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1623

Cited 0 times in

십이지장 유두주위 게실의 임상적 특성

Other Titles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eriampullary diverticulum 
Authors
 백순구 
Issue Date
1995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십이지장 게실의 대부분은 유두부주위에서 발견되며 담도 및 췌관 또는 혈관의 유입으로 생긴 십이지장벽의 약한 부위가 탈장되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십이지장 유두주위 게실은 웨장염, 담관염 등의 합병증과 담석질환의 발생 빈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왔으며 특히 담도결석은 게실환자에서 그 빈도가 높아 이의 연관성을 밝히려는 많은 연구 및 보고가 있어 왔다. 최근 담췌관 질환의 진단 및 치료에 내시경적 역행성 담체관 조영술과 유두괄약근 절개술이 활발히 이용되고 있으며 게실이 내시경 수기의 난이도에 영향을 미쳐 유두삽관의 성공률을 떨어뜨리고 유두괄약근 절개시 출혈등과 같은 합병증의 발생 빈도를 높인다는 주장이 있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발생 빈도, 형태 및 동반질환이나 내시경적 역행성 담췌관 조영술과 관련된 임상적 특성 등에 관한 체계적인 검토가 미흡한 편이다.

이에 연구자는 최근 2년간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부속 원주기독병원내과에 내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시행한 내시경적 역행성 담췌관 조영술 2080예중 유두주위 게실의 검토가 가능한 1389예를 대상으로 첫째, 십이지장 유두주위 게실에 대한 크기, 위치, 방향등과

같은 해부학적 형태를 분석하고 둘째, 총수담관석과 같은 담췌관 질환에 대한 연관성과 셋째, 게실이 내시경적 역행성 담췌관 조영술 수기의 난이도에 미치는 영향 등을 조사 분석함으로써 한국인에 있어 십이지장 유두주위 게실의 임상적 특성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결과

1. 십이지장 유두주위 게실의 발생 빈도는 19.4%(269/1389예)였으며, 성별 분포는 남자 18.5%,여자 20.6%이었다.

2. 연령별 발견 빈도는 주로 40세 이후에 연령이 많아짐에 따라 증가하였다.

3. 유두주위 게실을 형태학적으로 살펴보면 게실의 수는 단발성인 경우가 95.9%였고, 95.9%가 유두의 상부에 위치하였으며, 69.5%가 유두에 근접하여 있었다.

4. 유두주위 게실이 있는 군에서 총수담관석의 발견 빈도는 30.3%로, 게실이 없는 군의 13.1%보다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5. ERCP시 유두의 삽관 실패율은 유두주위 게실이 존재하는 군에서 9.3%, 게실이 없는 군에서는 9.7%의 빈도를 보여 양군 간의 차이가 없었다.

6. 유두괄약근 절개술을 시행한 환자에서 합병증으로 출혈의 발생 빈도는 게실이 존재하는 환자에서 5.9%, 게실이 없는 환자에서 12.7%의 빈도로 유두주위 게실이 없는 환자에서 더 높은 빈도를 보였으나 통계학적 의미는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십이지장 유두주위 게실은 내시경적 역행성 담췌관 조영술시 흔히 접하는 기형으로 전체 발생 빈도는 외국의 보고와 비슷하였다. 또한 총수담관석과 동반정도가 높고, 기술적인 어려움은 있으나 게실이 진단 및 치료적 내시경적 역행성 담췌관 조영술의 수기에 장애요인은 되지 못함음 알 수 있었다 .

[영문]

Periampullary diverticulum has been known to be associated with various bilio-pancreatic diseases such as choledocholithiasis and disturbs performing selective cannulation of ERCP and EST. This present study aims to investigate anatomical morphology of periampullary diverticulum and to determine whether periampullary diverticulum influences difficulty and complication performing of

ERCP and to analys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iampullary diverticulum and choledocholithiasis. We reviewed records of chart and diverticular pictures in 1389 cases of underwent ERCP and evaluated the incidence, size, direction, location of periampullary diverticulum and its influence against performing of ERCP and investigated its relationship with billo-pancreatic diseases such as choledocholithiasis. The incidence of periampullary diverticulum was 19.4% and showed 18.5% in male, 20.6% in female. There was a trend towards a higher rate with

increasing age. In a aspect of morphology, 95.9% of diverticula were presented as single and almostly directed on the upper portion of ampulla and located on adjacent to ampulla. In the presence of periampullary diverticulum, the incidence of choledocholithiasis was 30.3% higher than 13.1% without periampullary diverticulum and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incidence between patients with and without periampullary diverticulum. The rate of selective cannuiation failure performing of ERCP was 9.3% with periampullary diverticulum and 9.7% without periampullary diverticulum and showed no statistically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patients with EST, rate of bleeding such as complication was 5.9% with periampullary diverticulum and 12.7% without periampullary diverticulum and no statistically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as foun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eriampullary diverticulum was often found during ERCP and its incidence was nearly close to the other foreign reports.

Periampullary diverticulum was correlated with choledocholithiasis and didn't influence the techniques in performing of ERCP and EST.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6227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8134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