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564

Cited 0 times in

선사시대 한국인 악골 및 치아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prehistoric Korean jawbones and teeth 
Authors
 정순민 
Issue Date
1983
Description
치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충청북도 단양군 매표면 연천리 안경굴에서 수집되어, 손보기 교수가 소장하고 있는 악골과 치아를 대상으로, 악골과 치아의 크기 및 형태, 치아우식증, 치아교모도, 치아협면의 선조흔등을 조사·연구하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하악골의 크기에 있어서 하악장, 하악체장, 하악지폭, 하악최소지폭, 하악절흔폭은 현대인에서보다 다소 크게 나타났으며 그 외에는 현대인과 큰 차이를 볼 수 없다.

2. 하악골의 mental eminence의 발육이 비교적 현저하다.

3. 하악골 치열궁의 전치열궁폭, 최대전치열궁폭, 치열궁폭, 최대치열궁폭, 전치열궁장, 치열궁장이 현대 한국인에서 보다 크다.

4. 이공은 제 1소구치에서 제 2대구치 부위까지 고르게 분포되어 나타났으며, 이공의 개구방향은 대체로 후상방이다.

5. 상악절치의 설면와의 형성정도가 현저하며, double shovel shape도 관찰되었다.

6. 하악치의 면적에 있어서 현대인과 별차가 없으나 견치, 제1대구치에서는 현대인보다 다소 크게 나타났다.

7. 치아우식증은 총 68개의 피검유치 중 19개의 치아에서 나타났으며, 인접면의 치아우식증이 가장 많았다. 또한, 총 146개의 피검영구치중 34개의 치아에서 나타났으며 인접면 치아우식증이 가장 많았다.

8. 치아교모의 정도가 심하며 특히 유치에서 현대인과 다른 심한 교모현상을 보였다.

9. 치아협면의 선조흔은 협면의 교합면쪽 1/3부위에서 주로 관찰되었으며, 나타난 선조흔들은 대개가 수직방향을 이루고 있다.



[영문]

With regard to the prehistoric jawbones and teeth of Yongchon-ni, the author studied the morphology of the jawbones and teeth, dental caries, degree of occlusal attrition and the striations on the buccal surface of the maxillary posterior teeth.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In comparison of the mandibule size, there was lithe difference between the mordern human mandible and Yongchon-ni mandible.

2. The development of mental eminences were prominent.

3. In the size of anterior dental arch breadth, maximum anterior dental arch breadth, dental arch breath, maximum arch breadth, anterior dental arch length and dental arch length of mandible, the sizes of the above measurements in Yongchon-ni

mandibles were greater than the mordern human mandible.

4. The distribution of the positions of mental foramens ranged from first premolar to second molar evenly.

5. The directions of mental foramens were posterio-superior direction.

6. The shovelling of the maxillary incisors were prominent.

7. In comparison of the area of the mandibular teeth, there was little difference between the mordern human teeth and the Yongchon-ni teeth.

8. In the examination of the dental caries,19 out of the 68 primary teeth examined were decayed, and 34 out of the 146 permanent teeth examined were decayed. The above dental caries were found mostly on the proximal surface.

9. The degrees of occlusal tooth attrition were mostly surface.

10. The striations on the buccal surface of the maxillary posterior teeth were found mostly on the occlusal 1/3 of the buccal surface and directed vertically.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5712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Dept. of Advanced General Dentistry (통합치의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7965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