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 683

Cited 0 times in

한 농촌지역 부인들의 대하증에 관한 임상의학적 고찰

Authors
 곽인평 
Issue Date
1985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대하증에 관한 적절한 임상적 이해와 성공적인 진단과 치료는 부인과 영역에서 매우 중요한 것으로 되어 있으며, 특히 질내의 복잡하고도 예민한 생태계와 이에 관련된 상호인자들에 대한 일련의 이해과정이 대하증의 진단 및 치료에 매우 중요한 것으로 되어있다.

실제로 대하증의 원인 규명은 세심한 병력의 채취, 분비물의 특성 관찰, 면밀한 시진 및 질경검사, odor-test 질내 PH 측정, 습식도말에 의한 현미경적 관찰 등의 비교적 간단한 진단방법을 통하여 가능하다. 대하증의 원인을 대별하여 보면, 비특이성 질염이 가장 많고, 캔디다 질염, 트리코모나스 질염, 위축성 질염, 자궁경관염 등으로 구분이 되며 드물게 궤양성 병변, 누공성 병변도 볼 수 있다.

저자는 1984년 1월부터 1984년 6월까지 만 6개월간 경기도 강화군 강화병원 산부인과에 내원한 환자 692예를 대상으로 대하증에 관한 임상 통계학적 고찰 및 간단한 진단방법을 통한 분류를 시도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대하증의 원인을 대별하여 보면, 이상 질분비물을 보인 545예 중, 비특이성 질염 36.5%, 캔디다 질염 23.5%, 자궁경관염 17.6%, 트리코모나스 질염 9.2%, 정상과다대하증 7.9%, 위축성 질염 4.0%의 순이었다.

2. 대하증의 연령별 유병율은 24세 이하군에서 74.8%, 25-34세 군에서 74.5%, 35-44세 군에서 84.2%, 45세 이상군에 90.0%이었다. 대하증의 원인별로 보면, 35-44세군에서 비특이성 질염의 유병율이 35.4%, 자궁경관염의 유병율이 20.9%로 각각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3. 임신여부별 대하증의 유병율은, 비임신군에서 84.3%, 임신군에서 60.5%로 임신군의 유병율이 낮았으며, 원인별로는 비임신군에서 비특이성 질염의 유병율이 31.8%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4. 피임여부별 대하증의 유병율은 피임방법 사용군에서 85.1%, 비사용군에서 82.9%로 차이가 없었고, 피임방법별로도 유병율의 차이는 없었다. 차단피임법을 사용한 군에서 캔디다 질염의 유병율이 30.3%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았고, 수술적 피임군에서 자궁경관염의 유병율이 21.5%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5. 대하증의 증상은 비특이성 질염군에서는 악취가 19.6%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 캔디다 질염군에서 소양중 44.5%, 트리코모나스 질염군과 자궁경관염군에서 분비물의 증가가 각각 36.0%, 35.5%로 역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위축성 질염군에서는 출혈예가 91.%로 유의하게 높았다.

6. 질분비물의 특성과 대하증의 원인별 유병율을 보면, thick-cheeze분비물에서 캔디다 질염의 유병율이 58.0%로 가장 높았고, scant-creamy분비물에서 비특이성 질염의 유병율이 55.0%, 화농성 분비물에서 비특이성 질염의 유병율이 39.1%, 트리코모나스 질염의 유

병율이 21.1%, 그리고 점액화농성 분비물에서 자궁경관염의 유병율이 63.9%로 각각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7. 질내산도와 대하증의 원인별 유병율을 보면, 비특이성 질염의 유병율은 PH 5.1-5.5에서 47.6%, PH 5.6-6.0에서 38.5%로 각각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 캔디다 질염의 유병율은 pH 4.1-4.5에서 25.8%, 트리코모나스 질염의 유병율은 pH5.1-5.5에서 15.9%,

pH5.6-6.0에서 24.6%로 각각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그리고 위축성 질염의 유병율은 pH6.0이상에서 28.9%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영문]

During the 6 months from January 1984 to June 1984, a clinical study on the vaginal discharges in women living in rural area was performed in 692 cases of the gynecological patients in outpatient clinic at Kang Wha Hospital.

The result were as follows;

1. The causes of the vaginal discharges in 545 cases were, nenspecific vaginitis 36.5%, candida 23.5%, cervicitis 17.6T, trichomonas 9.2% excessive but otherwise normal secretions 7.9%, and atrophic vaginitis 4.0%.

2. The prevalences of the vaginal discharges in different age groups were 74.8% in under 24, 74.5% in 25-34, 84.2% in 35-44, 90.0% in above 45. The prevalences of the nonspecific vaginitis and cervicitis were significantly more prevalent in women aged between 35 and 44.

3. The prevalences of the vaginal discharges in nonpregnant and pregnat status were 84.3% and 60/5% respecitively. In nonpregnant status, nonspecific vaginitis was most prevalent and during pregnancy, candida vaginitis was more prevalent than others.

4. The prevalences of the vaginal discharges in women with contraception and those without were 85.1% and 82.9% respectively. In barrier method, candida vaginitis was significantly more prevalent than others and cervicitis was signigicantly more prevalent than others in surgery method.

5. Vulvar itching in candida vaginitis (44.5%), foul odor in nonspecific vaginitis (19.6%), troublesome discharge in trichomonas vaginitis and cervicitis (35.5%, 35.4%) were significantly more cammon than others.

6. Candida vaginitis in thick cheeze discharge (58.0%), nonspecific vaginitis in scanty creamy discharge(49.7%), and nonspecific vaginitis in frothy discharge(55.0%) were significantly more common than others. In purulent discharge, nonspecific vaginitis and trichomonas vaginitis were significantly more prevalent than others.

7.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vaginal PH and the causes of the vaginal discharges. Nonspecific vaginitis was significantly prevalent in the PH value between 4.6 and 6.0, candida vaginitis in PH between 4.1 and 4.5, trichomonas vaginitis in PH between 5.1 and 6.0, atrophic vaginitis in PH above 6.0.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7954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6961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