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826

Cited 0 times in

고위험가족 선별을 위한 위험요인 분석

Other Titles
 (The) factors to identify high risk family 
Authors
 방숙명 
Issue Date
1995
Description
간호학과/석사
Abstract
[한글]

본 연구는 고위험가족 선별을 위한 사정도구 개발의 기초연구로서, 고위험가족 선별에 판별력이 있는 위험요인을 분석해 내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연구방법으로는 탐색적, 방법론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위험요인 도출단계, 위험요인의 타당도 검증단계, 위험요인의 실제적용 단계, 위험요인의 최종선정의 단계를 거쳐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 사용된 연구의 틀은 김의숙 등(1993)이 제안한 가족진단 개념 틀을 사용하였다.

1. 위험요인 도출 단계에서는 먼저 국. 내외 가족진단 개념틀에서 제시된 영역을 통하여 가족건강과 관련이 있거나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제안된 위험변수들을 분석하였다. 분석된 위험변수들을 항목으로 유목화한 후 이들을 포괄할 수 있는 개념으로 개념화하고 다

시 이 개념들을 핵심변수를 중심으로 관찰가능하고, 측정가능하며, 보건간호사가 이해하기 쉬운 위험요인 문장으로 도출하였다.

2. 위험요인의 타당도 검증단계에서는 도출된 위험요인 문장을 내용 타당도 검증을 하였다. 내용 타당도는 29인의 전문가 집단을 이용하여 위험요인의 적정성과 각 요인별 위험정도를 측정하였다. 수정된 위험요인은 FAAN의 가족치료사 자격을 갖춘 사회사업학과 교수 1인에게 자문을 받았다. 위험요인중 '가족중 정신질환자가 있다'가 가장 중요한 위험요인으로 높은 점수를 차지하였으며, '가족의 정기적인 수입이 없다', '가족중 신체장애자가 있다', '음주로 문제를 일으키는 가족이 있다'순이었고, '가족내 임신부가 있다', '직계가족외의 동거인이 있다', '가족내 예방접종이 미완료된 영유아가 있다', '가족의 식습관이 부적절하다', '가족중 흡연자가 있다'순으로 점수가 낮았다.

3. 실제 적용단계에서는 도출된 위험요인들을 기존의 지역사회 진단을 위하여 실시된 서울시 일 지역의 총 553가구에 대한 가족건강 Survey 자료에 적용하여 실용가능성을 검증하였다.

위험요인의 분포상태와 전문가들에 의하여 제시된 위험정도 평점을 비교하여 판별력이 적다고 판단되는 '가족내 임신부가 있다', '가족내 예방접종이 미완료된 영유아가 있다'의 두 문항은 삭제하는 것으로 선택하였다. 이는 과거 모자보건 중심 간호사업에서는 지역사회 보건간호사가 가정방문하여 간호해야 할 우선순위 대상자였으나, 현재는 가족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에서 제외되는 현상을 나타낸다고 하겠다. 또한 위험요인 도출결과 나타난 34개의 위험요인중 6개의 위험요인('최근 6개월 가족내 커다란 변화가 있었

다', '가족내 문제발생시 효율적으로 해결하지 못한다', '재수생이나 고3 입시생이 있다', '자살 및 정신질환의 가족력이 있다', '자녀양육시 남녀의 차별이 심하다', '가족간에 편애가 심하다' 등)은 단기간 면접으로 파악하기 어렵거나 기존의 면접에서 불충분하다고 고려되어 제외되었다.

최종 위험요인 선정을 위하여 위험요인 문항간 상관관계를 검증한 후 고위험가족군과 저위험가족군간의 위험요인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결과 '가족의 정기적인 수입이 없다'와 '가구주 직업이 비숙련된 단순노동 등에 종사하고 있다'는 서로 높은 상관관계(r=.7375)를 보여 하나로 축소하였으며, 가구당 위험요인 총 갯수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인 위험요인 8개간의 상관관계를 검증한 결과 서로간의 상관관계가 높은 3문항을 제외한 '가족의 정기적인 수입이 얼다', '가족간의 갈등이 있다', '집안에 사고의 위험성이 있다', '한사람 위주로 의사결정이 이루어진다', '가족이 함께 모이는 시간이 적다'의 5개의 위험요인이 두 가족군의 차이를 나타내는데 가장 유의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고위험가족 선별시 더 구체적이며 명확하게 제시할 필요가 있는 '부적절한 식습관이 있다'는 한국인의 식습관 중 가장 문제가 되는 짜게 먹는 식습관에 초점을 맞추어 '음식을 주로 짜게 먹는 편이다'로, '가족 중 흡연자가 있다'는 '가족 중 하루 한갑이상의 흡연자가 있다'와 같이 정확하게 선별할 수 있는 구체적인 내용으로 수정하였다. 따라서 국. 내외 문헌고찰을 통하여 도출된 총 34개의 위험요인은 최종 25개로 선정되어 제안되었다. 이들 최종선정된 위험요인은 다음과 같다.

