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718

Cited 0 times in

한국인 구강 편평 세포 암종에서의 H-ras, K-ras 유전자의 돌연변이

Other Titles
 H-ras, K-ras gene mutation in the oral squamous cell carcinomas of Korean 
Authors
 유지호 
Issue Date
1995
Description
치의학과/박사
Abstract
[한글]

ras 유전자의 돌연변이는 다양한 종양에서 발견되며 이들은 암발생과 연관된 여러 요인과 관계 있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ras 유전자는 codon 12, 13, 61 부위의 돌연변이에 의한 비정상적 p21 단백의 형성에 따른 GTPase의 활성화에 의해 종양으로 유도된다. 이 유전자의 돌연 변이는 종양의 종류나 부위에 따라, 또한 지역 및 인종에 따라 다양한 빈도를 보이고 있어 특이한 발암물질이 ruts유전자의 돌연변이에 관여할 것으로 생각되고 있으나 한국인의 구강 암종에 있어서는 그에 대한 연구가 드물다.1991년 2월부터 1993년 12월까지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부속병원에 내원하여 편평세포 암종으로 진단된 20명 생검조직의 파라핀 포매된 절편으로부터 DNA를 추출하여 중합효소 연쇄 반응으로 증폭한 후 SSCP(single strand conformation polymorphism) 및 직접 염기서열 분석을 통한 H-ras, K-ras유전자의 exon 1, 2에 대한 돌연변이검색 연구에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20예의 암종 중 18예가 중등도 이상의 좋은 분화도를 보였으며 임상병기의 진행에 따른 조직학적 분화도와 흡연력과의 관련성은 검색할 수 없었다.

2, H-ras, K-ras 유전자 exon 1, 2의 증폭 산물에 대한 SSCP 검색결과 20예 전부 같은 이동거리를 나타냈고, 또한 전기영동시 의 온도 변화 및 glycerol농도 변화에도 같은 결과를 보였다.

3. 20예의 구강편평 상피 암종에서는 H-ras와 K-ras 유전자의 exon 1, 2에 대한 중합효소 연쇄 반응산물에서의 직접 염기 서열 분석결과 점 돌연변이를 찾을 수 없었으며 모두 정상의 정상 염기배열 순서를 보였다.

4. 흡연력에 관계없이 20예 전부에서 ras유전자의 변이를 찾을 수 없어 한국인의 구강편평 세포 암종의 발생이나 진행에 있어 흡연과 H-ras, K-ras 유전자의 돌연변이와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유추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한국인의 구강 점막에서는 H-ras, K-ras 유전자의 점 돌연변이가 편평상피 암종의 발생과 관련성이 적을 것으로 추측되나 구강내 편평상피 암종의 발암요인과 관련된 발생 기전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다른 암유전자, 암 억제유전자에 대한 검색과 더불어 흡연력, 음주 등의 발암 요인 및 임상병기, 예후 등과 연관된 ras 유전자의 증폭이나 intron부위의 유전자 이상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Oncogenes are altered cellular genes that disrupt the control systems of cell growth and/or cell differentiation and in this wa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cancer. Mutations in cellular ras genes have been implicated in this process. The

development of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has traditionally been linked with exposure to mutagens in tobacco. Members of the ruts gene family are thought to be common targets for mutagenesis in a wide range of animal and human cancer.

Activation of ruts genes frequently involves a single point mutation at specific sites within exon one(codon 12, 13) or exon two(codon 61) and results in the expression of an abnormal p21 protein harbouring a single amino acid substitution at areas important for guanin nucleotide binding, favouring thee active GTP-bound state. Point mutations in ras gene shave been detected in various human cancers, although the incidence varies with tumor type and site. These findings may reflect the fact that ras point mutations appear to be carcinogen-specific.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H-ras, K-ras of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which is formalin-fixed, paraffin-embedded samples associated with clinico-pathologic parameters. Twenty cases were screened to find out mutations in exon 1, 2 of H-ras and K-ras genes by PCR single strand conformation polymorphism, fellowed by direct sequencing of PCR-amplified DNA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Most of the cases were advanced moderate to well differentiated squamous cell carcinoma which have not correlation to clinical findings such as site, smoking history, clinical stage.

2. In sing)e strand conformation polymorphism, there is no abnormal mobility in H-ras, K-ras exon L and 2. Changing of gel condition such as temperature, glycerol concentration showed same result.

3. Direct sequencing of PCR product revealed wild-type H-ras and K-ras gene.

4. ras gene mutation could not find in both group of smokers and nonsmokers, thus smoking in Korean people may not affect the ruts genes.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rats point mutations in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are infrequent, at least in Korean examples of oral cancer, despite the probable importance of chemical carcinogens in the etiology of the

disease. Ras mutations may contribute, but are not fundamental, to oral cancer development. Future studies will therefore extend these investigation in conjunction with ruts gene amplification, intronic mutation, and other oncogenes and tumor suppressor genes.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8074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Dept. of Advanced General Dentistry (통합치의학과) > 3. Dissertation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7897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