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543

Cited 0 times in

심근 경색증 환자에서의 혈장 tissue plasminogen activator와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1의 활성도 및 항원량

Other Titles
 Plasma antigen and activity of tissue plasminogen activator and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1 in patients with myocardial infarction 
Authors
 권준 
Issue Date
1994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관동맥질환 환자에서 섬유소용해계 장애가 있음은 이미 오래전에 알려진 바 있다. 최근 혈전용해 치료의 발달로 불안정성 협심증이나 급성 심근경색증과 같은 급성 관동맥증후군의 발병기전에 관동맥 혈전형성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중 특히 섬

유소용해계를 이루는 주 인자인 tissue plasminogen activator(이하 t-PA)와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1(이하 PAI-1)에 대한 관심이 높아 졌으며 최근들어 혈장 t-PA와 PAI-1의 측정 방법이 발달되면서 이들에 대한 연구들이 활발해졌다. 그러나 보고자에 따라

그 결과가 다양하게 보고되어 아직 급성 관동맥증후군 발병과의 연관성이 확실하게 밝혀지지 않은 상태이다.

연구자는 심근경색증은 앓았던 환자에서 혈장 t-PA와 PAI-1의 측정치 그리고 혈관 내피세포외 t-PA와 PAI-1의 분비능을 보고자 급성 심근경색증을 앓은 후 최소한 6개월이 결과된 환자군(17명)과 정상대조군(18명)을 대상으로 안정시와 정맥폐쇄후 혈장 t-PA와 PAI-1의 항원량과 활성도를 측정하여 서로 비교 분석하였으며 다른 대사성 인자들 및 급성 심근경색증 당시 혈청 creatine kinase 최고치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우선 기저처 측정용 채혈을 시행한 후 환자의 상박에 혈압계의 커프를 감고 100mmHg까지 팽창시켜 10분간 유지한 뒤 감압하기전 전주정맥에서 채혈을 시행하였다. 채혈은 t-PA 활성도의 안정성을 감안하여 pH 4.3의 0.45mol/L citrate buffer 0.5ml로 채워진 5ml 진

공판(Stabilyte TM tube, Biopool, Sweden)에 채혈하였으며 t-PA 및 PAI-1의 항원량과 활성도는 reagent kit(Biopool, Sweden)을 이용한 효소면역법으로 측정하였다.

안정시 혈장 t-PA 항원량과 활성도는 환자군이 10.72±3.28 ng/ml, 0.53±0.34U/ml이었고 정상대조군은 8.16±4.02 ng/ml, 0.02±0.07 U/ml로 환자군이 정상대조군에 비해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 0.05, p 0.01). 혈장 PAI-1 항원량과 활성도 역시 환자군이 26.24±8.30 ng/ml, 14.62±5.97 U/ml이었고 정상대조군은 20.82±8.82 ng/ml, 6.99±6.44 U/ml로 환자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 0.05, p 0.01).

환자군에서 안정시 혈장 t-PA의 항원량과 활성도는 상호 유의한 역 상관관계(r=-0.66, p 0.01), 혈장 PAI-1의 항원량과 활성도는 상호 유의한 순 상관관계(r=0.85, p 0.01)를 보였다. 안정시 PAI-1 항원량은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와 유의한 순 상관관계(r=0.

74, p 0.0l)를 중성지방과는 약하지만 순 상관관계(r=0.50, p 0.05)를 보인 반면, 콜레스테롤과 고밀도지단여(HDL cholestrol)과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며 PAI-1 활성도는 급성 심근경색증 당시 혈청 creatine kinase 최고치와 유의한 순 상관관계(r=0.76, p<0.01)를 보였다.

