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557

Cited 0 times in

흰쥐 중이강내 간엽조직의 발생 및 흡수

Other Titles
 Development and resorption of the murine middle ear mesenchyme 
Authors
 전영명 
Issue Date
1994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중이강의 발생과정은 이과학 분야에서 많은 관심의 대상이 되어 왔지만 이관과 중이의 조직이 분화하는 동안의 중이강의 발생기전은 아직까지 잘 알려지지 않고 특히 중이내 간엽조직의 분화 및 흡수에 대한 기전과 역할은 확실한 정설은 없는 실정이다.

저자는 흰쥐 중이강내의 간엽조직의 발생학적 변화에 따른 형태학적 연구를 통해 중이강발생을 이해하는데 도움이되고, 향후 발생학적 측면에서의 중이염의 병인에 관한 연구의 기초자료를 삼고자, 임신 16일 부터 생후 21일까지의 총 63마리의 BALB/c 흰쥐를 이용하여, H&E 염색을 통한 이들 중이강내 간엽조직의 발생 및 흡수과정에 대한 일련의 형태학적 변화를 관찰하였고, 연령에따른 중이강내의 간엽조직의 밀도의 변화를 조사하기위해 단위면적당 간엽세포의 수를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태생 17일경 간엽조직이 중이강내에서 관찰되기 시작하여 출생을 전후하여 전중이강을 채우며, 생후 11일 부터 13일사이에 대부분의 간엽조직은 흡수되나 상고실부의 간엽조직은 이보다 늦게까지 남아있었다.

2. 단위면적당 중이강내의 간엽세포수는 출생 직후 가장 높으며,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였고, 상고실부가 중이강의 다른 부위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와같은 결과로 횐쥐 중이강의 발생시 간엽조직은 임신말기에 중이강의 발생과 더불어 나타나며, 출생후 빠른속도로 흡수되어 중이강의 함기화에 기여함을 알 수 있었다.


[영문]

The development of the middle ear cavity has posed many problems in research on embryolgy. Particularly, the development and resoprtion of the mesenchyme from the middle ear does not seem to be fully understood. The role of the middle ear mesenchyme not only seems to be related to the epithelial mig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the middle ear space, but it is possible that the excess of the mesenchyme may predispose to the development of otitis media or may enhance its sever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development and resorption of the murine middle ear mesenchyme and to Provide anatomical basis for the future animal studies concerning the pathogenesis of otitis media. Sixty three specimens, aging

from gestational day 16 to postnatal day 21, were investigated through the light microscopic observations. The present study also included a quantitative investigation for population density different gestational and postnatal ages.

At gestational day 17,the mesenchymal tissue in the midge ear cavity began to increase and at birth most of the middle ear cavity was filled with the mesenchyme.

The middle ear mesenchyme disappeared at postnatal day 11 through 13, but it still remained in the attic area. The mesenchyme showing high cellularity at around birth was looser and less cellular by increasing age.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7532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