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 1035

Cited 0 times in

격리병동 환자의 불안요인 및 정도에 관한 분석적 연구

Other Titles
 (An) analytical study on the factors and levels of anxiety of isolation ward patients 
Authors
 정영순 
Issue Date
1983
Description
간호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인간은 누구나 새로운 상황에 접하게 되면 불안을 경험한다. 또한 제한된 구역에 처한 개인은 좌절과 고독, 불안등의 심리적 반응이 나타나며 질병으로 인하여 입원한 환자들의 불안 정도는 다양하여 질병의 회복과 예후에 영향을 미칠뿐만 아니라 생활의 변화를 초래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격리병동에 입원한 환자의 불안 요인 내용 및 정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시도 되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 격리병동 환자의 불안 요인 내용을 분석 파악하여 일반병동 환자와 비교하교 둘째, 격리병동 환자의 불안정도를 파악하여 일반병동 환자와 비교하였다.

연구 대상은 1983년 3월 3일부터 5월 13일까지 70일간 대구시 일개 대학 부속병원 격리병동의 내과 환자와 일반병동 내과환자를 각각 40명 선택하여 총 80명으로 하였고 연구방법은 구조화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연구 도구로는 기질불안 측정을 위해 Endler의 기질 불안 척도를 사용하였고 상태불안 측정은 여러 문헌을 토대로 하여 연구자가 작성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기질불안, 상태불안 정도의 차이를 t-test로 검증하였으며 상태불안은 요인분석을 통하여 불안요인을 확인하였다. 두 집단의 각 요인에 대한 불안정도를 t-test와 ANOVA로 비교 검증하였고 기질불안과 상태불안과의 관계는 Pearson Correlat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기질불안

기질불안의 평균점수는 격리병동 환자가 48.22점, 일반병동 환자가 45.15점으로 격리병동 환자가 약간 높았으나 두 집단의 비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t=1.3, d.f=78, p>.05).

기질불안과 인구학적 특성과의 관계에서 환자가 기질불안을 높게 경험하였다.(t=1.98, d.f=38, P<.05).

2. 상태불안

상태불안의 평균점수는 격리병동 환자가 161.35점, 일반병동 환자가 157.10점으로 두 집단간의 비교해서 격리병동이 상태불안이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는 없었다.(t=.6, d.f=78, P>.05).

상태불안과 인구학적 특성과의 관계에서 격리병동에서는 의료보험 비가입 환자가 상태불안이 더 높게 나타났다 (t=-2.1033, d.f=38, P<.05)

상태불안 요인은 요인 분석을 통하여 「격리와 퇴원으로 인한 문제」 「질병자체로 인한 문제」 「치료와 의료팀의 태도로 인한 문제」「불확실한 상황으로 인한 문제」 「검사와 인간의 존엄성에 대한문제」「사회 경제적 문제」 「병원 환경으로 인한 문제」 「예후와 대인 관계로 인한 문제」 「정상적인 생활의 균형에 대한 문제」 등 9개 요인으로 규명되었다. 상태 불안 요인에 대한 두 집단의 비교에서 「격리와 퇴원으로 인한 문제」

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1.8838, d.f =78, p<.1).

그외에 다른 요인들은 유의수준 .05에서 통계적으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격리병동 환자의 상태불안 요인 내용중에서 불안점수가 높은 문항은 "병으로 인하여 대인관계를 잘 할 수 없을까봐," "혹시 병원에 오랫동안 있게 될까봐," "나의 병으로 인하여 가족이나 주위 사람들이 감염될까봐," "퇴원후 주위 사람들과의 생활에 거리감이 있을까봐," "퇴원후 건강이 다시 악화될까봐," "퇴원 후 생활에 자신감을 잃게 될까봐," "치료가 잘못 될까봐" 의 7문항이었고 일반병동 환자의 불안요인의 내용은 "병으로부터 완전 치유가 되지 않을까봐," "퇴원 후 건강이 다시 악화 될까봐"의 2문항으로 나타났다.

3. 기질불안과 상태불안과의 상관관계

기질불안과 상태불안과의 상관관계에서 격리병동 환자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r=.2817, P>.05) 일반병동 환자에서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r=.3305, P<.05).

이상의 결과에서 격리병동 환자는 상태불안을 더 높게 경험하고 있음을 규명할 수 있었으며 격리라는 상황 자체가 환자의 불안을 일으키는 주 요인이 된다고 사려된다.

[영문]

Every human being experiences anxiety when encountering new circumstances. Confined to isolated areas, one shows psychological responses such as frustration, loneliness and anxiety and those patients hospitalized from diseases have various levels of anxiety which not only affect their recovery and prognosis but cause changes in their lives.

This study was done for the purpose of analyzing the factors anti levels of anxiety of those hospitalized in isolation wards. To mate good this study. all the factors of anxiety of isolation word patients were analyzed and compared with those of the general medical and surgical ward patients, so were the levels of anxiety.

The subjects in this stuffy were a sample of a toal of 80 patients, 40 selected from the isolation ward and another 40 from the general medical and surgical ward in a university hospital located in Daegu over a period of 70 days from March 3 to May 13, 1983 and formalized questionnaires were used as a study method.

To measure trait-anxiety, the Trait-Anxiety Scale developed by Endler was used and a special scale devised by the researcher herself was used for the state-anxiety measurement.

In the analysis of the materials, the relations between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trait and state anxiety each went through t-test. The factors of state-anxiety were confirmed by means of the factor analysis and anxiety level to each factor of

the two groups was analyzed and then compared by t-test and ANOVA. The relations between trait-anxiety and state-anxiety were analyzed by Perarson Correl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rait-anxiety In trait-anxiety, the average of isolation ward patients was 48.22 and that of general ward patients was 45.51. There is no remarkabl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1.3, d,f=78, P>.05). In the relations between trait-anxiety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the isolation ward patients with poor educational backgrounds experience higher traitanxiety(t=1.98, d.f=38, P<.05).

2. State-anxiety In state-anxiety, the average of the isolation ward patients was 161.35 and that of the general ward patients was 157.1. It was shown that the isolation ward patients have a little higher state-anxiety but statistical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t=6, d.f=78, P>.05).

In the relations between state-anxiety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the isolation ward patients with poor economic backgrounds showed higher state-anxiety (t=2.1033, d.f=38, P<.05).

In the study of the factors of state-anxiety, the factor analysis shoved 9 basic factor problems of "iosoation and dehospitalization", "illness itself" "treatment and attitude of the health team", "uncertain circumstances", "test and human dignity", "socioeconomics", "hospital environment", "prognosis and personal relationship" and "normalization of routine life." The isolation and dehospitalization made a statistic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1.8838, d.f=78, P<.1). The others made no difference from the <.05 level in statistics.

The most serious stressors of the isolation ward patients were: "... if I have much trouble in personal relationships", "‥‥‥ would my recovery be delayed?", "What if my family and those around me are infected‥‥", "Could I ever be on good terms with my acquantances after long hospitalization‥‥", "Should I recover completely···", "Is it possible for me to be vigorous again..." and "Could they cure me of disease thoroughly?" On the other hand, those general ward patients worried about "Can I be cured completely?" and "what if this disease recurs after wards?"

3. Correlation between trait-anxiety and state-anxiety.

In this category, the general ward patients were positively related to trait-anxiety and state-anxiety, whereas those in the isolation ward were not.

It is concluded that the isolation ward patients experience higher level of state-anxiety, and that patients' anxiety is attributed mostly to the condition of isolation itself.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4150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6944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