정상대조군에서 정맥폐쇄후 혈장 t-PA 항원량(9.87±3.86ng/ml), PAI-1 활성도(6.06±5.99U/ml)는 안정시(8.16±4.03ng/ml, 6,99±6.44U/ml)보다 유의하게(p 0.05) 증가 및 감소하였고 t-PA 활성도 및 PAI-1 항원량은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p 0.05). 환자군에서 정맥폐쇄후 혈장 t-PA 항원량(14.66±5.41ng/ml), 활성도(1.41±11.69U/ml), PAI-1 항원량(29.87±8.78ng/ml)은 각각 안정시 (10.72±3.28ng/ml, 0.532±0.341U/ml, 26.24±8.30ng/

ml)에 비해 유의하게(p 0.05) 증가하였고 PAI-1 활성도(12.67±6.46U/ml)는 안정시(14.62±5.97U/ml)보다 유의하게(p 0.05) 감소하였다.

환자군은 안정시 정상대조군과 비교하여 섬유소용해계 및 항 섬유소용해계 모두 항진되었으며 섬유소용해능 자극반응 검사인 정맥폐쇄후에도 정상대조군과는 다르게 혈관 내피세포의 t-PA 분비능외에 PAI-1 분비능도 갈이 증가되는 즉 섬유소용해계 뿐 아니라 항 섬유소용해계도 함께 항진된 상태를 나타내었다. 이같은 일련의 결과로 환자군은 섬유소용해계에 장애가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안정시 혈장 t-PA와 PAI-1의 증가 모두 관동맥질환의 한 지표로서 그 의의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The possible association between impaired fibrinolytic system and coronary artery disease was first suggested 25 years ago. Nowadays it is well known that coronary arterial thrombosis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pathogenesis of acute coronary syndrome and this has focused interest on the role of the fibrinolytic system, especially tissue plasminogen activator(t-PA) and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1(PAI-1), which are major determinants of fibrinolytic system But there are considerable variations in the reported association between these two components and acute coronary syndrome.

To evaluate association between t-PA PAI-1 and myocardial infarction, plasma level of t-PA and PAI-1 in resting state and after venous occlusion were measured and analysed in patients wi th previous myocardial infarction at least 6 months after the acute phase, who showed less than 10% luminal narrowing angiographically and control group. The relationship between t-PA and PAI-1 antigen and activity and relation to age, serum triglyceride, cholesterol, and peak crest me kinase enzyme

were also analyzed.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in resting state and after venous occlusion by a tourniquet applied to the upper arm routinely at 100mmHg. Samples were drawn in tubes containing 0.5 ml of 0.45 mol/L citrate buffer, and measured antigen, activity of t-PA and PAI-1 using the reagent kit(Biopool, Sweden).

In resting stat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f plasma level of both t-PA and PAI-1 antigen, activity between patient and control group(10.72±3.28 vs 8.16±4.03 ng/ml, 0.53±0.34 vs 0.02±0.07 U/ml, 26.24±8.30 vs 20.82±8.82 ng/ml, 14.62±5.97 vs 6.99±6.44 U/ml) (p 0.05), and resting plasma level of PAI-1

activity showed a good correlation with peak creative kinase enzyme(r=0.76, p 0.01). After venous occlusion, plasma level of t-PA antigen was significantly increased(8.16±4.03 vs 9.87±3.86 ng/ml)(p 0.05) whereas t-PA activity and PAf-1 antigen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in control group. In patient group, t-PA

antigen, t-PA activity and PAI-1 antigen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venous occlusion(10.72±3.28 vs 14.66±5.41 ng/ml, 0.53±0.34 vs 1.41±1.69 U/ml, 26.24±8.30 vs 29.87±8.78 ng/ml)(p 0.05). PAI-1 activity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venous occlusion in both groups (6.99±6.44 vs 6.06±5.99 U/ml,

14.62±5.97 vs 12.67±6.46 U/ml)(p 0.05).

In conclusion, both fibrinolytic and anti-fibrinolytic systems are augmented in resting and after fibrinolysis stimulation test in patient group. These findings suggested a impairment of fibrinolytic system inpatient group and a possibility that both elevated plasma levels of t-PA and PAI-1 may be markers of coronary artery disease.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6197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7646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