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 860

Cited 0 times in

화학요법을 받는 부인암환자의 구강불편감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Oral discomfort in gynecological cancer patients undergoing chemotherapy 
Authors
 정재원 
Issue Date
1994
Description
간호학과/석사
Abstract
[한글]

부인암의 치료방법으로서 화학요법은 수술 및 방사선 치료 등과 함께 그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항암제의 여러가지 부작용 중에서 구강불편감은 암환자의 구강기능과 안위감에 일차적으로 불편감을 일으키는데 이러한 구강문제가 지속되면 감염이나 출혈, 그리고 영

양문제까지 유발되어 암환자의 치료이행과 예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나 구강불편감은 대부분 퇴원후 발생하므로 이제까지 환자문제로 노출되지 않았고 간호사들이 문제의 양상을 파악할 수 없었으므로 효과적인 간호중재를 계획할 수 없었다.

이에 본 연구자는 화학요법으로 인한 구강불편감의 발생유형과 그 정도를 파악하여 구강불편감의 양상을 설명함으로써 간호사가 문제를 확인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간호사의 문제사정기준을 제시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본 연구는 종단적 조사연구로서 1994년 3월 15일부터 동년 5월 15일까지 서울시내에 위치한 Y대학 부속 S병원에 부인암으로 진단받고 화학요법을 위해 입원한 환자64명을 대상으로 시행되었으며, 항암제 처방에 따라 2개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1사례당 자료수집기간은 24일이고 연구도구는 연구자가 개발한 「구강내 자각증상 사정도구」 와 「구강내 관찰증상 사정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이는 대상자가 매일 자가측정 하도록 작성되었다.

수집된 자료중 대상자의 구강관련 특성에 따른 구강내 자각증상과 관찰증상 점수의 차이는 t-test와 일원변량분석(ANOVA)으로, 화학요법후 시일경과에 따른 구강내 자각증상 및 관찰증상의 변화는 paired t-test로 검정하였으며, 혈중 임파구 및 알부민 수치와 구

강내 자각증상 및 관찰증상 점수와의 관계는 Pearson Correlat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A약물군(5-FU와 Neoplatin투여군)은 화학요법후 시일경과에 따라 구강불편감이 점차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냈는데 자각증상은 제5일에 가장 놓게 호소했고 관찰증상은 제10일에 가장 심하게 나타났다.

2. B약물군(Neoplatin, Cytoxan, Adriamycin투여군)은 화학요법후 시일경과에 따라 구강불편감이 점차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냈는데 자각증상은 제7일에, 관찰증상은 제8일에 가장 심하게 나타냈으며 24일간 지속적으로 자각증상 정도가 관찰증상 정도보다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3. 약물종류에 따라 자각증상의 특성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군 모두 식욕상실 및 미각변화와 구강건조감을 가장 심하게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약물종류에 따라 각 부위의 관찰증상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A약물군은 입술, 잇몸, 혀 그리고 협점막 순으로 관찰증상점수가 높았고 B약물군은 혀, 입술, 협점막, 잇몸 순으로 관찰증상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5. A약물군에서 화학요법으로 인한 구강내 자각증상점수는 의치(t=3.40, p<.01)와 잇몸부종(t=2.85, p<.01)이 있는 집단이 의치와 잇몸부종이 없는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구강내 관찰증상점수는 의치(t=2.72, p<.01), 잇몸출혈(t=2.95, p<.01), 잇몸부종(t=4.48, p<.001), 구취(t=2.95, p<.01), 그리고 아프타성 구내염(t=3.35, p<.01)이 있는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그러나 치아흔들림, 고름, 과거 화학요법시 구내염 경험유무, 그리고 양치질 횟수에 따른 자각증상 및 관찰증상 정도에는 차이가 없었다.

6. B약물군에서 구강내 자각증상점수는 과거 화학요법시 구내염을 경험한 적이 있는 집단이(t=2.72, p<.05) 구내염을 경험한 적이 없는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고 구강내 관찰증상점수는 잇몸부종이 있는 집단(t=2.19, p<.04)과 과거 화학요법시 구내염을 경험한 적이 있는 집단(t=2.75, p<.05)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그러나 의치, 잇몸출혈, 구취, 치아흔들림, 고름, 아프타성 구내염 유무, 그리고 양치질 횟수에 따라 구강내 자각증상점수 및 관찰증상점수에는 차이가 없었다.

