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 1048

Cited 0 times in

산후 모유수유 교육프로그램이 모유수유 실천에 미치는 효과

Other Titles
 (The) effect of breastfeeding education program in postpartum woman on breastfeeding practice 
Authors
 김미종 
Issue Date
1995
Description
간호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최근 의료계 일부와 소비자 단체들에서 감소추세에 있는 모유수유에 대한 자각과 더불어 모유수유를 중진 시키고자 하는 운동이 확산되고 있다. 인간의 초기 삶인 영아기에 최상의 영양법이 공급되도록 하여 일생에 있어서 성장의 기초를 제공하고자 하는 의도인 것이다. 이와 같은 모유수유 확산 운동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모유수유율은 아직 낮은 수준으로 보고되고 있어 모유수유 증진을 위한 더욱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우리나라의 모유수유와 관련된 연구로는 모유수유의 우수성, 실태조사, 모유수유에 관한 의료인이나 산모의 태도조사, 모유를 중단시키거나 지속시키는 요인에 관한 연구등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모유수유를 증진시킬 수 있는 중재 방법의 개발이나 중재효과를 알아본 연구는 많지 않은 실정이다. 또한 모유수유 증진에 관한 중재연구들도 대부분 1회의 교육에 그치는 경우가 많아 보다다 양한 접근방법이 요청된다.

본 연구는 개별교육과 전화중재로 구성된 모유수유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한 후 그 효과를 알아보는 비동등 대조군 사후 시차설계(nonequivalent control group posttest non-synchronized design)이며 유사실험설계이다.

자료수집 기간은 1995년 3월 19일 부터 5월 12일 까지 였으며 정보의 확산효과를 우려하여 대조군의 자료수집을 먼저 하였고 1주일의 간격을 두고 실험군의 자료수집 및 중재를 시작하였다.

연구대상은 T시에 위치한 모아 동실로 운영되는 6개의 산부인과 개인 병원에 입원한 산모 중 분만 후 72시간을 넘지 않은 사람이었으며 유의표출하였다.

본 연구의 최종 대상자는 실험군 79명, 대조군 72명으로 총 151명이였다.

연구자는 실험군과 대조군의 대상자를 입원 기간 중 방문하였고 대상자의 일반적, 사회적 특성, 분만과 관련된 특성, 퇴원 후 수유계획과 추후 전화 연락처를 구조화된 설문지를 기초로 면접하였다. 실험군에게는 자료수집 후 모유수유에 관한 개별교육이 주어졌고 퇴원 후 연구자가 2차례의 전화를 하여 칭찬과 관심등의 강화를 제공하였다. 또한 산모들도 모유수유에 관련된 사항을 언제든지 연구자에게 전화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같은 모유수유 교육프로그램은 연구자 1인에 의해 제공되었으며 산후 4주째 전화로 수유양상을 조사하여 실험군과 대조군의 모유수유 실천율을 비교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PC를 사용하여 백분율, 카이스퀘어 검증(χ**2 -test), 로지스틱 희귀분석(logistic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의 요약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중재방법인 모유수유 교육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χ**2 -test 와 Logistic regression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모유수유 교육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모유수유 실천율은 높게 나타났다(χ**2 =5.6660, p=.0590, Odds Ratio=4.0166, p=.0010, 95% Cl=1.7608-9.1611).

모유수유와 관련된 변수로는 분만 형태, 직업, 그리고 인공수유 계획이 모유수유 실천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분만형태 Odds Ratio=.4342, P= .0427, 95% Cl= 0.1937-7.9727 ; 직업 Odds Ratio= .2260, P= .0139, 95% Cl= 0.0691-0.7391 ; 인공수유 계획 Odds Ratio= .07737 P= .0023, 95% Cl= 0.0138-0.3929).

인공수유를 하게 된 동기로는 두 군 모두에서 모유량 부족이 가장 많은 이유였으며 인공수유를 시작한 시기로는 실험군에서는 산후 1주 이내가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한데 비해 대조군에서는 처음부터 인공수유를 한 경우가 가장 많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산후 초기 부터 시작하여 반복적이고 강력한 교육과 강화를 제공하는 본 모유수유 교육프로그램은 모유수유의 실천을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이였음을 알 수 있다.

이 프로그램은 모아동실이라는 제한된 상황만을 대상으로 연구되었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데 제한점이 있으므로 그 밖의 상황에서도 적용하고 연구하여 그 효과를 검증할 것을 권장하며, 산후 1개월 이상의 보다 장기적인 모유수유 실천양상을 연구할 것을 제안한다.

[영문]

Recently a promotion of breastfeeding attitude among health care Profession along with Consumer's Right Association has been enhanc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the effectiveness of breastfeeding education program on breastfeeding practice.

The breastfeeding education program is consisted of individual lectures and providing on breastfeeding to the subjects have been given. Also two times of telephone counseling to the subjects while they discharged from hospital.

This study is a quasi-experimental design using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ost-test non-synchronized design. Data collection was done from March 19 to May 12 in 1995. A data on control group was collected first and week interval was established between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to get effectiveness of information diffusion.

The subjects was selected from 6 local obstetric clinics in T city. Also sampling was conducted with convenience.

The data were analyzed in terms of percentage, χ**2 -test and logistic regression through Spss-PC.

The following is the summary of this study.

1) Breastfeeding rate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χ**2 = 5.6600, P= .0590 : Odds Ratio = 4.0166, P= .0010, 95% CI= 1.7608-9.1611)

2) Factors related to breastfeeding were a delivery type, a job, a feeding plan, especially bottle feeding(job Odds ratio=.2260, P=.0139, 95% Cl=0.0691-0.7391; delivery type Odds ratio=.4342, p=.0427, 95% Cl=0.1937-0.9727: bottle feeding plan

Odds Ratio=.0737, p=.0023, 95% Cl=0.0138-03929).

3) The insufficient milk supply was th main cause of bottle feeding. Also there exists a week of time difference on starting bottle feeding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In conclusion, a strong emphasis on the breastfeeding education along with intensive telephone counseling shows a significant promotion of breastfeeding.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5592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8065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