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 478

Cited 0 times in

산욕부의 건강지각에 따른 산후 신체적 자기간호 실천정도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physical self care level of postpartum women according to their health perception 
Authors
 정영희 
Issue Date
1987
Description
간호학교육/석사
Abstract
[한글]

본 연구는 산욕부의 건강지각과 산후 신체적 자기간호 실천정도를 파악하여 앞으로의 산욕부의 건강이해 증진과 신생아의 건강증진에 기여하며 산욕부의 신체적 자기간호를 높이고 모성의 건강교육과 간호학생의 산욕부를 위한 간호교육 및 간호중재의 참고자료를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서울특별시내에 소재한 2개의 종합병원과 1개의 산부인과 전문병원에 분만후 퇴원하여 4주에서 6주기간에 처해있고 산부인과 외래로 추후관리를 위하여 방문한 산욕부로서 총 94명이었다. 자료수집은 1986년 10월 14일부터 11월 1일까지 공휴일을 제외한 총 15일간이었다.

연구도구로는 건강지각을 측정하기 위하여 '유'가 Ware의 건강지각 측정도구를 번역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산후 신체적 자기간호 실천정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연구자가 관계문헌과 선행연구를 기초로 작성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 방법으로는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을 구하였으며 건강지각 문항별 점수와 산후 신체적 자기간호 실천정도의 문항별 점수는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제변수는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등의 통계방법으로 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건강지각 정도는 평균평점 3.36으로 최대평점 5점에 비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2) 산욕부의 자기간호 실천정도는 각 7개 영역별로 최대평점 5점에 평균평점 회음관리 4.27, 개인위생 3.77, 수유관리중 모유수유 3.87, 인공수유 4.28, 혼합수유 3.89, 운동 및 휴식 3.90, 신생아관리 3.90, 영양섭생 3.27, 배변관리 3.72로 비교적 모두 높게 나타났다.

3) 일반적 특성과 산후 신체적 자기간호 실천정도와의 관계를 보면, 주거형태, 학력에 따라 산후 신체적 자기간호 실천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거형태 t=2.18, p<.05, 학력 t=-1.92, p<.05)

4) 건강지각과 산후 신체적 자기간호 실천정도와의 상관관계를 피어슨 상관분석으로 분석한 결과 건강수준이 높을수록 산후 신체적 자기간호 실천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r=.23, p<.05).

5) 산후 신체적 자기간호 이해유무와 산후 신체적 자기간호 실천정도와의 관계를 보면, 회음관리, 영양섭생, 배변관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회음관리 t=2.26, p<.05, 영양섭생 t=2.03, p<.05, 배변관리 t=3.65, p<-.05).

이상의 결과에서 산욕부의 건강지각이 산후 신체적 자기간호 실천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중의 하나이며 건강이해는 자기간호행위 수준을 높이는데 작용하는 요인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영문]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learn (gain insight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women's physical self care level during their puerperal period and their health perception.

The purpose this study is to obtain basic information and understanding regarding health promotion for postpartal women and also for improved education related to this for nursing students.

There were 94 subjects involved in this research. All subjects were studied 4 to 6 weeks after delivery. Data was collected at their postpartal follow-up visit. The study was done at two general hospitals and one maternity hospital.

The time period of data collection was from October 14, 1986 to November 1, 1986.

To measure health perception, Ware's study instrument(translated and tested byYu) was used.

Postpartal physical self care was measured with an instrument developed by the researcher.

Data were analyzed by percentile for general characteristics, mean and standard deviation for health perception and physical self care score, t-test,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for interrelated factors.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

1) The mean health perception score was 3.36 out of a possible score 5.0.

2) The mean scores of physical self care were:

4.29-perineal care

4.28-milk feeding method

3.90-activity and rest

3.90-neonatal care

3.89-mixed feeding method

3.87-breast feeding method

3.77-hygiene

3.72-elimination

3.29-nutrition

The researcher considers these scores rather high.

3) The differences in home environment and educational level relating to the level of physical self ca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onvenient home environment t=2.18, p<.05)

(education t=-1.92, p<.05)

4) The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perception and physical self care reveale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health perception, the higher the level of physical self care.

Thi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r=.23 p<=.05)

5) The differences in physical self care scores between the group having an understanding of self care methods and the group not having this understanding showed up statistically significant.

perineal care: t=2.26, p<.05

nutrition: t=2.03, p<.05

elimination: t=3.65, p<.05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health perception is one of the factors which is influencing the physical self care level of postpartal women, and the understanding itself is a significant factor affecting the subjects physical care level.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5583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6948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