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소화기간엽종양의 병리학적 악성도

Other Titles
 Pathological study of malignant potential in gastrointestinal mesechymal tumor 
Authors
 조미연 
Issue Date
1991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소화기간엽종양은 그 조직기원이 불분명하며, 양성과 악성의 감별에 대한 기준도 논란이 많다. 저자들은 소화기간엽종양의 임상병리학적 특성을 밝히고자 1983년부터 1990년까지 연세대학교부속 세브란스병원, 영동세브란스병원 및 원주의과대학부속 원주기독병원에

서 소화기간엽종양으로 절제 된 75예를 대상으로 임상병리학적 소견을 조사하고 추적조사가 가능하였던 50예를 통해 예후관련인자들을 검토하였다. 또한 분열기 세포를 측정하는데 비교적 간편한 방법으로써 이용되고 있는 Ag-NORs 수가 소화기간엽종양의 악성판별에

도움이 되며, 예후관련인자로서의 효용성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소화기간엽종양의 연령분포는 23세에서 83세까지이며, 평균연령은 53.7세였다.

2. 남녀비는 1.3:1로 남자에 약간 호발하였다.

3. 장기별 분포는 위장이 33예, 소장이 31예 ,대장이 11예였으며, 소장의 경우 공장이 14예로 가장 많았다.

4. 종양의 크기는 장경이 2cm에서 35cm로 다양하였고, 성장형태는 관장외형이 50예, 벽내형이 17예, 관강내형이 8예였다.

5. 조직학적 분류는 세포유형에 따라 방추형과 상피양형태로 구분하였던 바 방추형 세포형이 45예, 상피양 세포형이 30예였다.

6. 예후관계인자로 통계학적 유의성을 보였던 것은 괴사, 크기, 유사분열의수였고, 이중 가장 객관적이고 높은 설명도를 보인 것은 유사분열의수였다. (회기분석에서 20% 설명도)

7. Ag-NORs수는 소화기간엽종양의 예후와 관련이 없으며, 각세포유형별과 장기별로 보아도 매우 다양한 수치를 나타내었다.



[영문]

The histogenesis and criteria in malignancy of gastrointestinal mesencymal tumors are still controversial. To evaluate the clinicopathologic characteristics of these tumor, we studied the histological prognostic factors by using 75 cases of gastrointestinal mesenchymal tumors which were diagnosed and surgically resected in the Department of Patholog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Youngdong Severance Hospital and Wonju College of Medicine in the period from 1983 to 1990.

The histologic findings were reviewed in all cases and the prognostic factors including the Ag-NORs count were analysed by using 50 follow-up cas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age ranged from 23 and 83 year-old, and averaged 53.7. The ratio of male to female patients was 1.3:1.

2. The tumor locations and numbers were stomach (33), small intestine (31) and large intestine (11).

3. The tumor size was variable from 2 to 35cm. The growth pattern showed extraluminal (50), intramural (17), and intraluminal (8)

4. Histologic pattern was divided into spindle cell and epithelioid cell type, and spindle cell type was more frequent than epithelioid cell type (45 vs 30).

5. The mitotic count, tumor size, and necrosis had prognostic significancy.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was mitotic count.

6.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g-NORs count and prognosis was absent and Ag-NORs count was variable from the sites and cell shapes.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3011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7031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