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 1050

Cited 0 times in

폐표면활성제 투여 여부에 따른 부검시의 폐출혈 소견

Other Titles
 Pulmonary hemorrhage in neonates after treatment with surfactant : An autopsy evaluation 
Authors
 전화영 
Issue Date
1995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호흡곤란증후군 환아에게 패표면활성제 치료가 도입됨으로써 미숙아의 이병률과 사망률이 현저히 감소하였으나, 최근 합성 폐표면활성제의 투여가 임상적 폐출혈 및 조직학적 폐출혈과 연관이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자연 폐표면활성제와 임상적 폐출혈은 관계가 없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고 부검 사례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이에, 자연 폐표면활성제 투여군과 비투여군의 부검상 폐조직 표본을 관찰하여 폐출혈의 양상 및 빈도, 중증도를 비교 분석하여 자연 폐표면활성제의 투여가 폐출혈과 관련이 있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은 호흡곤란증후군으로 치료 중 사망한 환아 39례를 후향적으로 조사 하였다. 폐표면활성제 투여군은 13례였고 비투여군은 26례로, 폐표면활성제 치료 도입 이전에 사망한 환아는 16명이었고 그 후 사망한 환아는 10명이었다. 대상 환아는 모두 사망 후 24시간 이내에 부검이 실시되었고, 각각의 부검시 폐 각 엽의 가장 넓은 횡단 절편을 취해 H-E 염색을 한 후 보관하여 환자당 각 5엽의 조직절편을 후향적으로 판독하였다. 폐출혈은 폐간질출혈, 폐포내출혈, 폐혈종으로 분류하였고, 각각의 심한 정도에 따라 1점에서 3점까지 점수제로 판독하였다.

폐표면활성제 투여군의 재태연령과 출생체중은 비투여군과 비교하여 통계학적인 차이는 없었으나(p>0.05), 투여군에서 호흡곤란은 심한 정도를 보였다. 임상적 폐출혈은 투여군에서 15.4%, 비투여군에서 19.2%였고 동맥관개존증의 빈도는 차이가 없었다. 조직학적 폐출혈은 두 군 모두 92.3%로 높았고, 중증 폐간질출혈이 투여군에서 7.6%, 비투여군에서 23.1%였으며, 폐혈종은 투여군이 7.7%, 비투여군이 19.2%로 비투여군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학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폐표면활성제 투여 여부에 관계없이 각 엽간의 폐포내출혈과 폐간질출혈의 빈도도 차이가 없었고, 중증도 점수가 3점인 중증 폐간질출혈과 중증 폐포내출혈이 발견되었던 엽의 수도 차이가 없어 폐손상이 전 폐에 균일하게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자연 폐표면활성제 투여가 폐출혈의 빈도, 양상 그리고 중증도에 영향이 없었음을 알 수 있었으나 앞으로 페출혈과 폐표면활성제 투여 여부와의 상관관계는 전향적으로 보다 폭 넓은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영문]

Although surfactant-replacement therapy reduces morbidity and mortality rates for premature infants, an association between synthetic surfactant therapy and pulmonary hemorrhage has been repor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frequency, extent, and type of pulmonary hemorrhage seen at autopsies of

natural surfactant-treated infants and untreated infants. I reviewed the findings of 39 autopsies - 13 for infants who had received exogenous surfactant and 29 for those who had not. Infants who met the following criteria were included: birth

weight 500 to 2500gm, gestational age 22 to 36 weeks, survival 4 hours to 7 days, and no congenital anomalies. All glass slides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by a single investigator who was unware of the treatment status of the infants.

Pulmonary hemorrhage was classified as interstitial hemorrhage, intraalveolar hemorrhage, and lung hematomas. High rates of pulmonary hemorrhage were present in both groups (all 92.3%).Pulmonary interstitial hemorrhage, intraalveolar hemorrhage and lung hematomas did not differ between the two groups. There was no evidence that surfactant treatment was associated with pulmonary hemorrage.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7885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8152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