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 351

Cited 0 times in

백서 비점막 상피세포의 성장에 따른 씨알릭산의 발현

Other Titles
 Expression of sialic acids in the epithelium of developing murine nasal cavity 
Authors
 권오휘 
Issue Date
1994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상기도 점막표면은 점액질층의 여러 방어기전에 의하여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받고 있으며 점액층을 이루는 성분으로는 수분, 효소, 면역 글로블린, 당단백질, 당지질 및 혈청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중 복합당질(glycoconjugates)은 많은 중요한 생물학적 기

능이 있으며, 그동안 보고된 바로는 단백질합성 조절, 이관 섬모수송능력 항진, 세포막을 통한 이온의 수송, 단백 분해효소로 부터의 보호, 세포인식, 호르몬 및 다른 복합당질과 세포와의 유착에 관련하고있으며, 최근에는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세포에 유착하는 수용

체로서 복합당질 말단기 당 배열이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씨알릭산은 출생전에 생성되어 복합당질의 말단기 galactose에 결합함으로써 이러한 복합당질의 독자적인 기능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있다.

씨알릭산을 조직내에서 국소화하는 조직화학적 방법으로서 그동안 pH를 달리함으로써 sialic acid 와 sulfate를 구별하는 Alcian blue 염색을 사용하여 왔으나, 최근에는 씨알릭산에 보다 특이적 lectin인 Limuluspolyphemus 및 Limax flavus등을 사용함으로써 한층 용이하게 되었다. 이번 연구를 통해서 WGA, MAA, SNA의 pectin 염색을 이용하여 태생기부터 성숙기까지의 성장중인 BALE/c 백서 비점막내 씨알리산의 발현시기 및 분포양상을 알아 보고자 하였으며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백서 발육에 따른 호홉부 상피세포의 씨알릭산의 분포 및 발현의 결과에서 WGA는 태아 17일부터 기저세포에 약반응이, 섬모에 강반응이 관찰되었으며 그 후는 성체까지 반응에 변화가 없었다. MAA는 생후 1일까지는 전혀 반응이 나타나지 않다가 생후 3일째에 섬모에 약반응이, 생후5일째부터는 섬모에 강반응이 나타나는 변화를 보였다. SNA는 태아에서 성체에 이르기까지 상피세포에서 전혀 염색반응을 관찰할 수 없었다.

2. 백서 발육에 따른 후각부 상피세포의 씨알릭산의 분포 및 발현의 결과에서 WGA 와 MAA에서는 태아 17일 부터 섬모에 강반응이 나타나 성체까지 반응의 정도나 분포에 변화없이 계속 관찰되었으며, SNA는 태아 17일 부터 성체까지 모든 상피세포에서 양성반응을 관찰할 수 없었다.

결론적으로 MAA는 백서 호흡부 상피세포의 섬모에 생후 3일째부터 나타남으로써 섬모자체의 분화정도 혹은 출생후의 비강 통기와 관계가 있으며 SNA보다 더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영문]

Sialic acrid residues are especially known to play a key role in the normal functioning of the glycoconjugates. 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more specific sialic acid binding pectins such as Maackia seed agglutinin(MAA) and Sambucu nigra agglutinin(SNA), it has been made easier to localize the sialic residues by the

histochemical staking methods. The distribution and the expression time of silaic acids in the developing murine nasal epithelium, from the seventeenth gestational day to adult, was morphologically studied with lectin staining metho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WGA positive reaction was noted at basal cells and respiratory cilia from the seventeenth gestational day. We can see the MAA positive reaction in respiratory cilia from the third Postnatal day. But, there is no SNA positive reaction in the respiratory epithelium irrespective of aging.

2) The WGA and MAA positive reaction were noted at olfactory cilia from the seventeenth gestational day. However, there is no SNA positive reaction in the olfactory epithelium.

These results suggest that cilia contain terminal sialic acid residues and Neu5Ac( α 2-3)Gal may be more important to the airway protection and mucociliary function compared to Neu5Ac( α 2-6)Ga/GaINAc in murine nasal cavity.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5223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7586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