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 1650

Cited 0 times in

자궁경부암 환자의 치료시기별 불확실성, 대처방식 및 우울의 변화양상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소향숙-
dc.date.accessioned2015-11-20T06:00:43Z-
dc.date.available2015-11-20T06:00:43Z-
dc.date.issued1995-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8233-
dc.description간호학과/박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본 연구는 처음으로 자궁경부암 진단을 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치료를 시작하기 전부터 치료 시작후 3개월에 이르는 시기까지 면접조사에 의해 3회 반복측정하는 종단적 설계의 기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불확실성과 대처방식 및 우울 점수의 변화하는 양상을 파 악하고 치료시기별로 불확실성과 대처방식 및 우울 점수를 예측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이론적 기틀은 Lazarus와 Folkman(1984a)의 스트레스-대처-적응의 과정론적 모형과 우울의 인지구조론적 모형을 통합하여 제시한 김정희(1987)의 스트레스-대처-적응과정의 통합모형을 근거로 하여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자료수집 기간은 1994년 10월 10일부터 1995년 6월 15일까지 총 8개월이었으며, 연구대상은 1개 대학병원 외래 자궁암 클리닉에서 처음으로 자궁경부암 진단을 받고 주치료로 자궁적출술 또는 근치적 방사선치료를 받은 45명의 환자가 최종 자료분석의 대상이었다. 연구도구는 Mishel(1981)의 불확실성 측정도구, 본 연구자가 수정보완한 Folkman과 Lazarus(1985)의 대처방식 체크리스트, Beck의 우울 측정도구, Pollock(1986)의 건강관련 강인성 측정도구, 태영숙(1985)의 암환자를 위한 가족지지 측정도구 및 Rosenberg (1965)의 자존감 측정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일반적 특성으로 인구학적 및 의료병리적 기록지를 작성하여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AS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불확실성 점수, 대처방식 점수 및 우울점수의 변화양상과 시기별 차이검증은 One-Way Retreated Measures ANOVA와 Bonferroni Adjustment로 분석하였고, 제 변인들이 치료시기에 따른 점수 변화양상에 영향을 주는지를 검증하고자 Two-way Repeated Measures ANOVA를사용하였다. 각 치료시기별로 불확실성 점수, 대처방식 점수 및 우울 점수를 예측하는 변인들과 설명력을 검증하기 위하여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 1) 불확실성 점수는 수술 전에 비하여 수술 후 1개월에 유의하게 낮아졌다가 다시 수술 후 3개월에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내어 치료시기별로 유의한 점수변화를 보였다(p = .0056). 2) 문제중심 대처방식은 치료시기별로 유의한 점수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며 세 시기에 걸쳐서 일정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정서중심 대처방식은 수술 전에 비하여 수술 후 두 시기의 점수가 유의하게 낮아져서 치료시기별로 유의한 점수변화를 보였다(p = .0001). 3) 우울 점수는 수술 전과 수술 후 1개월에 비하여 수술 후 3개월에 유의하게 낮은 점수를 보였으며(p = .0049), 1차와 2차시기는 중등도의 우울 증상을 그리고 3차시기는 경한 우울증상을 보였다. 4) 불확실성 점수를 유의하게 예측하는 요인을 치료시기별로 보면 수술 전 에는 교육수준과 자존감이었고, 수술 후 1개월과 3개월에는 암병기였다(B =-.147, p = .093: B =-.282, p = .026: B = .182, p = .024; B = .212, p= .031). 또한 세 시기에 걸쳐서 불확실성 점수가 높게 나타난 경우는 고연령충층, 중졸 이하 학력군, 암병기가 깊을수록, 복합적 치료형태군, 난소절제군, 항암제 투여군 및 강인성 성향이 낮은 군이었다 5) 문제중심 대처방식 점수를 유의하게 예측하는 요인을 치료시기별로 보면 수술전에는 강인성이었고(B =-.340, p = .020), 수술 후 1개월에는 종교유형과 항암제 투여여부였고(B = .322. p = 029; .B =-262, p = ,076), 수술후 3개월에는 교육정도, 자존감 및 난소보존유무였다(B = .201, p = .060; B = .281, p = .040: B =-.371, p =.038). 또한 세 시기에 걸쳐서 문제중심 대처방식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던 경우는 고졸 이상 학력군, 천주교/기독교군 및 강인성 성향이 높은 군이었다 6) 정서중심 대처방식 점수를 유의하게 예측하는 요인을 치료시기별로 보면 수술전에는 자존감이었고(B =-.192, p = .087), 수술 후 1개월에는 가족지지, 자존감 및 난소보존유무였으며(B =.310. p = .003; B=-.184, p =.090;B=-.310. p = .097). 수술 후 3개월에는 교육정도, 가족지지, 불확실성. 연령 및 항암제 투여여부였다(B = .363, p = .001: B = .332, p= 008;B = .340, p = 018: B = .026. p = .040;B = .306, p =.086). 또한 세 시기에 걸쳐서 정서중심 대처방식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던 경우는 천주교/기독교와 무종교군 그리고 가족지지 상위군이었다. 