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 654

Cited 0 times in

군 간부의 건강증진 프로그램 요구도 및 영향요인 분석

Other Titles
 Health promotion needs and its influencing factors among Korean military officers 
Authors
 이지현 
Issue Date
1995
Description
간호학과/석사
Abstract
[한글]

본 연구는 남자 군 간부들의 건강증진 프로그램 요구도를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제 변인을 분석하여 군 간부를 대상으로 하는 건강증진 프로그램개발의 기초 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로서, 자료수집기간은 1995년 10월 6일부터 10월 17일까지 12일간이었으며, 연구대상은 서울지역 일개 사단의 하사에서 대령까지 304명이었다

자료수집은 연구자의 면담과 문헌고찰을 통하여 개발한 구조화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질문지는 인구학적 특성, 직업관련특성, 건강 위험요인, 건강관련인지지각요인, 인지된 사회적 지지에 대찬 질문 50문항, 건강증진 프로그램 요구도에 대한 질문 8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들의 연령은 20세에서 55세까지로 평균 연령은 32세였다. 대상자중 평소 규칙적인 운동을 시행하는 경우는 29.4%였으며, 현흡연율은 66.4%였다. 평균 음주빈도는 월 1-4회가 44.6%로 가장 많았으며, 78.6%가 표준 체중군에 속하였다.

대상자들은 건강을 건강문제 개념보다는(2.97) 안녕 개념으로(3.35) 인식하고있었으며, 87.1%의 대상자가 자신을 건강하다고 평가하였으며, 건강증진 프로그램 참여에 대해 가족의 지지를 가장 높게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8가지 건강증진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도를 조사한 결과, 가장 원하는 건강증진 프로그램은 운동 프로그램(3.33)이었으며 다음이 스트레스관리(3.10), 암예방(2.89), 영양관리(2.65), 고혈압관리(2.63), 체중관리(2.51), 금연(2.51), 금주(2.32) 프로그램순이었다.

3. 단계적 중회귀분석을 통해 각각의 건강증진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운동 프로그램은 계급이 높을수록(b=.74, p=.02), 가족의 지지를 높게 인지할수록(b=.19, p=.04) 요구도가 높게 나타났다(R**2 =.03).

2) 스트레스관리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도는 가족의 지지에 대한 인지도가 높고(b=.38, p=.00), 음주를 하며(b=.59, p=.00), 운동을 불규칙적으로 하거나, 아예 하지 않고(b=-.27, p=.02), 과소체중군에 속할수륵(b=-.27, p7.03), 그리고 건강을 건강문제의 부재로 정의하지 않을수록(b=-.16, p=.04) 높게 나타났다(R**2 =.13).

3) 암예방 프로그램은 장기 횹연자일수록(b=.22, p=.04), 가족의 지지를 높게 인지할수록(b=.25, p=.05)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R**2 =.05).

4) 영양관리 프로그램은 건강을 안녕 개념으로 받아들일수록(b=.34,p=.00), 가족의 지지에 대해 높게 인지하고(b=.31, p=.00), 과소체중군에 속할수록(b=-.33, p=.01) 요구

도가 높게 나타났다(R**2 =.10).

5) 고혈압관리 프로그램의 경우 가족의 지지를 높게 인지하는 군일수록(b=.31, p=.03)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R**2 =.02).

6) 체중관리 프로그램은 매일의 흡연량이 많을수록(b=.02, p=.01), 간식을 자주 섭취할수록(b=-.29, p=.03) 요구도가 높게 나타났다(R**2 =.06).

7) 금연 프로그램은 현재 담배를 피우고 있으며(b=.99, p=.00), 과소체중군에 속할수록(b=-.43, p=.00)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병과별로는 특수 병과 소속 대상자(b=-.35, p=.01)의 요구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R**2=.18).

8) 금주 프로그램은 수면량이 많을수록(b=.13, p=.04), 간식을 자주 섭취할수록(b=-.26, p=.05), 과소체중군에 속할수록(b=-.52, p=.00) 요구도가 높게 나타났다(R**2 =.10).

이상의 결과를 요약해보면, 금연, 금주 프로그램을 제외하고는 대상자의 건강행위가 그 건강행위와 관련된 프로그램 요구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예를들어, 운동 프로그램의 경우 대상자의 운동시행 여부는 요구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스트레스관리 프로그램의 경우 스트레스 수준이, 체중관리 프로그램의 경우 BMI(Body Mass Index)가 프로그램 요구도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제공시에는 제공자의 입장에서가 아니라 프로그램 수혜자의 입장에서 대상자의 요구를 충분히 사정하여 이를 프로그램에 반영해야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영문]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epare the data base for the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military officers by investigating what kind of health promotion they need and how much they feel and analysing the influencing factors in their thinking.

This is a descriptive correlation study. This 12days survey was carried out from Oct 6 to Oct 17, 1995.

304 military officers and enlisted men who were serving at a certain division in Seoul, were interviewed through a structured questionnaire which was developed through studying references, and data was collected. Independent variables used in the analyses were socio-demographic variables, health risk factors,

cognitive-perceptual variables,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mean age of responders was 32 years, with a range from 20-55. Among responders, 29.4% engaged in regular exercise; 66.4% were smokers; 44.6% consumed alcohol 1 to 4 times a month; 78.6% had standard weight, and 87.1% perceived their health as good or excellent. The responders appeared to hold a wellness-oriented

view of health(3.35).

2. Among 8 kinds of health promotion programs, an exercise program(3.33) is what interviewees wanted most; followed by stress management(3.10); cancer prevention(2.89); nutrition management(2.65) hypotension management(2.63); body weight management(2.51) and smoking cessation(2.5); and a program to stop drinking alcohol(2.22).

3.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s were screened by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ose who with higher rank(b=.04, p=.02) and who perceive suppotiveness of their family to health promotion program high(p=.035) desired a greater need for exercise program(R**2=.03).

2) The stress management program was wanted much by responders who perceive supportiveness of their family to health promotion program high(b=.38, p=.00), including those who drink alcohol(b=.59, p=.00), exercise irregularly or not at all(b=-.27, p=.02), and those who are under weight(b=-.27, p=.03). And theme

responders disagreed health problem-oriented definition of health(b=-.16, p=.04)(R**2 =.13).

3) Cancer prevention program was desired mostly by responders who have smoked for a long time(b=.22, p=.04) and who perceive supportiveness of their family to health promotion program high(b=.25 p=.05)(R**2 =.05).

4) Nutrition management program was desired mostly by responders who perceive supportive-ness of their family to health promotion program high(b=.31, p=.00), including those who are under weight(b=.33, p=.01), and who appear to hold a wellness-oriented view of health(b=.34, p=.00)(R**2 =.10).

5) Hypertension management program was desired mostly by responders who perceive supportiveness of their family to health promotion program high(b=.31, p=.03)(R**2 =.02).

6) Responders who smoke more(b=.02, p=.01) or often have a snack(b=-.29, p=.03) showed a great interest in a weight management program(R**2 =.06).

7) Smoking cessation program was wanted mostly by responders who have smoked until now(b=.99, p=.00), belong to special military branch(b=-.35, p=.01) and who are urtil weight(b=-.43, p=.00) (R**2 =.18).

8) Responders who drink, sleep too much(b=.13, p=.04), often snack(b=-.25, p=.05) and are under weight(b=-.52, p=.00) desired a greater need for a program to stop drinking (R**2 =.10).

This study revealed that most health concerts showed no association with health risk factor alone.

Consequently, In health promotion program development, responders' need not health behavior should be reflected sufficiently.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4438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8126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