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483

Cited 0 times in

소아암환아 어머니의 부담감, 사회적 지지와 가족 기능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The) burden, social support, and family function in mothers of children with cancer 
Authors
 이은정 
Issue Date
1996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소아의 주요 사망 원인중 하나인 소아암은 항암제, 방사선 요법등 암치료 방법의 발달과 더불어 급성형태에서 오랜 기간의 치료기간을 거치게 되는 만성병의 형태로 바뀌고 있다. 따라서 소아암 환아를 가진 어머니를 포함한 가족은 새로운 상황에 처하게 되고 역할 변화와 생활 변화를 겪게 되면서 가족의 적응이 요구된다. 특히 환아 어머니는 대부분 환아를 돌보는데 일차적인 책임을 지므로 이로 인한 부담감을 다른 구성원보다 많이 가지게 된다. 한편 사회적 지지는 이러한 부담감을 감소시킨다고 보고되고 있다. 또한 사회적 지지의 일차적인 제공처는 가족이며 많은 만성 질환자를 돌보는 사람들이 지지 제공자로 가족을 꼽고 있다. 따라서 주요 지지 제공원인 가족의 기능과 환아 어머니가 인지하는 사회적 지지와 부담감의 관계를 확인하는 것은 가족을 지지원으로 활용하게 하는 중재의 근거를 마련하는 것이기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본 연구는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로 백혈병, 월름씨 종양, 림프종, 신경아세포종, 호치킨스 병등으로 진단을 받고 C대학병원에서 치료와 관리를 받고 있고 상태가 치명적이 아니며 진단후 3개월이 경과한 환아의 어머니 7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기간은 1996년 4월 29일에서 5월 4일까지였다. 구조화된 질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도구로는 부담감을 측정하기 위해서 서미헤, 오가실(1993)이 개발한 도구를 환아어머니에게 맞게 수정한 후 사용하였고, 환아 어머니가 인지하는 사회적 지지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박지원(1985)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가족기능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0lson이 개발한 FACES Ⅲ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AS를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검정, ANOVA, 피어슨 상관관계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소아암환아 어머니의 부담감은 최대점수 125점에 평균 73.0이었고 평균 평점은 2.92%이었다.

2. 소아암환아 어머니가 인지하는 사회적 지지는 최대점수 125점에 평균 96.6이었고 평균 평점 3.86으로 나타났다.

3. 소아암환아 어머니가 인지하는 가족기능중 가족적응력은 27.6%가 구조화된 상태였고 35.3%는 유연한 상태, 15.8%는 경직된 상태, 21.1%는 혼돈된 상태로 나타났다. 가족결속력은 42.2%는 연결된 상태, 36.0%는 분리된 상태, 13.2%는 이탈된 상태를, 13.2%는 밀착된 상태를 나타내었다. 가족적응력과 가족결속력에 따른 가족유형을 보면 조화된 유형이 52.6%(40명), 중간유형이 32.9%(25명),극단적 유형이 14.5%(11명)이었다.

4. 소아암환아 어머니의 부담감과 인지하는 사회적 지지는 서로 역상관관계를 보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r=.434, p<.001).

5. 가족유형별 부담감을 분석한 결과 조화된 유형일수륵 부담감점수가 높은 경향을 보이고, 극단적 유형일수록 부담감점수가 낮은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6. 가족유형별 사회적 지지를 분석한 결과 조화된 유형일수록 인지하는 사회적지지 점수가 낮은 경향을 보였고 극단적 유형일수록 인지하는 사회적지지 점수가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특히 극단적 유형중 가족결속력이 높을수록 인지

하는 사회적 지지 점수가 높았다.

7. 소아암환아 어머니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부담감, 사회적 지지의 차이를 본 결과 교육정도에 따라 인지하는 사회적 지지에 차이가 있었다(F=4.68, p<.05).

소아암환아 어머니의 부담감은 인지하는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낮은 경향을 보였으므로 부담감을 감소시키기 위한 간호중재에 적절히 활용해야 하며 부담감, 사회적 지지와 연결하여 가족기능중 가족결속력과는 추후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사회적 지지의 다각적인 방법을 모색하고 그것에 따른 효과에 대한 연구가 뒤따라야 한다.



[영문]

The purpose of the descriptive correlational study was to examine relations among the burden, the social support, and the family function in mothers caring for children with cancer. Seventy six mothers completed the three questionnaires of the sudy. (a) The Burden Scale (b) Social Support Scale (c) FACES Ⅲ. Correlation, ANOVA, and Chi-squre test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Findings identified that the negative relation between the social support and the burden. Even though the balanced type of family function was described higher score in burden than the extreme type of family function, there was no enough significance between two of them. Compared to the balanced type of family function, the score in the extremed type of family function was high as a aspect of social support. Moreover, there was stronger connection between the cohesion of family function and the social support, rather than between the adaptability of family function and the social support.

Results of the study suggested that the social support were able to be influeced the effects of illness. The cohesion of family, also, was related to the social support. Therefore, the social support and the family cohesion in family function would be come down the burden of mothers caring child with cancer.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5878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8345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