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1127

Cited 0 times in

유방암환자의 에스트로겐수용체, 조직학적 분화도 및, 유방촬영술소견과의 연관성

Other Titles
 Relation between estrogen receptor, histologic grade and mammographic findings in patients with primary breast cancer 
Authors
 강병철 
Issue Date
1996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지금까지 유방암환자의 예후 및 그 인자들과의 상관관계를 밝히려는 시도가 있어 왔으나, 연구자나 연구 방법에 따라서 상반된 보고가 있다. 특히, 유방암환자에서 호르몬수용체중 에스트로겐 수용체외 수치 또는 유무가 환자의 예후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알려져 왔으며 이에 대한 많은 보고가 있었다. 따라서 본 저자는 이러한 유방암환자의 에스트로겐수용체, 조직학적 분화도 및, 유방촬영술소견과의 관계를 관잘하여서 이 세인자들 사이외 상관관계를 밝혀 예후인자로서의 타당성을 살펴보았다. 1992년 3월부터 1996년 3월까지 영동세브란스병원에 내원하여 수술받은 유방암환자중 호르몬수용체검사를 실시한 197명을 대상으로, 유방촬영술에 나타나는 소견을 침상음영(spiculation), 유방실질음영증가(increaaed parenchymal density), 석회화소견(calcification), 종괴(mass) 등으로 구분하고 수술조직에서 얻은 유방암조직의 에스트로겐수용체의 수치 및 면역조직화학염색법에 의한 호르몬수용체의 양성 정도를 비교하였으며, 그에 따른 유방촬영술소견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197명의 유방암환자중 79명에서 유방촬영술소견을 비교할 수 있었고,

조리학적 분화도와의 상관관계를 관찰할 수 있었던 154명, 그리고 호르몬수용체중 면역조지화학염색법과 효소면역법을 함께 시행한28명에서 상관관계를 조사했을 때, 효소면역법에 의한 에스트로겐 수용체의 수치와 유방촬영술소견중 침상음영(Modified t-test, P<O.01) 및 종괴(Modified t-test P<0.01)와 상관관계가 있으며, 유방실질음영증가와 석회화소견은 상관관계가 없었다. 에스트로겐 수용체의 수치와 조직학적인 분화도는 통계학적인

연관성이 없었으며, 에스트로겐 수용체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염색법과 효소면역법사이에서 약간의 상관성(상관계수 R=0.428)을 관찰할 수 있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예후가 양호한 에스트로겐수용체의 수치가 높은 유방암환자군에서 유방촬영술 소견중, 침상음영과 종

괴의 소견은 간접적인 예후인자로서의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영문]

There is a varible agreement about the hormonal receptor as a prognostic factor in primary breast cancer. But, the prognostic significance of estrogen receptor in tumors of women with primary breast cancer is generally accepted. Thus,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ormone receptor status, histolosic grade and, the film-mammographic findings in primary breast cancer, 198 breast cancer patients with hormonal receptor assay were included in this study. Estrogen recepter(ER) and progesterone receptor(PR) determined by immunohistochemical method and enzyme-immunoassay, and film-mammographic findings were evaluated to disclos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ree variables. Film-mammographic findings of the breast cancer are classified as spiculation,increased parenchymal density, calcification and mass. There is no correlation between estrogen receptor and histologic grade in 154 patients. Some correlation between estrogen receptor by enzyme-immunoassay and by immunohistochemistrical methods with 28 available data(R=0.428). Among high estrogen receptor(ER) patients,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spiculation or mass in mammograpby wire 79 available data(Modified t-test, P<0.01). Thus, spiculation or/and mass of the mammography can be grouped to the high possibile indicator of the positive estrogen receptor or high level of estrogen receptor.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6617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8320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