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 462

Cited 0 times in

의안 착용안의 결막낭 균총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Microbial flora of the conjunctiva sac in prosthesis wearers 
Authors
 유혜린 
Issue Date
1995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의안을 착용하는 경우 지속적인 물리적 자극과 이물질의 착용에 따른 이차적 감염 등으로 잦은 충혈이 있으며 이물감과 함께 결막의 거대유두상 비대 (giant papillary conjunctivitis)와 같은 변화가 나타난다. 이러한 변화들과 함께 결막에 존재하는 세균총에도 많은 변화를 일으킬 것이 예상되어 의안을 오래 착용한 환자 77명을 대상으로 결막낭 세균총의 변화에 대해 연구하였다.

결막낭 세균 배양 결과, 세균 분리 빈도는 Staphylococcus epidermidis, Staphylococcus aureus, Streptococcus, 그람 음성 이었고, 건안의 세균 분리율이 32.5%, 의안 착용안의 분리율은 67.5%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 0.02). 특히, 결막염 호발균주인 Staphylococcus aureus, Streptococcus, 그람 음성 간균등의 분리율이 건안에서는 6.5%, 의안 착용안에서는 분리율이 27.9%로써 통계학적으로 의안 착용안의 결막낭에서 높았다(p= 0.02).

결막낭 도말 경검에서, 의안 착용안에서 염증세포와 세균의 관찰빈도가 통계학적으로 의미있게 높았다( MacNemar value 3.84). 또한 의안 착용안으로 결막 반응이 심한 군에서 세균의 분리율이 46.9%로 결막 반응이 경한 군의 세균 분리율 69.2% 보다 더 낮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 0.009).

그외 의안 착용 기간, 의안을 세척하는 횟수나 세척액의 종류, 점안액 종류는 결막낭 세균 분리 빈도와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이 연구를 통하여 의안 착용으로 인한 지속적인 물리적 자극이나 이물질 착용에 따른 반응들은 결막낭의 세균총에 많은 변화를 가져 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점은 의안 환자 치료에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Persistent physical stimulation and foreign body contact in prosthesis wearers may develop secondary infection, frequent conjunctival injection and responses such as giant papillary conjunctivitis.

In 77 patients wearing prostheses, the bilateral conjunctival flora was studied and compared with the expect of conjunctival floral change.

The predominent organisms were essentially the same in both sides : Staphylococcus epidermidis, Staphylococcus aureus followed by streptococcus.

The incidence of bacterial isolation on the anophthalmic side (67.5%) was signifiantly higher than on the healthy side (32.5%).

Especially the incidence of potential pathogenic bacterial isolation (Staphylococcus aureus, Streptococcus, Gram negative bacilli) (27.9%) was significantly higher on the anophthalmic side than on the healthy tilde (6.5%).

The conjunctival smear study showed the higher incidence of polymorpho nucleoleukocyte arid bacteria on the anophthalmic side.

The isolation rates of the moderate to malted responded conjunctiva(46.9%) was lower than on the mild responded conjunctiva(69.2%).

The wearing time of the prostheses, the frequency of cleaning of prostheses, type of cleaner arid topical drops used did not elect the incidence of bacterial isolation of conjunctival sac.

Therfore these results showed that persistent physical stimulation and foreign body contact with prosthesis wearing may alter the microbial flora of the conjunctival sac.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6718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7707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