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 425

Cited 0 times in

서울시내 일부 종합병원 내외과 의사, 간호사의 노화에 대한 지식

Other Titles
 Knowledge of aging among medical-surgical doctors and nurses of the hospitals in Seoul 
Authors
 정진옥 
Issue Date
1995
Description
간호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사회 경제적 발전 및 의학의 발달은 노인인구의 증가를 가져왔으며 이와 더불어 노인의 질환이 만성화됨에 따라 노인의 의료이용율이 급속히 증가추세에 있다. 그러나 노인에게는 정상적인 노화로 인한 변화와 질병으로 인한 변화가 공존하여 나타나므로 의료인들은 이를 구별하여 정확한 치료 및 간호중재를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의료인들이 어느정도 정상적인 노화에 대한 지식을 가지고 있는지 파악하는 것은 필수적인 일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서울시내 일부 종합병원의 내외과에 근무하는 의사, 간호사를 대상으로 노화에 대한 지식정도와 편견을 파악하여, 의료인들이 노인환자에 대한 관심을 촉진시키고, 정상적인 노화와 질병으로 인한 변화를 구별하여 치료하는데 필요한 보수교육의 촛점

을 제시하기위한 기초자료로 이용되도록 함을 목적으로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연구방법은 설문지를 이용한 서술적 조사연구로써 1994년 10월 11일부터 9일간에 걸쳐 서울시내 3개 중합병원 내외과에 근무하는 레지던트 전수와 밤번을 제외한 낮번과 저녁번중 응답이 가능한 일반간호사를 각 병동당 8명씩 표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이용된 질문지수는 의사의 경우 총 77부, 간호사외경우 258부로 총 355가 연구에 사용되었다.

연구도구로는 Palmore의 FAQ를 사용하였는데 이 도구는 노화에 대한 지식측정을 하는 도구 중 전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어지는 도구로 신체/생리적 영역, 심리적 영역, 사회적 영역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고 실증적 자료를 이용한 증거자료가 함께 첨부되어 있어 지식점수뿐 아니라 그 이론적 근거까지 알 수 있는 유용한 도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 도구를 이용하여 의사, 간호사외 전채문항에 대한 정답률, 영역별 정답률, 편견문항 및 간접적 태도측정을 하였다.

자료분석은 두 집단의 정답률을 알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였고, 두 집단의 지식점수 비교를 위해 t-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노화에 대한 평균정답률은 간호사가 52.5%, 의사가 55.4%로 나타났다.

2. 영역별 평균정답률을 살펴보면, 간호사는 신체적/생리적 영역 67.1%,사회적 영역 45.7%, 심리적 영역 42.8%순이었고, 의사의 경우도 신체적/생리적 영역 72.3%, 사회적 영역 46.8%, 심리적 영역 44.8%순이었다.

따라서 신체적/생리적 영역의 지식수준이 가장 높고, 심리적 영역에 대한 지식수준이 가장 낮다고 할 수 있다.

3. 두 집단 모두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 편견문항은 장기요양기판에 거주하는 노인의 비율에 관한 문항, 새로운 변화에의 적용에 관한 문항, 노년기의 신체적 특징에 관한 문항, 일상생활에의 감정에 관한 문항, 노인들의 사회적 격리로 인한 소외감에 관한 문항, 우리나라 노인인구의 비율에 관한 문항, 종교성향에 관한 문항, 노인들의 감정변화에 관한 문항의 8개로 나타났다.

4. 간호사와 의사에 있어 두 집단의 지식정도의 차이는 의사가 간호사에 비해 노화에 대한 지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t=2.57, df=353, p<0.05), 외국의 경우와 비교해 볼때(의료인 대상 연구결과 62%-72%) 이 두 그룹(간호사:52.5%, 의사:55.4%) 모두 외국의 의료인에 비해 지식점수가 낮게 나타났다.

5. 간호사와 의사와 간접적 태도측정의 결과 간호사와 net bias score는 -24이고, 의사의 net bias score는 -17을 나타내어 이 두 집단 모두 노인에 대한 부정적인 편견의 경향이 있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의사, 간호사들의 노화에 대한 지식에 있어 외국에 비해 낮게 나타났으며, 또한 편견영역에 있어 심리적 영역과 사회적 영역이 많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본 연구결과에서 지식정도가 낮거나 편견영역으로 분류된 부분에 대한 의료인의 보수교육이 시급히 요청되며, 또한 노인환자에 대한 전인적인 관심과 이해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영문]

This study related to the aging Process, was done to measure knowledge level and misconceptions of nurses rind doctors working in a hospital medical-surgical department.

A descriptive method used for this research study.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355 individuals, including 97 doctors and 259 nurses.

Convenient sampling method from medical and surgical units at three hospitals in Seoul.

The qucstionnaire was included related about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udy population end 22 questions to measure knowledge of aging.

The Questionnaire items which were developed by Palmore were composed of physiologic, psychologic/mental and socioeconomic factors.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Oct. 11 to Oct. 19, 1994.

The analysis data was done using the frequency, percentage and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Correct responses to the questinnnaire items; Nurses scored 52.5% Doctors scored 55.4%.

2. Correct responses on items. by category were as follows; Nurses scored 67.1% on psyological items, 45.7% on socioeconomical items, nd 42.8% on physiological items. Doctors scored 72.3% on physiological items, 46.8% on socioeconemical items and 44.8 on psychological items on the questionnaire.

3. There were eight commonly missed items with 50% or more incorrect responses given the nurses and doctors. These items were numbers: 7, 10, 14, 15, 16, 17, 20 and 21.

4. Doctor had a higher score of correct responses than nurses(t=2.57, df=353. p<0.05).

5. Attitude toward the elderly appealed strongly negative for both nurses and doctors with the net bias score for nurses -24 and Docters were -17.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5694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7720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