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762

Cited 0 times in

상악골 전방견인 장치 사용후 측모 변화 및 안정성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profile change and stability of treatment after wearing protraction head gear 
Authors
 신자영 
Issue Date
1996
Description
치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골격성 제Ⅲ급 부정교합은 성장과 연관되어 나타나는 부정교합의 형태로서 성장이 진행됨에 따라 그 심각성이 더해가는 데에 문제점이 있다. 성장기 골격성 제Ⅲ급 부정교합의 원인은 크게 세가지로 분류할 수 있는데 하악의 과성장으로 인한 경우, 상악의 열성장으로 인한 경우, 그리고 이 두가지가 복합되어 나타나는 경우가 그것이다. 상악의 열성장을 동반한 골격성 제Ⅲ급 부정교합 환자에서 성장의 조기에 상악골 전방견인 장치가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 장치의 효과 및 측모변화에 대한 연구는 많이 시행되어 왔다. 그러나, 국내외 많은 선학들의 다양한 연구에도 불구하고 치료 후 측모 변화 및 치료 효과의 안정성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이에 본 저자는 상악골 열성장으로 인한 성장기 골격성 제Ⅲ급 부정교합으로 진단받고 상악골 전방견인 장치로 치료받은 환자 중 재진단(follow-up)이 가능한 50명(남:18명, 여:32명)의 환자를 선별하여 성별, 치료개시 나이별, 구강내 장치 종류별로 분류한 뒤, 치료후 나타나는 측모 변화 및 치료의 안정성에 대하여 알아보고, 한국인 정상교합아동 20명(남:10명, 여:10명)과 상악골 전방견인 장치로 치료받은 환자사이에서 성장량에 어떠한 차이가 존재하는지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상악골 전방견인 장치 사용전과 사용후를 비교한 결과 악안면 골조직과 연조직및 치아의 계측항목에서 많은 변화량을 관찰할 수 있었다.

2. 상악골 전방견인 장치와 상악골 급속 확장장치(R.P.E.)를 함께 사용한 군에서는 악안면 골조직의 변화량이 크게 나타났으며 순설측 유지장치(La-Li)를 함께 사용한 군에서는 치아의 변화량이 크게 나타났다.

3. 상악골 전방견인 장치 착용기간동안 치료군에서 나타나는 변화량과 정상군의 성장량을 비교하여 보면 상악골 전방성장량이 치료군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4. 상악골 전방견인 장치 제거후 치료군에서 나타나는 성장 변화량과 정상군의 성장량을 비교하여 보면 상악골 전방성장량에 있어서 치료군의 성장량이 정상군의 성장량보다 적게 나타났다.

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상악골 전방견인장치를 사용하는 중에는 상악골의 전방성장을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으나 전방견인이 끝난 후에는 상악골 성장의 자극효과가 소멸되어 상악골 열성장의 양상으로 되돌아가는 경향을 관찰하였다.



[영문]

Skeletal class Ⅲ malocclusions are growth-related discrepancies, and the problems are more severe until growth is complete. Causes of skeletal class Ⅲ malocclusion are classified into mandibular overgrowth, maxillary deficiency, and combination of the two. Protraction Head Gear(P.H.G.) has been recommended for treatment of class Ⅲ malocclusion with maxillary deficiency in the early time of growth.

Numerous experiments were performed and clinical studies have been reported on P.H.G. ; nerverthless, studies on profile changes and stability after treatment of P.H.G. are considered to be somewhat insufficient.

The author selected 50 patients who can be checked for follow-up. They had been diagnosed as skeletal class Ⅲ malocclusion with maxillary deficiency and then treated with P.H.G. ; the sample group was divided according to sex, treatment beginning age, palatal suture opening(intraoral appliance). For each group, changing pattern of facial profile and stability of treatment observed, and comparison with 20 Korean normal children(Angle's class Ⅰ).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Skeletal, dental, and soft tissue measurements indicated more changes in the amounts of maxillary forward movement during P.H.G. treatment.

2. R.P.E. group showed more significant maxillofacial changes and La-Li group showed more dental changes.

3. Growth changes of maxilla induced in the treatment group during wearing P.H.G. were much more than those of normal group.

4. Growth changes of maxilla in the treatment group after treatment of P.H.G. were less than those of normal group.

5. From the obtained data, it can be concluded that there was a stimulative effect on forward growth of maxilla during the use of P.H.G. ; however, on removal of P.H.G., the stimulative effect was eliminated and undergrowth tendency of maxilla resumed.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5634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Dept. of Advanced General Dentistry (통합치의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8308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