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 663

Cited 0 times in

회전운동검사에서 각가속도의 변화에 따른 전정안구반사의 변화

Other Titles
 Vestibulo-ocular reflex according to the change of angular acceleration in sinusoidal harmonic acceleration test 
Authors
 지장훈 
Issue Date
1995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현훈증은 환자의 직업활동은 물론이고 일상생활에도 막대한 지장을 주는 증상으로 그 원인이 다양하여, 질병의 진단이 어려울 뿐 아니라 효과적인 치료를 위해서는, 객관적인 평형기능검사의 결과에따라 치료방향을 설정하는 것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그 중에서도 특히 우리가 관심을 가지고 있는 전정기능의 이상에 의한 현훈증을 진단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가 있어왔으나, 지금까지는 그 연구들에 주로 냉온자극검사나 회전운동검사가 많이 쓰여왔고, 국내에서는 아직 회전운동검사가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지 못한 관계로 이 분야에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연구자는 이신경학적으로 정상인 20대, 30대의 성인 남녀 각각 10명씩을 대상으로 적절한 검사조건을 알아보고자, 주파수를 0.05Hz로 고정시킨 상태에서 진폭을 30˚ , 60˚, 90˚, 120˚, 150˚ 외 다섯가지 조건으로 변화시키면서 회전운동검사를 시행하여 각 조건하에서 최대 완서상 안구속도, 획득도, 좌우 안구 운동속도의 비대칭성을 측정하여 다음과 갈은 결과를 얻었다.

(1) 각 진폭에서의 좌우 안구 운동속도의 비대칭성은 30˚ 에서 평균 13.6%로 가장 높았고, 120˚ 에서 평균 6.9%로 가장 낮았지만 통계학적인 의미는 없었다(p<0.05).

(2) 최대 완서상 안구속도의 평균치는 30˚ 에서 12.5deg/sec, 60˚ 에서 14.7deg/sec, 90˚에서 18.7deg/sec, 120˚에서 22.6deg/sec, 150˚에서 29.9deg/sec로 진폭이 증가할수록 최대 완서상 안구속도도 증가하여 각 진폭간에 통계학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p<0.05).

(3) 획득도의 평균치는 30˚에서 0.83, 60˚에서 0.49, 90˚에서 0.42, 120˚에서 0.38,150˚에서 0.39로 진폭이 증가할수록 획득도는 감소하며, 30˚에서 90˚의 진폭에서는 통계학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p<0.05).

이상의 결과로 보아 회전운동검사에서 0.05Hz로 주파수를 고정할 경우 획득도는 진폭이 작을때 높고, 안진의 형태는 진폭이 클때 더 명료하게 나타나지만, 실제로 검사시에는 90˚ 이하의 진폭으로 검사하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We investigated the veatibulo-ocular reflex which is followed by the change of angular acceleration in sinusoidal harmonic acceleration test. 20 normal volunteers without the evidence of previous otoneurologic disease were tested. The maximal slow phase eye velocity, gain and asymmetry were obtained in five different amplitudes of rotation, 30˚, 60˚, 90˚, 120˚and 150˚with properly fixed conditions such as darkness and the frequency of rotation fixed at 0.05Hz. During the test, we asked the examinees to be alert and keep the eyes open. At least 5 minute interval was given between the tests and recalibrations were done before each tests.

The results of this test were as follows.

1. The asymmetries of each amplitude were the highest(13.6%) at 30˚and the lowest(6.9%) at 120˚ ,but there were no statistical significances(p<0.05),

2. The maximal slow phase eye velocities were gradually increased according to the increment of the amplitudes of rotation with the statistical significances(p<0.05).

3. The gains were gradually decreased according to the increment of the amplitudes of rotation between the range of 30˚and 90˚with the statistical significanoes (p< 0.05) .

Therefore, from the above results, sinusoidal harmonic acceleration test with the frequency fixed at 0.05Hz, gain is higher when the amplitude of rotation is small and the pattern of the nystagmus is more evident when the amplitude of rotation is

big. But I conclude that in order to get the results which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amplitude of rotation should be lower than 90˚.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8410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8216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