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 621

Cited 0 times in

신 공여자와 수해자 사이의 체격차이가 이식신의 예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influence that the difference of body bulid between kidney donor and recipient affect outcome of renal allograft 
Authors
 홍인철 
Issue Date
1995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지난 40여년 동안 신장이식은 말기 신부전 환자의 가장 이상적인 치료방법으로 정립되어왔다. 그동안의 신장이식 성적을 보면 단기 이식신 생존율을 뚜렷하게 향상되었으나 장기 이식신 생존율은 만성거부반응, 또는 만성 이식신 기능장애, 다른 말로는 만성 이식신

손상이라고 부르는 요인때문에 아직도 낮은 실정에 있다. 이와같은 만성 이식신 기능장애는 비면역학적 요인의 하나로서 이식신에 부하되는 과여과에 의한 손상의 결과라는 가설이 최근 대두되고 있다. 이 현상은 이식신에서 수혜자의 요구량에 대한 공여신의 신원(nephron)공급의 불균형으로 인하여 초래된다고 하며 그 불균형의 지표의 하나로서 공여신의 무게와 수혜자의 체중사이의 비율 kidney weight in gram/recipient bodyweight In kg ratio(이하 KW/BW로 생략)가 거론되며 이 비율이 최소한 2.0내지 2.5는 되어야 이식후

안정된 신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한편 또 다를 지표로서 공여자의 체표면적에 대한 수혜자의 체표면적의 비율 donors body surface are/recipient body surface area ratio(이하 D/RBSA로 생략)가 최소한 0.8이상은 되어야 안정된 신기능이 유지된다고 보고되고 있다. 외국에서는 사체 신이식을 대상으로 이와같은 연구가 활발한 편이나 국내에서는 아직 이에 대한 연구가 없는 실정이다. 저자는 생체 신이식을 대상으로 공여신의 무게와 수혜자의 체중을 측정하고, 신공여자와 수혜자 사이의 체표면적을 비교하여 과연 이러한 체격의 차이가 신이식후 만성 이식신 기능장애에 의미있는 영향흘 주는지 여부와, 체격차이의 변수로서 KW/BW와 D/RBSA가 이식신의 예후에 대한 예측지표로서 타당성이 있는지 규명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1979년 4월부터 1993년 12월까지 연세대학교 외과대학 부속 세브란스병원에서 신장이식 수술을 받은 1126예 중 일정한 기준을 통해 선택된 635예를 대상으로 신 공여자와 수혜자의 의무기록를 조사하여 공여자와 수혜자 사이의 체표면적의 비율(D/RBSA)을 구하고,

공여신의 무게를 공식을 통해 계산하여, 공여신과 수혜자 체중사이의 비율(KW/EW)을 구하였다. 대상환자를 체중비율에 따라 KW/BW가 2.5 이하와 그 이상인 두 군으로, 한편으로는 D/RBSA가 0.93 이하와 이상인 군으로 분류하여 이식신 기능장애 유무를 조사하였다. 만

성 이식신 기능장애의 변수로서는 단백뇨외 발생과 그 시기, 신기능부전의 발생과 그 시기로 정하였다. 그리고 기타 이식신의 예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른 변수들을 함께 포함시켜 다변량분석을 시도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대상환자 67예외 평균연령은 공여자 35.2±11.2,수혜자 35.6±10.1세, 남녀비는 공여자 1.8:1, 수혜자 2.1:1, 체표면적은 공여자 1.69±0.14, 수혜자 1.60±0.13m**2, 계산된 공여신의 평균 무게는 146.2±13.7 gm, 평균 KW/BW는 2.72±0.,75, 평균 D/RBSA는 1.06±0.12 였다. 이식후 신기능부전이 발생한 시기는 평균 40.5±23.1개월이었고, 단백뇨 발생시기는 평균 41.2±23.0개월이었다.

