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 660

Cited 0 times in

환자분류체계개발을 위한 결정지표(Critical Indicators)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Critical Indicators for Patient Classification System Development 
Authors
 황은영 
Issue Date
1995
Description
간호학과/석사
Abstract
[한글]

본 연구는 종합병원의 일 내과 간호단위의 환자분류체계 개발을 위한 결정지표에 관한 기초조사 연구로서 다음 5단계로 연구를 시행하였다.

1단계로 연구대상 간호단위 설정 및 간호단위내 간호활동을 조사하고, 2단계로, 1994년 10월 26일부터 11월 7일 까지 13일간 지속적 관찰법을 이용하여 각 간호활동별 수행시간을 준비, 실행, 정리시간으로 나누어 조사하였고 3단계로1994년 11뭘 15일과 11월 16일 양일간 환자에게 제공된 간호활동 빈도수를 간호사의 자가기록을 통해 조사하였고 이를 기초로 일일 총 간호시간을 산출하였으며, 4단계로 일일 총 간호시간에 따라 평균과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환자분류를 시행하였고, 5 단계는 환자분류군별 간호활동의 총 소요시간, 평균시간 그리고 발생율을 기초로 각 환자분류군별 결정지표를 선정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 내과 간호단위내에서 발생가능한 간호활동을 같은 요소와 관련된 활동일지라도 상황에 따라 시간에 차이가 날 수 있는 활동으로 세분하여 8가지 영역에 128개의 활동으로 분류하였다: 투약(32개), 관찰 및 측정(15개),처치(48), 개인위생(7개), 영양(3개), 배설(10개), 이동 및 운동(5개), 그리고 교육 및 상담(128개)

2. 각 간호활동을 위한 준비, 실행, 정리에 소요되는 평균시간을 합하여 각 간호활동의 평균수행시간으로 산출하였다. 각 간호활동별 준비와 정리시간은 실행시간과는 독립적으로 시간이 소요되며 실행되는 활동에 수반되어 변화하는 시간으로 분류되어 질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환자에게 제공된 각 간호활동의 영역별 빈도수는 투약 (19.32%), 관찰 및 측정(60.86%), 처치(6.3%)가 전체 간호활동 수행 빈도중 86.43%를 차지했으며, 기타 영역이 13.57% 였다. 간호활동 영역별 소요시간은 투약(30.51%),관찰 및 측정(33.95%), 처치(15.75%)의 세 영역이 총 소요시간 중 80.21%를 차지하였고 기타 영역이 19.79%를 차지했다.

4. 일일 총 간호시간에 따라 환자는 5군으로 분류되었다. Ⅰ군의 시간범주는0-30분이며 일일 평균간호시간은 20.9분, Ⅱ군은 31-60분이며 일일 평균간호시간은 45.7분, Ⅲ군은 61-90분이며 일일 평균간호시간은 74.1분, Ⅳ군은91-120분이며 일일 평균간호시간은 101.5분이었고 Ⅴ군은 121분이상이며 일일 평균간호시간은 146.8분이었다. 각 환자분류군간 일일 평균간호시간의 차이을 검정하기 위해 각 군간 t-test를 실시한 결과 모두 유의 수준.05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각 환자분류군의 결정지표는 일일 총간호시간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투약, 관찰 및 측정, 그리고 처치의 새 영역에서 선정하였다. Ⅰ군은 체온, 맥박, 호흡1 회, 구강투약 1회이며, Ⅱ군은 체온, 맥박, 호흡 3회, 혈압 1-3회, 섭취량/배설량 3회, 구강투약 1-8회이며, Ⅲ군은 채온, 맥박, 호흡 3회, 혈압 1-3회, 섭취량/배설량 3회, 구강투약 1-8회, 정맥주사투약 1-3회, 드레싱 1-3회, 심전도 모니터링, 특수검사준비이며, Ⅳ군은 체온, 맥박, 호흡 3회, 혈압 3회, 섭취량/배설량 3회, 구강투약 4-8회, 정맥주사투약 4-7회, 드레싱 1-3회, 심전도 모니터링이며, Ⅴ군은 체온, 맥박, 호흡 3회, 혈압 3회, 섭취량/배설량 3회, 구강투약 4-8회, 정맥주사투약 4-7회, 드레싱 1-3회, 심전도 모니터링, 특수검사실행, 정맥수액선 유지, Special Liquid Diet Telemetry이다.

