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 1137

Cited 0 times in

척수손상환자에서 자율신경성 반사부전증의 일반적 특성

Other Titles
 (The) clinical study of autonomic dysreflexia in spinal cord injured patients 
Authors
 임길병 
Issue Date
1995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척수손상환자에서 흔히 일어나고 위험한 증상의 하나인 자율신경성 반사부전증에 대하여 원인 및 일반적인 상태를 조사하고 가장 흔한 원인인 신경인성 방광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하기 위하여 요류동태 검사결과를 분석하여서 자율신경성 반사부전중의 예방, 진단 및 치료에 기준을 삼고자 하였다. 1993년 3월 1일부터 1994년 12월 31일까지 연세의료원 재활병원에 척수손상으로 입원한 환자 161명 중 제 6흉수이상에서 손상을 받은 환자 9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환자에 대해 의무기록 및 요류동태 검사기록을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대상환자의 손상형태분포는 자율신경성 반사부전증이 나타난 환자 중 완전손상환자가 19명(57.6%), 불완전손상환자가 14명(42.4%)이었고, 반사부전중이 나타나지 않은 환자는 완전손상환자가 26명(7.8%), 불완전손상환자가32명(55.2%) 이었다.

2. 자율신경성 반사부전중의 증상으로는 안면홍조가 24명(72.7%), 두통이 26명(78.8%), 발한이 27명(51.8%)에서 나타났으며 기타증상으로 경련이 1명, 현기증이 1명에서 나타났다.

3. 자율신경성 반사부전증의 유발요소로는 방광팽창이 26명(78.8%)에서 나타나가장 큰 요인이었고, 방광타진이 14명(42.5%), 직장팽창이 2명(6.1%), 내신성 발톱이 2명(6.1%), 원인을 알 수 없었던 경우가 1명(3,1%)이었다.

4. 신경학적 부위에 따른 자율신경성 반사부전중의 발생빈도는 경수손상환자 65명중 31명(47.7%)에서 자율신경성 반사부전증이 발생하였으나 흉수손상환자 25명에서는 1명(4.0%)에서만 발생하여 경수손상환자에서 자율신경성 반사부전증의 발생빈도가 놓았다.

5. 경직의 정도에 따른 자율신경성 반사부전증의 발생빈도는 경직의 정도가Grade 0인 25명중 4명(10.0%)에서 자율신경성 반사부전증이 발생하였으나 Grade 3인 환자 4명에서는 3명(75.0%)에서 자율신경성 반사부전증이 발생하여 경직이 심한 환자군에서 자율신경성 반사부전증의 발생빈도가 높았다.

6. 자율신경성 반사부전증의 조절방법은 도뇨법과 약물을 같이 사용한 경우가 14명(42.4%), 도뇨법만을 시행한 경우가 13명(39.4%), 약물만 사용한 경우가 1명(3.0%), 배변을 시킨 경우가 2명(6,1%)이었다. 2명(6.1%)의 경우에서는 외요도괄약근 절제술을 시행하였고 1명(3.1%)은 증세가 경미하여 관찰만 하였다. 치료를 위해 사용한 약물은 항교감신경성 약물이 14명(42.4%), 항콜린성 약물이 6명(18.2%), 칼슘 channel blocker가 3명(9.1%)에서 사용되었다.

7. 요류동태 검사결과에서 방광내압은 자율신경성 반사부전증이 있었던 군에서 78cmH^^2O 이었으며 반사부전증이 없는 군에서는 62cmH^^2O로 반사부전증이 있었던 군에서 의의있게 방광내압이 높았다(p<0.05). 유순도는 자율신경성 반사부전증이 있는 군에서 13m1/cmH^^2O이었으며 반사부전증이 없는 군에서는 34m1/cmH^^2O로 반사부전증이 있는 군에서 의의있게 방광유순도가 낮았다(p<0.05).

이상의 결과로 보아서 제 6흉수이상의 척수손상환자에서 자율신경성 반사부전증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며 요류동태 검사는 신경인성 방광의 평가 뿐 아니라 자율신경성 반사부전증의 진단 및 평가에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In this study on attempt was made to evaluate and manage autonomic dysreflexia in spinal cord injury through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urodynamic stud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91 patients with spinal cord lesions above the 7th thoracic segment who were admitted to the Rehabilitation Hospital, Yonsei Medical Center between Mar 1, 1993 and Dec 31, 1994.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subjects with autonomic dysreflexia were 27 male and 6 female patients including 19 complete and 14 incomplete spinal cord injured patients. The trigger factors of autonomic dysreflexia were bladder distension, bladder percussion, rectal distension ingrowing nail. Autonomic dysreflexia occurred mort frequently in quadriplegics than in high paraplegics. The patients with severe spasticity had a high incidence of autonomic dysreflexia. Mean bladder pressur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patients with autonomic dysreflexia and mean bladder compliance was significantly lower also in this group.

Our data chows that autonomic dysreflexia is morse frequently encountered in quadriplegics. Therefore, careful evaluation for autonomic dysreflexia is a necessity in this group. Also urodynamic studies can be valuable to detect autonomic dysreflexia in patients with spinal cord lesion above the 7th thoracic segment.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7537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8067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