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605

Cited 0 times in

응급실 전담의 상주가 심정지 환자의 소생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Impact of emergency physician on resuscitation of cardiac arrest patient 
Authors
 장문준 
Issue Date
1995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심폐소생술의 결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심폐소생술 술기, 심정지부터 심폐소생술을 시행하기까지의 시간과 초기에 빠른 제세동기의 사용이다. 그 외에 환자의 특성과 사용되는 약물들이 부수적인 요소로 작용한다. 그리고 심폐소생술을 시행하는 인력 및 그의 능력이 영향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추측할 수 있으며 이를 증명하기 위해 병원전 또는 응급실 내원후 심정지가 발생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

1. 전채 대상 환자는 318명이었고, 응급실 전담의가 없었던 군(제 Ⅰ 군)은 102명이고, 응급실 전담의가 있었던 군(제 Ⅱ 군)은 216명이었다.

2. 심폐소생술의 결과에 영향을 주는 환자의 특성(성별, 연령, 심정지의 원인, 외상환자에서 손상정도 계수)과 병원전 요소(반응시간, 구급차 이용여부, 병원전 처치유무)를 파악한 결과 양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3. 병원전 심정지 환자군과 응급실에 내원후 심정지가 발생한 환자군에서 제세동기의 사용여부는 양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4. 양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것은(p<0.05) 초기 제세동시의 에너지량과 제세동의 횟수 및 사용된 약물중에서 epinephrine, atropine과 lidocaine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병원전 심정지 환자군, 응급실 내원후 심정지가 발생한 환자군 및 전체 환자군에서 유사하개 나타났다(p<0.05 ).

5. 심폐소생술의 결과는 병원전 심정지 환자군에서 양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응급실 내원후 심정지가 발생한 환자군과 전체 환자에서는 양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

6. 본 연구의 결과, 제 Ⅱ 군에서 낮은 생존율(1.9%)을 나타낸 것은 인적 자원외에 심폐소생술에 영향을 주는 다른 여러가지 주요한 요소들이 뒷받침하지 못했기 때문이 다. 결론적으로 응급실 전담의가 심폐소생술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관여하여 적극적인 심폐소생술을 시행함으로서 심정지환자의 소생율이 높아졌다고 할 수 있겠다.

[영문]

Major factors influencing the outcome afte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CPR) of cardiac arrest patients are the technique of CPR, response time and early defibrillation. Others like patient's characteristics and drugs used in resuscitation play minor role. To determine if the emergency physician affects the

outcome of CPR, 318consecutive victims with cardiac arrest who CPR were attempted in emergency roo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first group without emergency physician was 102 patients and the second group with emergency physician was 216 patients.

2. Among the factors affecting the outcome of CPR, patient's characteristics(sex, age, cause, injury severity score), prehospital factors(response time, use of ambulance, prehospital care) and the duration of CPR have no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3. Among the prehospital cardiac arrest patients and whom arrested in emergency room, use of defibrillation does not showed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tee groups.

4.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p<0.05) between two groups were initial defibrillation energy, defibrillation frequency and drugs like epinephrine, atropine and lidocaine. These results were similar among the prehospital, in-emergency room and the total cardiac arrest patients.

5. The outcome of CPR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on prehospital cardiac arrest patients between two groups, but the in-emergency room cardiac arrested and the total patients. According to analysis of all the data, there were no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the outcome of the CPR except the role of emergency physician.

6. Low survival rate(1.9%) on group Ⅱ, reflect the lacking of other important factors affecting the CPR other than emergency personnel.

In conclusion, the involvement of full time emergency physician on CPR is an important factors in resuscitation of arrested patients in emergency room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8055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