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 691

Cited 0 times in

상피유방암종의 단순유방촬영술 소견의 분석

Other Titles
 Analysis of breast carcinoma on X-ray mammography : Correlation with pathologic findings : 병리학적 소견과의 비교 
Authors
 박진숙 
Issue Date
1996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한국 여성에 있어 유방암의 발생 빈도가 증가하여 조기 진단과 조기 치료가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고, 특히 단순유방촬영술이 진단에 많이 이용되고있다. 본 연구에서는 상피유방암종(breast carcinoma)의 조직학적 분류에 따른 단순유방촬영술의 소견을 분석하고, 단순유방촬영술에서 보이는 소견과 핵 등급, 조직학적 등급이 상피유방암종의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은 증상이 있었던 환자중 수술과 병리조직 소견을 통해 상피유방암종으로 확진된 114예였고, 단순유방촬영 방법은 내외측 촬영과 상하측 촬영을 하였다. 단순유방촬영상 보이는 소견을 종괴, 석회화, 침상돌기로 나누고, 핵 등급, 조직학적 등급, TNM staging을

비교하였다.

결과는 상피유방암종의 조직학적 분류에서 침윤성 관상피암이 78.9% (90예)로 가장 많았다. 단순유방촬영 소견으로는 종괴와 방사형 침상돌기가 같이 있었던 경우가 41.2% (48예), 종괴, 석회화, 침상 소견이 모두 있었던 경우가 34.2% (39예)였고, 또한 각 소견별로 종괴가 있었던 경우에서 종괴의 모양이 불규칙한 경우가 43.9% (50예), 석회화 소견에서는 석회화가 있는 경우가 47.4% (54예), 침상 소견에서는 방사형의 침상돌기를 보인 경우가 75.4% (86예)로 가장 많았다. 단순유방촬영 소견(종괴, 석회화, 침상돌기)과 TNM staging 중, T 병기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 관계가 없었으나, 침상돌기가 있을수록 임상병기(stage)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 단순유방촬영 소견과 핵 등급, 조직학적 등급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핵 등급과 T, M 병기와는 통계적 상관관계가 없었고, 핵 등급과 N 병기, 핵 등급과 임상병기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05).

결론적으로 상피유방암종은 단순유방촬영에서 종괴 형성과 방사형 침상돌기 또는 종괴 형성, 악성 군집성미세석회화와 방사형 침상돌기가 동반된 경우가 많으며, 침상 소견이 있을 때 임상병기도 높은 경향을 보였고, 따라서 단순유방촬영 소견과 핵 등급, 조직학적

등급과의 직접적인 상관관계는 없었지만, 상피유방암종의 단순유방촬영 소견이 병리학적 소견과 함께 고려될 때, 환자의 예후 추정에 상당한 도움을 주리라 사료된다.





[영문]

Recently the incidence of breast cancer in Korea has been increasing, therefore early diagnosis and treatment of breast cancer is important.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mammographic findings of breast carcinomas (114 cases) retrospectively. The findings of X-ray mammography of breast carcinoma were analysed to define the relationship with nuclear grading, histologic grading, and clincal TMN staging, which suggest the prognosis of breast carcinomas.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According to histologic classifcations of breast carcinomas, infiltrating ductal carcinoma was the most common(78.9%).

2. On the X-ray mammographic findings, mass with spiculation was 41.2%, and mass with calcification and spiculation was 34.2%. Irregular mass was found in 43.9%, calcification in 47.4%, and radiating spiculation in 75.4%, respectively.

3. The X-ray mammographic findings (mass, calcification and spiculation) were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 staging, but the spiculation was correlated with the advanced clinical staging.

4. The X-ray mammographic findings were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nuclear grading and the histologic grading.

5. The nuclear grade was not correlated with T and M staging. But the nuclear grade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lymphatic involvement(N staging) and clinical stage(p<0.05).

In conclusion, mass with spiculation, and mass with calcification and spiculation were common findings of breast carcinoma in Wonju area. Although the X-ray mammographic findings seem to be not correlated with nuclear grading and histologic grading directly, but combined studies with evaluation of mammographic findings, nuclear grade, and histologic grade were useful for the decision of the prognosis of the breast carcinoma.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5647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8302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