7) 우울 점수를 유의하게 예측하는 요인을 치료시기별로 보면 수술 전에는 자존감이었고(B =-.290, p = .009), 수술 후 1개월에는 자존감과 암병기였고(B =-.264, p = .008; B= .141, p = .041), 수술 후 3개월에는 불확실성, 강인성, 자존감 및 암병기였다(B = .24 5, p = .022; B= .290, p = .049, B =-.158, p = .068; B = .121, p = .054). 우울점수를 예측하는 독립변인으로 사전우울을 개입시킨 경우 수술 후 1개월에는 1차시기의 우울이(B =-.356, p = .021) 수술 후 3개월에는 2차시기의 우울, 연령 및 강인성이(B = .497, p = .001; B = .013, p = .077; B =.213, p = .092) 우울 점수를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또한 세 시기에 걸쳐서 우울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던 경우는 높은 암병기군. 복잡한 치료형태군. 난소절제군 및 자존감 하위군이었다. 자궁경부암 환자가 사용하는 대처방식중 문제중심 대처방식은 치료시기에 따른 변화가 없었으나 정서중심 대처방식의 사용은 수술 전에 가장 높았고 수술 후 1개뭘 이후로 크게 감소되었다. 자궁경부암 환자가 경험하는 중등도의 우울증상은 주치료를 받기 전부터 치 료를 시작한지 1개월 이상이 경과하기까지 지속되었으며 주 치료를 받은지 3개월이 경과된 시기는 경한 우울증상을 보였다. 자궁경부암으로 치료받은 환자의 불확실성과 우울을 주로 예측설명하는 변인들은 자존감 및 암병기 등의 의료병리적 변인들이었다. 또한 사전우울 점수가 우울증상을 가장 영 향력있게 설명하였으며, 높게 지각한불확실성과 낮은 강인성 성향도 우울을 정적인 방향으로 설명하였다. 본 연구가 자궁경부암 환자간호에 기여하는 바는 자궁경부암 환자의 진단과 치료과정 및 회복기간에 걸쳐서 환자의 적응과정을 돕는 과정지향적인 간호중재 및 간호상담 프로그램의 개발에 대한 지침이 되리라 본다. 또한 임상 간호사가 본 조사에서 고안한 환자 개개인의 인구학적, 의료병리적 및 심리사회적 변인들을 사정함으로써 치료시기별로 적합한 개별적인 간호중재접근을 하는 간호 지침서로서 적용될 수 있어서 간호실무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wofold : first, to delineate the change of perceived uncertainty, ways of coping, and depression of newly diagnosed uterine cervical cancer patients in three phases(the day before operation, post-operative 1 month, and post-operative 3 months); second, to determine the predictors of perceived uncertainty, ways of coping, and depression during each time frame. The study design, a descriptive correlational and longitudinal study, was done through interviews. The theoretical framework was derived basically from the Lazarus & Folkman's process model of stress-coping-adaptation and cognitive model of depression. A total of 45 subjects from one general hospital in Kwang-ju City were observed and interviewed during 8 months with the aid of 7 structured instruments; Mishel's Uncertainty in illness scale, Folkman & Lazarus's W.C.C.L., Beck's Depression Inventory, Pollock's health-related hardiness scale, Tai's family support scale, Rosenberg's self-esteem scale, and records on the demographic and medical factors. The data obtained were analyzed using percentage, paired t-test, 1-way and 2-way Repeated Measures ANOVA,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Changes on the score of the perceived uncertain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uring the three phases(p = .0056). On the post-hoc test, the scor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from the pre-operative day to post-operative 1 month and increase from post-operative 1 month to post-operative 3 months. 2. Changes on the score of problem-focused coping was statistically non-significant, but the score of emotion-focused coping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uring three phases(p = ,0001), On the post-hoc test, the score of the latter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from the pre-operative day to post-operative 1 month and post-operative 3 months. 