7. A약물군에서 혈중 임파구와 알부민 수치는 구강내 자각증상 및 관찰증상 정도와 상관관계가 없었다. B약물군에서는 구강내 관찰증상 정도와 혈중 임파구(r=-35,P<.05) 및 알부민(r=-42, p<.05)수치 간에 유의한 역상관관계가 있었고 구강내 자각증상 정도와 혈중 임파구 및 알부민 수치 간에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5-FU와 Neoplatin을 투여한 군(A약물군)에서는 화학요법으로 인하여 구강내 자각증상이 관찰증상보다 조기에 나타났고 Neoplatin, Cytoxan, Adiamycin(B약물군)을 투여한 군에서는 구강내 자각증상이 관찰증상보다 장기간 지속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화학요법후에 부인암환자들은 관찰되는 신체적 변화보다 주관적인 구강불편감을 더 심하게, 그리고 더 장기간 경험함을 알 수 있었다. 이에 간호사는 환자가 자각증상을 호소하는 시기부터 관찰증상의 발현을 예기하고 적절한 간호중재를 계획해야 할 근

거가 발견되었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또한 화학요법 전에 의치, 잇몸부종, 잇몸출혈, 구취, 아프타성 구내염 등의 만성적인 구강문제를 갖고 있는 대상자들이 화학요법후 구강증상을 심하게 경험하고 구강내 불편감의 자각증상을 더 많이 호소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므로 간호사는 구강불편감의 발생가능성이 있는 대상자를 예상하고 이들을 우선적인 구강간호의 대상으로 고려하여 보다 집중적인 예방교육과 간호를 제공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보겠다.

[영문]

The frequency of administration of chemotherapy for gynecological cancer treatment is increasing along with the use of surgery and radiotherapy.

Among the various side effects of chemotherapy, stomatitis cause the problem of function and sensation of the oral cavity, and this oral discomfort can be categorized two components of perceived oral symptom and observed oral symptom. If the oral problem would be continued, it might cause infection, bleeding and nutritional deficiency. As a result of this condition, it can affect the compliance with the treatment process and the progrosis of the cancer patients.

But as the oral discomfort usually appears after chemotherapy, it is not often reported to the health care personnel as a patient problem. Without the problem identification for oral discomfort and ability to assess the problem, effecive intervention cannot be planned.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pattern and the degree of oral discomfort due to cancer chemotherapy and thus to provide the data for identification of the patient problem and the nursing assessment.

The design of this study was a longitudinal descriptive study. The subjects were in-patients who were receiving chemotherapy under the diagnosis of gynecological cancer between Mar. 15, 1994 and May 15, 1994 at a general hospital in Seoul, Korea.

The number of subjects were 64 and divided into two groups, one 41 (A:5FU & Neoplatin), the other 23(B: Neoplatin, Cytoxan, Adriamycin), according to the treatment regimen.

The data were collected for 24 days using self-report. The instruments were the 「perceived Oral Symptom Assessment Tool」 and 「observed Oral Symptom Assessment Tool」 developed by this resercher.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PC program, ANOVA, t-test, paired t-test and the Pearson Correlation were appli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In A regimen the peak time of perceived oral symptom scores was the 5th day after chemotherapy, and the loth day of observed oral symptom scores.

Both of the problems started on 1st day of chemotherapy and were not resolved completely until the 24th day after treatment.

2. In B regimen, the peak time of perceived oral symptom scores was on the 7th day after chemotherapy, and the 8th day of observed oral sympton scores. Especially perceived oral symptom scares were higher than observed oral symptom scores consistently for 24 days.

Both of them started on 1st day of chemotherapy, too, and were not resolves completely until the 24th day after chemotherapy.

3. There were no differences statistically in perceived oral symptom scores between the A and the B regimen.

The loss of appetite and xe개stomia were the most severe discomfort in both of these two groups.

4. The were no differences statistically in observed oral symptom score between the A and B regimen.

In the A regimen, the highest observed symptom scores were the lips, gingiva, tongue and buccal membrane in that order. But in the B regimen, the highest observed symptom score were longue, lips, buccal membrane and gingival in that order.

5. In A regimen, the patients who had gingival edema and dentures had edema and dentures had significantly high perceived oral symptom scores.

And those who had gingival edema & bleeding, foul odor and aphthous stomatitis had si후ificantly high observed oral symptom scores.

6. In B regimen, the patients who had the experience of stomatitis in the last course of chemotherapy had significantly high perceived oral symptom scores. Those who had gingival edema had significantly high observed oral symptom scores.

7. In the A regimen,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lab valuers of lymphocytes and albumin with perceived oral symptom scores and observed oral symptom scores.

In the B regimen,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lymphocytes and albumin with the observed oral symptom scores, but not between perceived oral symptom scores and lymphocytes and albumin values.

It was concluded that the nurse should expect that the patient undergoing chemotherapy will complain severely about the subjective discomfort and earlier than the objective physical change will be observed.

Also the patients who had chronic oral problems such as dentures, gingival edema & bleeding, foul odor, aphthous stomatitis complained of severe oral discomfort due to chemotherapy.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8376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7638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