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 1390

Cited 0 times in

단순유방촬영필름상 군집된 미세석회화 소견 : 병리조직학적 연관성

Other Titles
 Clustered microcalcification on film-mammography : histopathologic correlation 
Authors
 김미혜 
Issue Date
1994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2㎜ 이하의 미세석회화가 I㎠당 5개이상 있을때 군집된 미세석회화라고 정의하며 이 소견은 종괴, 주위조직변형과 함께 악성병변의 삼대 징후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군집된 미세석회화는 양성병변에서도 나타나는 소견으로 군집된 미세석회화 소견의 30-40%가 악성병변으로 보고되어 왔다. 크기가 작을수록 수가 많을수록 또 석회화가 다양한 모양을 보일수록 악성가능성이 높다고 하지만 악성과 양성병변에서 중첩되는 소견이 많아 대부분의 예에서 조직검사로 확진이 필요했다. 이에 연구자는 1988년 1월부터 1994년 2월까지 수술 및 조직병리학적으로 확진된 6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단순유방필름상 군집된 미세석회화 소견을 분석하여 악성과 양성병변과의 차이를 연구하고 조직병리학적으로 연관시켜 악성과 양성병변에서 석회화의 조직학적 차이점 및 단순유방필름과 조직병리학적 소견의 연관성을 찾아보고자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악성병변 대부분이 1㎜이하의 석회화를 보였으며 다양한 크기였다. 석화화의 모양은 pepper, fine granular, branching, comma, tadpole, wormiform모이 많았고(p<0.05), 다양한 모양이 많았다. 양성석회화에 비해 거의 보이지 않는 1^^(+)의 석회화가 많고 셀수 없이 많은 예가 양성에 비해 많았다(p<0.05). 주위에 동반된 조직변형이 대부분에서 관찰되었고, 경계가 잘지워지지않는 종괴동반이 양성에 비해 많았다. 경계는 불분명하였다.

2. 양성병변에서는 60%가 2㎜이하의 석회화를 가지고 있었고, 비교적 일정한 크기의 석회화가 있었다(p<0.05). coarse granular, punctate, salty, S-shape이 많았고(p<0.05), 악성에 비하여 일정한 모양이었다. 석회화의 진한 정도에 있어서 2^^(+)이상의 진한 석회

화가 관찰되었다(67.4%). 양성의 80%에서는 주위조직변형이 없었고(p<0.05), 63.0%에서는 주위 종괴를 동반하지 않았다. 변연은 비교적 일정하였다.

3. 조직학적 소견을 관찰하였을때, 악성병변의 대부분(n=8/10)에서 석회화는 관강내에 위치하였으며, 양성병변어서는 관강내(n=10/17) 및 관내상피세포에(n=7/17) 위치하였다. 악성석회화의 모양은 laminated(n=6/10)가 많았고 양성병변에서는 granular, Balty로양의

석회화가 관찰되었다.

4. 악성병변의 석회화증 30%에서는 악성및 그 주위 양성병변에서 석회화가 발견되었고, 10%에서는 양성병변어서만 석회화가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악성병변에 동반하는 석회화특성을 알수있었고, 악성병변에서도 그 주위에 있는 양성병변내에 양성석회화를 포함할수 있는것을 알았다. 또, 전향적인 mapping을 통해 많은 양성 석회화병변일부분에 악성이 의심되는 석회화가 있는 경우 수술과 함께 mapping 연구하는 것이 정확한 진단에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 양성, 악성석회화의 조직학적 위치 및 모양을 고해상도 초음진단에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The clustered microcalcification on film mammography is termed when microcalcifications below 2mm in size and above 5 per 1 cm**3 in number are noted.

For the purpoae of evaluation of differential points of clustered

microcalcification in malignant and benign lesion on mammography and correlation with histopathology, author evaluated 63 film-mammograms of surgically confirmed patients with clustered microcalcifications. And 24 histopathologis findings were

reviewed and correlated with mammographic finding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In mammography, malignant calcifications shot variable finding in size and shape such as pepper, fine granular, branching, comma, tadpole and wormiform. The malignant calcifications showed more faint, irregular margin. and they were usually associated with parenchymal distortion and associated mass.

2. In histopathology, calcification of cancer tore located inductal lumen, while benign one were usually located in ductal epithelium(p<0.05). However, five benign lesions associated with 15 cancer patients showed still benign calcifications adjacent to proven cancer

The typical malignant calcifications were the shape of laminated while benign calcifications showed granular and salty on light microscope.

3. Mammographic pepper calcifications were correlated with clustered fine granular or salty on light microscope. Granular, punctate, salty and S-shaped calcifications mere correlated with light microscopic clustered granular, salty and granular, salty calcification.

Maiiographic elongated, branching, comma, tadpole and wormifort calcificationa were correlated with light microscopic laminated calcification.

In conclusion, we have recognized about characteristics of malignant clustered microcalcification on mammography and histopathology.

Benign-looking calcifications in area of malignant lesiens yield calcificaiton of benign lesion adjacent to malignant lesion. And through prospective rapping study, re found area of atypical ductal hyperplasia in area of faint pepper, comma,

tadpole calcifications associated with more predominant benign calcificaitons.

we concluded that if malignant-looking calcification are present in an area of predominant benign calcifications, excision and rapping study is necessary for better demonstration of the ADH, hidden or associated breast cancer.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4787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7599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