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 532

Cited 0 times in

간내 공간점유병소의 고식적 스핀에코 영상과 고속 스핀에코 영상과의 비교분석

Other Titles
 Comparison of conventional spin echo, fast spin echo and fast multiplanar spoiled gradient recalled imaging for evaluation 
Authors
 최필식 
Issue Date
1995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국소적 간 병변의 자기 공명 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MRI) 검사에서의 고식적 스핀 에코 방식과 fast spin echo (FSE) 방식 및 fast multiplanar spoiled gradient recalled (FMPSPGR) 영상간의 병변에 대한 발견율 및 병소의 현저도를 비교하여 FSE 방식과 FMPSPGR 방식이 고식적 스핀 에코 방식을 대치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초음파나 CT를 통해 간종괴가 의심 되었던 36명의 환자 (남;여=24;12 평균 연령 54)들에 대하여 MRI를 시행하였다. MRI는 1.5T 영상 장치를 사용하였으며, 모든 환자에 대하여 고식적 스핀 에코 T1 (SE T1WI),T2 강조영상(SE T2WI)과 FSE방식에 의한 T2 강조영상, FMPSPGR 방식의

T1 강조영상 및 Gd-DTPA 조영후 FMPSPGR 영상을 얻었다. 대상 환자는 원발성 간암이 16례, 혈관종 13례, 전이암 3례, 담관암 3례, 임파종 1례 등이었다. 종괴의 현저도와 발견율을 각 MR 영상에서 비교하여 보았다. 전체 36명의 환자에서 총 63개의 종괴가 발견되었으며, Gd-FMPSPGR 방식에서 63개(100%), 조영전 FMPSPGR 62개(98%), SE T2WI 58개(92%), SE T1WI에서 56개(89%) FSE 54개(86%)가 관찰되었다. 고형종괴에 대한 대조도비(Contrast noise ratio:CNR)는 Gd-FMPSPGR에서 가장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다른 영상방식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혈관종에 있어서의 CNR은 SE T2WI가 가장 높았으며 SE-T1WI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질적인 면에서는 Gd-FMPSPGR방식이 고형종괴와 혈관종 병소 모두에서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FSE는 병소 발견율에서 SE T2WI보다 낮았으나 현저도 면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국소성 간병소를 평가함에 있어서 호흡정지동안 얻은 조영전후의 FMPSPGR방식은 SE T1WI를 대치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FSE는 SE T2WI와는 달리 호흡보상을 할 수 없어 상대적으로 병소 발견율이나 현저도에서 낮은 결과를 보여 SE T2WI를 FSE로 대치하기 힘들 것으로 생각되며, FMPSPGR 방식과 G

d-FMPSPGR 방식을 같이 사용하면 고식적 스핀 에코를 대치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영문]

Detectability and conspicuity of focal hepatic lesions between conventional spin echo techniques and fast scanning techniques in MR imaging were compared for consideration of replacing conventional spin echo with fast spin echo, and fast multiplanar spoiled gradient recalled echo. 36 patients (24 men and 12 women, mean age of 54 years) with known or suspected liver masses on CT scan and US underwent MR imaging with 1.5 T system. Conventional spin echo T1, T2 weighted imaging,T2 weighted fast spin echo, T1 weighted fast multiplanar spoiled gradient recalled(FMPSPGR) imaging and Gd-enhanced FMPSPGR(Gd-FMPSPGR) were performed. 16

cases of hepatocellular carcinoma, 13 cases of hemangioma , 3 cases of metastasis, 3 cases of cholangiocarcinoma, and 1 case lymphoma were evaluated. Lesion conspicuity and number of detected hepatic masses were compared among the MR sequences. Overall 63 hepatic lesions were detected in 36 patients. Number of lesions detected were 63(100%) with Gd-FMPSPGR, 62(98%) with non-enhanced FMPSPGR, 58(92%) with SE T2WI, 56(89%) with SE T1WI and 54(86%)with FSE. For solid tumors, the contrast to noise ratio was greatest on Gd-FMPSPGR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any other sequences. For hemangiomas it was greatest on SE T2WI and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SE T1WI. In the qualitative assessment, Gd-FMPSPGR was more preferable for both solid mass lesion and hemangioma. FSE was iferior to SE T2WI for lesion detection but differences in lesion conspicuity showe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conclusion, for the evaluation of focal hepatic lesions, breath-hold FMPSPGR with and without contrast enhancement may replace the conventional SE T1WI. Because of lack of respiratory compensation with FSE, it is difficult to replace the SE T2WI with FSE. But FSE, FMPSPGR and Gd-FMPSPGR images, when combined, may replace SE T1WI and SE T2WI.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3978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8211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