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 949

Cited 0 times in

승모판 폐쇄부전이 동반된 동맥관 개존 환아에서 동맥관 수술후 승모판 폐쇄부전의 변화에 관한 비교 연구

Other Titles
 Postoperative changes of mitral regurgitation associate with patent ductus arteriosus 
Authors
 정조원 
Issue Date
1994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동맥관 개존증에서 승모판 폐쇄부전이 동반될 수 있는데 그 기전은 좌심방과 좌심실의 용적이 증가되면서 이차적으로 승모판륜이 늘어나서 발생된다고 추측되고 있으나 그 정확한 기전은 아직도 명확히 밝혀져 있지는 않다. 또한 수술후 승모판 폐쇄부전의 변화에 대한 연구도 아직은 미흡한 상태이다. 이에 저자는 동맥관 개존증 환아에서 동맥관 결찰술전후의 임상적 특성 등을 비교하여서, 어떤 임상적 양상이 승모판 패쇄부전의 동반과 연관성이 있는지, 수술 후 승모판 폐쇄부전이 소실 혹은 호전되는지 여부 및 시기, 그리고

수술후 승모판 폐쇄부전정도와 수술전의 임상적 양상과의 연관성여부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환아는 1983년 1월부터 1992년 7월까지 연세 의대 부속 세브란스 병원 소아과 및 연세심장혈관센터 심장소아과에 내원하여 이하적 소견, 심초음파 및 심도자검사를 시행하여 동맥관 개존증으로 진단받고 동맥관 결찰술을 시행 받았던 환아 226명으로 심초음파를

시행하여 추적 조사하였다.

승모판 폐쇄부전을 등반하였던 환아가 37명(16.4%), 승모판 폐쇄부전을 동반하지 않았던 환아는 189명(83.6%)이었으며, 승모판 폐쇄부전의 정도를 보면 수술전 grade Ⅰ-Ⅱ 30명, grade Ⅲ 3명, grade Ⅳ 4 명이었고, 수술전 grade Ⅰ-Ⅱ 30명과 grade Ⅲ 3명 중 2

명에서 수술후 승모판 폐쇄부전정도가 호전 혹은 완전소실되었고 grade Ⅳ 4 명중 3명에서 승모판 형태 이상소견을 보였다. 수술전 grade Ⅰ-Ⅱ군에서 수술전 좌우단락이 많거나(Qp/Qs ratio>3.0) 유아시기에 수술을 시행받은 환아에서 수슬후 승모판 폐쇄부전정도가

완전소실되는 경향(평균추적기간 약 4개월)을 보였고 수슬전 grade Ⅲ-Ⅳ군에서는 별 다른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수슬전 동맥관 개존증 환아에서 어떠한 임상적, 혈역학적인 인자와 승모판 폐쇄부전의 동반과는 무관하며, 경한 승모판 폐쇄부전은 수술후에 소실되었으며 특히 수술전 좌우단락이 많거나 유아시기에 수술을 시행받은 경우 완전소실되었고, 심한 승모판 폐쇄부전군에서는 별 다른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동맥관 개존증에서 승모판 폐쇄부전이 동반되는 빈도는 약 16.4%으로 승모판 폐쇄부전이 동반됨을 예측할 수 있는 임상적, 혈역학적인 인자는 없었다. 경한 정도의 승모판 폐쇄부전은 수술후 완전소실되는 것으로 보아 그 기전은 증가된 폐혈류로 인하여

이차적으로 승모판륜이 늘어나 생기며 수술후 가역적인 변화를 나타내는 반면, 결찰술 후에도 명확한 차이가 없었던 심한 정도의 승모판 폐쇄부전에서는 앞에서 기술한 좌우단락으로 인한 이차적인 변화 이외에 승모판 자체의 일차적인 결함으로 발생되며 수술후에

도 어느 정도의 호전은 있으나 대체로 비가역적인 변화를 나타내었다. 이 경우 결찰술만으로는 승모판 폐쇄부전 정도의 호전을 기대하기가 힘들므로 승모판륜 성형술을 같이 시행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사료된다.





Postoperative Changes of Mitral Regurgitation Associated with Patent Ductus

Arteriosus



Jo Won Jung

Department of Medical Science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Sung Kyu Lee)



The pathogenesis of mitral regurgitation in patent ductus arteriosus is not

known. However,it may occur as a result of dilatation of the mitral valve ring

secondary to left atrium andleft ventricular volume overload. 226 pts undergoing

patent ductus arteriosus liation werestudied with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echo and preoperative cardiac catheterization todetermine if there were any

correlation between mitral regurgitation and preoperative patentductus arteriosus,

the time of improvement of postoperative mitral regurgitation andcorrelation of

preoperative clinical profile OOwith postoperative grade of mitralregurgitation.

Among the 226 pt0s, 37 had mitral regurgitation associated with patent

ductusarteriosus, and the remaining 189 had simple patent ductus arteriosus. There

were 30 pts withMR of grade Ⅰ-Ⅱ, 3 pts with of grade Ⅲ and 4 pts with grade Ⅳ.

In the postop.state, all ofgrade Ⅰ-Ⅱ and 2 pts with grade Ⅲ were completely or

partially improved, and 3 pts amonggrade Ⅳ pts had malformation of the mitral

valve. In preoperative mitral regurgitation ofgrade Ⅰ-Ⅱ, a large amount of

shunt(Qp/Qs>3.0) or operation in the early infant had thetendency of complete

recovery(mean follow-up duration: 4 mo) while preoperative mitralregurgitation of

grade Ⅲ-Ⅳ had no definite interval changes.

In summary,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mitral regurgitation and clinical

andhemodynamic parameters of patent ductus arteriosus. Mild mitral regurgitation of

grade Ⅰ-Ⅱimproved completely after patent ductus arteriosus ligation while in

severe cases there were nodefinite changes.

[영문]

The pathogenesis of mitral regurgitation in patent ductus arteriosus is not known. However,it may occur as a result of dilatation of the mitral valve ring secondary to left atrium andleft ventricular volume overload. 226 pts undergoing

patent ductus arteriosus liation werestudied with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echo and preoperative cardiac catheterization todetermine if there were any correlation between mitral regurgitation and preoperative patentductus arteriosus,

the time of improvement of postoperative mitral regurgitation andcorrelation of preoperative clinical profile OOwith postoperative grade of mitralregurgitation.

Among the 226 pt0s, 37 had mitral regurgitation associated with patent ductusarteriosus, and the remaining 189 had simple patent ductus arteriosus. There were 30 pts withMR of grade Ⅰ-Ⅱ, 3 pts with of grade Ⅲ and 4 pts with grade Ⅳ.

In the postop.state, all ofgrade Ⅰ-Ⅱ and 2 pts with grade Ⅲ were completely or partially improved, and 3 pts amonggrade Ⅳ pts had malformation of the mitral valve. In preoperative mitral regurgitation ofgrade Ⅰ-Ⅱ, a large amount of shunt(Qp/Qs>3.0) or operation in the early infant had thetendency of complete

recovery(mean follow-up duration: 4 mo) while preoperative mitralregurgitation of grade Ⅲ-Ⅳ had no definite interval changes.

In summary,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mitral regurgitation and clinical andhemodynamic parameters of patent ductus arteriosus. Mild mitral regurgitation of grade Ⅰ-Ⅱimproved completely after patent ductus arteriosus ligation while in severe cases there were nodefinite changes.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6031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Pediatrics (소아과학교실) > 2. Thesis
Yonsei Authors
Jung, Jo Won(정조원)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7485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