.365, p<.001).

4. 대상자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을 분석한 결과, 가장 영향력있는 변인은 자아존중감이며, 그 다음이 내적건강통제위, 타인의존적 건강통제위, 지각된 건강상태, 연령, 성취감, 조화의 순이고, 이 7개의 주요 변인에 의해 건강증진행위를 30.66% 설명할 수 있었다.

이와같은 본 연구의 결과는, Pender(1982)의 건강증진 모형을 이용하여 한국성인의 건강증진행위의 수행정도를 예측하는데 부분적인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하였다.



[영문]

This descriptive-correlational study was undertaken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the following variables : importance of health, health locus of control, self-esteem and perceived health status with the degree to which they explain well adult's practice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349 adults obtained by a convenience sample from three business enterprises located in Seoul.

The tool used for this study was a structured questionnaire which was developed by the researcher. Data were collected for six days from October 24 to 30, 1989.

Analysis of the data was done by use of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For the practice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the mean score was 2.69 and standard deviation was 0.34.

2. Demogrphic variables had no impact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except for age. Age showed a very low negative correlation with health promotion behavior(r=-.089, p<.05).

3. With regar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all the independent variables, internal health locus of control(IHLC) and powerful others health locus of control(PHLC) correlated positively with healthe promotion behavior(r=.361, p<.001; r=.225, p<.001); chance health locus of control(CHLC) correlated negatively(r=-.124, p<.01); self-esteem correlated positively(r=-.401, p<.001) and perceived health status also correlated positively(r=.365, p<.001). But importance of health did not show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health promotion behavior.

4. The combination of self-esteem, internal health locus of control, powerful others health locus of control, perceived health status, age, and accomplishment and harmony related to importarce of health explained 30.66% of the variance of the likelihood of engagement in health promotion behavior.

These findings partially support the relationships posited in Pender's (1982) health promotion model that individual perceptions influence health promotion behavior.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2990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Yonsei Authors
Lee, Tae Wha(이태화) ORCID logo https://orcid.org/0000-0003-2568-3074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8419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