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481

Cited 0 times in

Long face를 갖는 성인과 normal face를 갖는 성인의 측모와 정모 두부방사선 사진상에서 안모유형의 차이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morphologic differences between long-face adults and normal-face adults on the lateral and P-A cephalograms 
Authors
 김현도 
Issue Date
1989
Description
치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안모 유형의 평가시, 전·후방관계와 수직적 관계 뿐 아니라,transverse 한 관계도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측모 두부 방사선 사진과 함께 정모두부 방사선 사진을 이용시, 안모 유형을 평가하는데 있어 상당히 도움이 된다고 생각된다.

이 논문에서는 long face와 normal face를 갖는 성인에서의 안모유형의 차이에 관해 알아보기 위해, 임상적으로 구분되는 long face와 normal face를 갖는 성인들을 선정해서, SN-MP angle과 전안면 고경을 기준으로 하여, 18명의 정상 안모를 갖는 남·녀 성인과 22

명의 긴 안모를 갖는 남·녀 성인의 측모와 정모 두부방사선사진을 촬영하여, long face와 normal face를 비교·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long face와 normal face를 갖는 성인의 안모 유형의 차이는 주로 하악골의 형태와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

2. long face를 갖는 성인이 normal face를 갖는 성인에 비해, 하안면 고경에서 유의성 있는 큰 수치를 보였으며, ramus height은 유의성 있게 짧았다.

3. long face를 갖는 성인이 normal face를 갖는 성인에 비해, 전상치조고경과 전하치조고경, 특히 전하치조고경에서 유의성 있는 큰 수치를 보였다.

4. 정모 두부방사선 사진상에서, 두군사이에 transverse 한면에서 큰 유의차를 보이는 계측 항목은 없었다.

5. 정모 두부방사선 사진상에서, facial height,/facial width 비율은 두군사이에 큰 유의차를 보였으며, normal face 군에서 약 90%로 나왔다. (89.9±2.5%)

6. SN-MP angle과 상관관계가 가장 높은 항목은 측모두부방사선 사진상에서 PTFH/ATFH(%)이고, 정모 두부방사선 사진상에서는 Co-GA-Me(Lt.)이었다. 또한 전안면 고경과 상관관계가 가장 높은 항목은 측모 두부방사선 사진상에서 하안면 고경이고, 정모 두부방사선 사진상에서도 lower facial height 이었다.

[영문]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morphologic differences between long-face adults and normal-face adults on the lateral and P-A cephalograms.

Long-face and normal-face subjects were selected clinically. and then each of them was taken the lateral cephalogram. According to SN-MP angle and ATFH on the lateral cephalogram, long-face group and normal-face group were classified. 22 long-face adults and 18 normal-face adults were collected. and each of them was taken the P-A cephal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orphologic differences between long-face adults and normal-face adults were closely related to mandibular morphology.

2. Long-face adults, compared with normal-face adults. demonstrated significant increase in ALFH, and significant decrease in ramus height.

3. Long-face adults, compared with normal-face adults, demonstrated significant increase in AUDH and, ALDH, especially in ALDH.

4. On the P-A cephalogram, no measures of transverse dimension 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

5. On the P-A cephalogram, facial height/facial width ratio was significantly larger than normal in the long-face adults, and in the normal-face adults, facial height/facial width ratio was approximately 90%.

6. In the correlation analysis of SN-MP angle and ATFH with all the other variables,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of SN-MP angle and PTFH/ATFH. that of ATFH and ALFH on the lateral cephalogram demonstrated tole highest value, and on the P-A cephalogram. SN-MP angle and Cg-GA-Me(Lt.), ATFH and lower facial height demonstrated the highest value of correlation coefficients.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3540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Dept. of Advanced General Dentistry (통합치의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8009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