기존에 우리나라에서 사용된 환자분류도구와는 달리 각 간호단위 특성에 맞게 보다 사용이 간편하고 효율적인 환자분류도구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시행된 본 연구는 환자에게 제공된 일일 총 간호시간을 먼저 측정하고 이에 따라 환자분류를 시행하고 각 환자분류군을 특징 지을 수 있는 간호단위 특성에 따른 결정지표를 선정할 수 있는 과정의 정립가능성을 검토했다고 할 수 있다.

환자분류기준을 먼저 정하여 환자를 분류한 후 그룹의 평균간호시간을 산출한 연구와 달리 본 연구에서 일일 총 간호시간을 먼저 산출하고 그에 따라 환자를 분류한 결과 각 환자분류군내 표준편차가 기존 연구보다 적어 그룹간의 일일 총 간호시간의 범위가 명확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과정에서 개발된 간호활동목록은 기존 연구와는 달리 같은 요소와 관련이 있는 활동일지라도 상황에 따라 시간이 달라질 수 있는 간호활동으로 세분하였으므로 이는 간호활동 표준시간 산출 또는 간호활동에 시간을 기준으로 가중치를 부여하는 연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critical indicators(C.1.) for the development of efficient patient classification system in a medicine unit.

The study involved following five steps.

Step 1. Selection of the medicine unit and identification of routine nursing activities in the unit

Step 2. Measurement of the time far preparation, performance, and finishing of the each nursing activity using stop watch by the constant observation. It was carried out from October 26th to November 7th.

Step 3. Investigation of the frequency of the each nursing activity given to the each patient by the self-logging of the nurses and calculation of the daily nursing care time given to the each patient. It was carried out from November 15th to November 16th.

Step 4. Classification of the patients according to the daily nursing care time.

Step 5. Selection of the critical indicators far different patient classe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

1. The nursing activities are classified to eight categories which was further devised 128 activities according to the situation ; Medication(32activities), observation and measurement(15 activities), treatment(48activities), hygiene(7

activities), nutrition(3 activities), elimination(10activities), transfer and exercise(5 activities), and education(8 activities)

2. The frequencies of the nursing activities and the length of time for those activities are analysed by the categories. In the frequency analysis of nursing activities was medication 19.32%, observation and measurement60.86%, and treatment 6.3%, and other 5 categories 13.57%. The results of the length of time were

medication 3071%, observation and measurement 33.95%, and treatment 15.75%, and other 5 categories19.79%.

3. Patient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daily nursing time was decided by using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Patients were classified to 5 classes; Class Ⅰ (0-30 minutes), Class Ⅱ (31-60 minutes), Class Ⅲ (61-90 minutes), Class Ⅳ (91-120 minutes), Class Ⅴ (more than 121 minutes).

4. The critical indicators were selected from medication, observation and mesurement, and treatment categories. The C.I. for the Class I were T.P.R. once a day, oral medication once a day, for the Class Ⅱ were T.P.R. 3/day, B.P. 1-3/day, I/O 3/day, oral medication 1-8/day, for the Class Ⅲ were T.P.R 3/day, B.P.

1-3/7ay, I/0 3/day, oral medication 1-8/day, I.V. medication 1-3/day, dressing 1-3/day, EKG monitoring, special test preparation, for the Class IV were T.P.R. 3/day, B.P. 3/day, I/O 3/day, oral medication 4-8/day, I.V. medication 4-7/day, dressing 1-3/day, EKG monitoring, and for Class Ⅴ were T.P.R. 3/day, B.P. 3/day, I/O 3/day, oral medication 4-8/day, I.V. medication 4-7/day, dressing 1-3/day, EKG monitoring, special test, 1.V. fluid, special liquid diet, telemetry.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8389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7668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