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 641

Cited 0 times in

회전운동검사에서 전정안구반사의 변동성

Other Titles
 Plasticity of vestibulo-ocular reflex in slow harmonic acceleration test 
Authors
 이정준 
Issue Date
1995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회전운동검사(Rotation test)는 머리의 회전운동에 의해 유발되는 전정안구반사 (vestibulo-ocular reflex, VOR)를 이용하여 피검자의 전정기능을 검사하는 방법으로, 온도자극을 통해 전정안구반사를 유발하는 냉온자극검사(Caloric test)에 비해 자극이 생리적이고, 자극의 정도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회전운동검사는 양측 전정기관이 동시에 자극을 받는다는 점과 피검자의 주의집중, 안구의 개폐, 시야자극 등에 의해 검사결과에 영향을 받는다는 점이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특히 검사조건에 따른 검사결과의 변동성에 대하여는 보고자에 따라 다른 연구결과를 보이고 있어 계속적인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저자는 이신경학적으로 정상인 20대의 남자 18명과 여자 12명을 대상으로 안구의 개폐와 피검자의 주의 집중 여부가 전정안구반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회전운동검사(sinusoidal harmonic acceleration test)를 시행하여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

었다. 회전운동검사는 암시야에서 0.05 Hz의 주파수와 120˚의 진폭으로 고정하여 시행하였다.

1. 안구의 개폐에 따라

가. 주의 집중시에는 개안시의 평균 획득도가 0.56으로 폐안시의 평균획득도 0.51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의미있게 높았다 (P
나. 주의 집중을 안한 경우 개안시의 평균 획득도가 0.45로 폐안시의 평균획득도 0.42와 통계학적으로 차이가 없었다 (P>0.05).

2. 주의 집중 여부에 따라

가. 개안시 주의 집중을 한 경우 평균 획득도가 0.56으로 주의 집중을 안한 경우의 평균 획득도 0.45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의미있게 높았다 (P<0.05).

나. 폐안시 주의 집중을 한 경우 평균 획득도가 0.51로 주의 집중을 안한 경우의 평균 획득도 0.42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의미있게 높았다 (P<0.05).

결론적으로 회전운동검사에서 안구의 개폐와 피검자의 주의 집중 여부는 검사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로서 이중 피검자의 주의집중여부가 더욱 중요한 변수이며 이 두가지의 조건을 조합하여 만들어진 네가지 검사조건중 피검자가 눈을 뜨고 주의 집중을 한 경우 가장 높은 값의 획득도를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영문]

The effect of eye-open or eye-closure and alertness on the rotational vestibular stimulation was assessed by evaluating 30 otoneurologically normal subjects with earth vertical axis in sinusoidal harmonic acceleration test. The maxiaml slow phase eye velocity, gain and asymmetry were obtained and compared with each other in four different conditions with properly flexed conditions such as in darkness and 0.05 Hz frequency. At least five minutes interval was gives between the tests and recalibrations were done before each tests.

The results of this test were as follows.

1. VOR changes according to eye open or closure In cases of examinees which were given alerting tasks, larger gain was obtained with eyes opened than with eyes closed, and tha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In cases of examinees which were not given alerting tasks, larger gain was obtained with eyes opened than with eyes closed, but tha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2. VOR changes according to alertness

In cases of examinees which opened their eyes, larger gain was obtained with alerting tasks than without alerting tasks, and tha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In cases of examinees which closed their eyes, larger gain was obtained with alerting tasks than without alerting tasks, and tha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
3.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s of asymmetry according to the conditions.

Therefore, from above results, we recommend the condition in which examinees open their eyes and be given alerting tasks as one of the optimal condition in sinusoidal harmonic acceleration test.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8411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8176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