3. Changes on the the score of depress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uring the three phases(p = .0049). On the post-hoc test, the scor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from the pre-operative day and post-operative 1 month to post-operative 3 months. 4. The predictors to explain the score of the perceived uncertainty were the educational level and the self-esteem at the pre-operative day(B =-.147, p =.093; B =-.282, p = .026), and cancer staging at the post-operative 1 month and 3 months in each time(B = .182, p = .024; B = .212, p = .031). 5. The predictors to explain the score of problem-focused coping were hardiness at the pre-operative day(B =-.340, p = .020); religion and the induced anti-cancer chemotherapy at the post-operative 1 month(B = .322, p = .029; B=-.262, p = .076); education level, self-esteem,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ovary at the post-operative 3 months(B = .201, p = .060; B = .281, p = .040;B =-.371, p =.038). 6. The predictors to explain the score of emotion-focused coping were self-esteem on the the pre-operative day(B =-.192, p = .087); perceived family support, self-esteem,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ovary at the post-operative 1 months(B =.310, p = .003; B =-.184, p = .090; B=-.310, p = .097); the educational level, perceived family support, uncertainty, age, and the induced anti-cancer chemotherapy at the post-operative 3 month(B = .363, p =.001; B = .332, p = .008; B= .340, p = .018; B = .026, p = .040; B = .306, p =.086). 7. The predictors to explain the score of depression were self-esteem at the pre-operative day(B =-.290, p = .009); self-esteem and cancer staging at the post-operative 1 months(B =-.264, p = .008; B = ,141, p =,041); uncertainty, hardiness, self-esteem, and cancer staging at the post-operative 3 month(B =.245, p = .022; B = .290, p = .049; B =-.158, p = .068; B = .121, p = .054). When two prior phases of depression were entered as independent variables, they were significant predictors at the post-operative 1 month and 3 months(B= .356, p = .021; B =.497, p = .001). From the above fining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an be stated as follows: 1. The theoretical aspect of this study evidenced the usefulness of the intergration of the coping process model with a cognitive approach to depression. 2. On research aspect the longitudinal design was evidenced a powerful research design and enlightened patterns of change throughout the observation period and significant factors explaining dependent variables on each time 3. This study has contributed to establishing a concrete nursing assessment form for the prescription of patients with uterine cervical cancer.-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restrictio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자궁경부암 환자의 치료시기별 불확실성, 대처방식 및 우울의 변화양상-
dc.title.alternativeChanges on the uncertainly, ways of coping, and depression for patients with uterine cervical cancer during th early adaptation pro-
dc.typeThesis-
dc.identifier.url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6994-
dc.contributor.alternativeNameSo, Hyang Sook-
dc.type.local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3. Dissertation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