2. KW/BW 또는 D/RESA로 분류한 두 대상군들 간에 신기능부전 발생율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다변량분석에서도 통계적인 의외가 없었다.

3. 이식신 기능 부전의 발생시기는 단변량 및 다변량 분석에서 KW/BW 나 D/RBSA 로 분류한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이식후 단백뇨의 발생빈도는 KW/NW가 2.6이하인 군에서 또는 D/RBSA가 0.93이하인 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5. 단백뇨 발생시기는 KW/BW와 D/RBSA가 낮은 군에서 유의하게 짧았으나 다변량 분석에서는 통계적인 의의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신공여자와 수혜자 사이의 체격차이는 과여과현상으로 인한 단백뇨의 발생율과 상관관계가 있으며 발생시기와도 어느정도는 상관이 있다고 생각되어, 이에 대한

장기적인 추적관찰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본 연구는 생체 신이식의 경우이며, 우리나라 사람들의 체격차이가 크지않기 때문에 외국의 경우와 어느정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그렇지만 향후 사채 신이식이 증가할 경우 이식신의 장기적인 예후에 대한 지표로서 KW/BW나 D/RBSA를 이용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영문]

Within the four decades, transplantation of the kidney has become a unique arts exciting treatment far patients with end stage renal disease. Reviewing the results of renal transplantation during that tune, short term graft survival has improved, but long term reset has not due to chronic rejection or chronic allogeaft dysfunction, namely chronic allograft injury. As one of the non-immunologic mechanism, chronic allograft dysfunction is known to be the damaging result of hyperfiltration being a burden to allograft. The postulation that this damage

result from imbalance between nephron supplying and patient's demand in renal allograft, some authors suggest that as the index of that imbalance, the ratio of kidney weight/recipient body weight(KW/BW)should be at least 2.0-2,5 if stable graft function can be maintained, meanwhile the ratio of donor body surface area/ recipient body surface area(D/RBSA)should be at least over 0.8. In the whole world a lot of studios have been on in this aspect which usually is subjected in cadaveric graft, but in our country it is totally lacking. 1 made checking the weight of donated kidney and recipient's body weight and comparing the body surface areas between donor and recipient among living donor renal transplants. I tried to investigate whether this disparity of body build have influence on transplantation significantly, and whether KW/8W or D/RBSA is porper as a predictor of renal

allograft outcome or not Between April 1979 and Dec 1993, 1126 renal transplantation were done in Severance hospital Yonsei University Colledge of Medicine, Seoul Korea, and among them 635 cases were examined to weight of donated kidney was calculated throught a formula, so as to check the ratio between it and recipient's body weight(KW/BW).

All cases were classified as two groups using KW/BW, one group was 2.5 and less, another was above 2.5, then they were compared at the basis of development of chronic allograft dysfunction.

All cases were also classified as two groups using D/RBSA at the point of 0.93. The occurrence of renal insufficiency and proteinuria and their duration of onset after kidney transplantation were regard as the variables of chronic renal

allograft dysfunction. And then multivariate analyses were tried finally including other variables which were already analyzed in other studi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ean age of 635 cases was 35.2±11.2 yeara in donors, end was 35.6±10.1 years in recipients, Male versus female was 1.8:1 in denors, 2.1:1 in recipienta, Donor'S BSA was 1.69±0.14m**2, recipient's BSA was 1.60±0.13m**2. The mean

eatimated kidney weight was 146.2± 13,7gm, mean KW/BW was 2.72±0.45, mon D/RBSA was 1.06:0.12. The mean duration of onset of renal insufficiency was 40.5±23.1 month and of proteinuria was 41,2±23,0 month.

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atio of renal insufficiency between two groups in respect of the KW/BW and D/RBSA. Multivariate also showed no si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

3.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tome of onset of renal insufficiency after graft between two groups with respect to the KW/BW and D/RBSA

4. The occurrence rate of proteunuia after graf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group of KW.BW which was lower than 2.5, and also in group of D/RBSA lower than 0.93

5. The onset of proteinuria after graft in group with smaller KW/BW or D/RBSA showed in short period than with larger KW/BW or D/RBSA(in univeriate analysis).Bu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them in multivariate analysis.

In conclusion, the difference of body build between kidney donor and recipient can be seen closely correlated with the occurrence rate of proteinuria, and also with the time of its occurrence in some degree. So it seems proteinuria after

transplantation. We also feel it would need further investigation in much more cases, especially in living donor transplantation and comparing analysis in many aspects such as ethnic differences. However, if cadaveric renal transplantation is

increased, KW/BW or D/EBSA can be used as valuable predictor of long-term graft outcome.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6070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8122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