편부, 편모 가족이다(사별, 이혼, 미혼모가족도 포함) /직계가족외의 동거인이있다 /미취학 아동이 있는 취업주부이다 /가족의 정기적인 수입이 얼다 /가족이 정해 놓은 규칙이 얼거나 엄격하다 /가족 상호간의 지지가 적다 /가족이외의 지지자원이 적다 예)친족, 친구, 교회 등 /가족이 함께 모이는 시간이 거의 얼다 /질환에 대한 가족중이 있다 애)고혈압, 당뇨, 암 등 /가족중 환자가 있다 /가족 중 정신질환자가 있다 /가족 중 신체장애자가 있다 /음주로 문제를 일으키는 가족이 있다 /가족 중 하루 한갑이상의 흡연자가 있다 /음식을 주로 짜게 먹는 편이다 /부적절한 가족건강관리 방법을 사용한다 /건강문제를 해결하는데 병원보다 약국을 주로 이용한다 /부부간의 불화가 있다 /가족간의 갈등이 있다

/가족이 역할을 분담하지 않고 몇 사람에게 그 역할이 편중되어 있다 /가족내 한사람 위주로 의사결정 이루어진다 /이웃간의 교류나 사회활동 참여가 얼다 /위치가 주택지로서 적합하지 않다 예)유흥업소, 상가, 공장, 악취, 소음등 /집안에 사고의 위험성이 있다 /상하수도 및 쓰레기처리 시설이 위생적이지 않다 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제안된 위험요인 목록은 실무면에서 보건간호사가 가정방문시 많은 가족 중 짧은 기간동안에 고위험가족을 선별하여 효율적으로 방문계획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안된 위험요인은 우리나라 가족진단 개념틀에서 제시된 영역과 항목들을 중심으로 개발되었으므로 본 연구결과를 이용한 도구의 사용으로 축적된 자료는 가족진단 개념틀(Conceptual Framework)로 발전될 수 있다. 그러므로 고위험가족을 선별할 수 있는 위험요인의 문항 자체는 지역사회 보건간호사가 실제로 사용하면서 위험요인에 대한 계속적인 수정. 보완이 필요하며, 문항에 대한 위험정도(Weight)를 결정하여 척도(Index)화 할 수 있는 추후연구와 선정된 위험요인에 대한 타당도 검증연구가 실시되어야 한다.



[영문]

The main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critical risk factors for development of a family assessment tool to screen high risk family. This study used a conceptual framework of family diagnosis developed by Eui-sook Kim's(1993) and analyzed risk factors to identify the high risk family. As employing a explorative and methodological study design, this study has four stages.

1. In the first stage, 34 family risk factors were identified by doing intensive literature review on conceptual framework of family diagnoses.

2. In the second stage, above risk factors were tested for content validity by consultation with 29 persons in community health nursing, nursing education, family theory, and social work.

3. In the third stage, existing survey data was used for actual application of the identified risk factors, The survey data used for this purpose was previously collected for the community diagnosis in a region of Seoul.

At the final stage, through the comparisn between high risk and low risk families, initially identified 34 risk factors decreased to 25 risk factors.

Among 34 risk factors, six factors did not agree with content of questionnaries sand two factors were not significant in differentiating the high risk family. Also, two risk factors showed high correlation between themselves, so only one of

those two factors was chosen, As a result, twenty-five risk factors chosen to identify the high risk family are following;

1. A single parent family due to divorce or death of a partner, or unweded single mother

2. A family with an unrelated household members

3. A family with a working mother with a youngan child

4. A family with no regular income

5. A family with no rule in family or too strict rules

6. A family with little or no support from other family members

7. A family with little or no support from friends or relatives

8. A family with little or no time to share with each other

9. A family with family history of hypertension, diabetus, cancer

10. A family with a sick person

11. A family with a mentally ill person

12. A family with a disabled person

13. A family with an alcoholic person

14. A family with a excessive smoker who smokes more than 1 pack/day

15. A family with too much salt intake in their diet

16. A family with inappropriate management skills far family health

17. A family with high utilization of drug store than hospital to solve the health problems of the family

18. A family with disharmony between husband and wife

19. A family with conflicts among the family members

20. A family with unequal division of labor among family members

21. An authoritative family structure

22. A socially isolated family

23. The location of house is not residential area

24. A family with high risk of accidents

25. The drinking water and sewage systems are not hygienic.

The main implication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clinical use. The high risk factors can be used to identify the high risk family effectively and efficiently.

The use of high risk factors woule contribute to develop a conceptual framework of family diagnosis in Korea and the list of risk factors need to be revised continuously, Further researches are needed to develop an index of weight o( each risk factor and to validate the risk factors.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7663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